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게시물ID : humorbest_515938
    작성자 : YSJL
    추천 : 34
    조회수 : 21758
    IP : 222.131.***.249
    댓글 : 6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2/08/21 03:21:38
    원글작성시간 : 2012/08/19 02:45:31
    http://todayhumor.com/?humorbest_515938 모바일
    밀) 일본 重전차의 위엄
    <div style="line-height: 18px; font-family: Gulim, 'Malgun Gothic', sans-serif; font-size: 12px; "><h2 style="font-family: sans-serif; padding: 10px 2px 4px; border-bottom-width: 1px; border-bottom-style: solid; border-bottom-color: rgb(192, 192, 192); "><span class="tocnumber"><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97%EC%8B%9D%20%EC%A0%84%EC%B0%A8#toc"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1</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pan><span style="color: rgb(0, 0, 0); ">개요</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class="perma"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97%EC%8B%9D%20%EC%A0%84%EC%B0%A8#s-1" style="color: rgb(17, 34, 204); visibility: hidden; "></a></h2><div id="sc-1"><div><span style="color: rgb(0, 0, 0); ">일본군의</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C%A3%BC%EB%A0%A5%20%EC%A0%84%EC%B0%A8" title="주력 전차"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주력 전차</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이자</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C%A0%9C2%EC%B0%A8%20%EC%84%B8%EA%B3%84%EB%8C%80%EC%A0%84" title="제2차 세계대전"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제2차 세계대전</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pan style="color: rgb(0, 0, 0); ">기간 중에 존재했던</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5%BC%EB%9D%BC%EB%A0%88%EB%A9%94%EC%B9%B4" title="야라레메카"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야라레메카</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del><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B%A1%9C%EB%A6%AC" title="로리"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로리</span></a></del><span style="color: rgb(0, 0, 0); ">전차. 2,000여대가 생산되었으며.</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B%AF%B8%EC%AF%94%EB%B9%84%EC%8B%9C" title="미쯔비시"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미쯔비시</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D%9E%88%EB%8B%A4%EC%B9%98" title="히다치"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히다치</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pan style="color: rgb(0, 0, 0); ">등 방산업체 전반에서 생산되었다.</span><br></div><br><div><span style="color: rgb(0, 0, 0); ">제원상이나 실제모습을 보면 리벳이 많이 튀어나와있어</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방어력이 좀 후달려 보이는 경전차</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라는 인상이나 이 전차의 실 성능은</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그것을 훨씬 능가하는 상상 이상의 최악의 물건이었다</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span><br></div><br><div><span style="color: rgb(0, 0, 0); ">당대 일본이 만들 수 있는 최고기술력(;)의 결집체라고 할 수 있었으나 워낙 당대의 서구열강의 기술력과 차이가 커서 얄짤없는 야라레메카 취급을 당했다.</span><br></div><br><div><span style="color: rgb(0, 0, 0); ">어차피 평지에서</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적전차와 일대일 대결</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을 할 수 있는 전차를 생산하는 것은</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기술적으로 무리니까</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pan style="color: rgb(0, 0, 0); ">아예 적 전차가 접근하기 힘든 열악한 지형에서 원활히 기동하며 보병을 지원할 수 있는 컨셉으로 만든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span><br><span style="color: rgb(0, 0, 0); ">실제로 당대 일본이 '생존권(레벤스라움)'으로 그어놓은 영역을 보면 대부분이 밀림이거나 도로가 열악한 험지이긴 하다...</span><br></div><br></div></div><div style="line-height: 18px; font-family: Gulim, 'Malgun Gothic', sans-serif; font-size: 12px; "><h2 style="font-family: sans-serif; padding: 10px 2px 4px; border-bottom-width: 1px; border-bottom-style: solid; border-bottom-color: rgb(192, 192, 192); "><a id="s-2"></a><span class="tocnumber"><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97%EC%8B%9D%20%EC%A0%84%EC%B0%A8#toc"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2</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E%A5%EB%B9%84%EB%A5%BC%20%EC%A0%95%EC%A7%80%ED%95%A9%EB%8B%88%EB%8B%A4" title="장비를 정지합니다"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이런 일이 일어날 것 같은 조짐을 느꼈지</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class="perma"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97%EC%8B%9D%20%EC%A0%84%EC%B0%A8#s-2" style="color: rgb(17, 34, 204); visibility: hidden; "></a></h2><div id="sc-2"><div><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C%A4%91%EC%9D%BC%EC%A0%84%EC%9F%81" title="중일전쟁"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중일전쟁</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pan style="color: rgb(0, 0, 0); ">당시, 일본군의</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89%EC%8B%9D%20%EC%A4%91%EC%A0%84%EC%B0%A8" title="89식 중전차"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89식 중전차</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는 그야말로 중원에서 대활약을 펼쳤다. 국민당군이 워낙 막장인데다가, 제대로 된 대전차화기나 전차도 없었고, 덤으로 제대로 된 전차전도 없었으니 일본은 보병 지원용 전차선에서 만족하고 축배를 들고 자화자찬을 벌인 것이다.</span><br></div><br><div><span style="color: rgb(0, 0, 0); ">물론 자화자찬속에서도 일본의 일부 머리가 돌아가는 사람들은 미래 전장에서 전차의 상대가 적 보병 및 토치카 등의 강화진지와 더불어 적 전차를 직접 상대해야 할 것이라는 가능성을 예측하긴 했으며, 그 결과물이 95식 경전차인</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D%95%98%EA%B3%A0" title="하고"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하고</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다. 이는 3호 전차에 대전차 전투능력을 부여하고 4호 전차는 지원용도로 설계한 당대 독일과 비슷하다. 다만 결정적인 컨셉 차이는 중형전차가 보병돌격을 지원하는가 기갑부대의 공격을 지원하는가에 있었다.</span><br></div><br><div><span style="color: rgb(0, 0, 0); ">사실 중국전선에서의 험한 지형과 열악한 도로 사정을 감안하면</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의외로 평가가 좋았는데</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pan style="color: rgb(0, 0, 0); ">이것은 2차 대전후 다량의 치하를 노획하고 그것을 국공내전이나 한국전쟁때</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del><span style="color: rgb(0, 0, 0); ">대전차전을 제외하고</span></del><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pan style="color: rgb(0, 0, 0); ">운용해본 중국군의 평가에서도 잘 나타난다.</span><br></div><br><div><span style="color: rgb(0, 0, 0); ">하지만 결국 그 축배는 독배가 되었다. 치하는 그런 보병지원용 전차로서 태어났고 89식의 개량버전으로 태어난 치하는 89식과 똑같은 57mm 단포신 곡사포를 탑재했고, 속도를 늘리고 서스펜션을 강화하고 장갑은 약간 두꺼워진 것에 불과했다. 여기서 일본군 전차 안습전설이 시작된다.</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br></div><br><div><span style="color: rgb(0, 0, 0); ">당시</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D%BC%EB%B3%B8" title="일본"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일본</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은 전차개발을 등한시 하는 면도 있었고, 전차라곤 거의 없는</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C%A4%91%EC%9D%BC%EC%A0%84%EC%9F%81" title="중일전쟁"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중일전쟁</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에 그리 성능이 뛰어난 전차는 필요 없었을지 모른다. 또한 대전차전을 신경쓸 상황도 아니었기도 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후속전차 1식 중전차를 포함해 전차 전체에 드러나는 일본의 후진적인 야금, 제련, 공업기술을 변명할 순 없다는 것이다.</span><br></div><br><div><span style="color: rgb(0, 0, 0); ">놀라운 것은 이 치하가 경합에서 승리한 더</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강했던</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pan style="color: rgb(0, 0, 0); ">전차였다는 점이다. 경합 대상이었던 치니는 더 싸고 빠른 기동력을 가지고 있었지만,</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여러 가지 면에서 치하보다 떨어졌다.</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pan style="color: rgb(0, 0, 0); ">일본 육군은 치니에 관심이 많았지만 전쟁으로 인해 더 강한 치하가 생산된 것이다. 만약 치니가 생산되었다면</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D%83%9C%ED%8F%89%EC%96%91%20%EC%A0%84%EC%9F%81" title="태평양 전쟁"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태평양 전쟁</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pan style="color: rgb(0, 0, 0); ">때 과연 보병 지원이라도 제대로 했을지 의문이다.</span><br></div><br><div><span style="color: rgb(0, 0, 0); ">초기 57mm 포는 곡사포의 변용버전으로, 사실상 박격포나 다름없기 때문에 성능은 100m에서 30mm(…)밖에 뚫지 못하는 경이로운 관통력을 가진데다가</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산탄포</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탄도성능이 떨어져서 제대로 조준해도 포탄이 빗나가는 일이 많았다. 따라서 사실상 대전차전은 불가능했다. 참고로 이는 독일의 2호전차의 20mm 기관포 관통력보다도 떨어지는 것이다. 심지어</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97%EC%8B%9D%20%EB%8C%80%EC%A0%84%EC%B0%A8%20%EC%86%8C%EC%B4%9D" title="97식 대전차 소총"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97식 대전차 소총</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보다 관통력이 좀 떨어진다.</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D%9D%A0%EC%A2%80%EB%AC%B4" title="흠좀무"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흠좀무</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 차라리 이걸 달지? 실제로 당시 경전차나</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E%A5%EA%B0%91%EC%B0%A8" title="장갑차"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장갑차</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pan style="color: rgb(0, 0, 0); ">중에서는</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B%8C%80%EC%A0%84%EC%B0%A8%20%EC%86%8C%EC%B4%9D" title="대전차 소총"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대전차 소총</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을 주 무장으로 쓰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span><br></div><br><div><span style="color: rgb(0, 0, 0); ">이 포를 장착한 89식은 노몬한에서 소련제</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BT"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BT</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pan style="color: rgb(0, 0, 0); ">고속전차에게 개털리게 되는데(사실 노몬한에서 치하는 딱 4대 존재했다), 57mm 유탄포</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따위</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로는 치하만도 못한 장갑을 가진 BT전차들에게조차 이빨조차 제대로 들어가지 않았다. 물론 BT 전차도 장갑이 종잇장이라 500m 이내에서 포탄이 명중하면 격파되지만, 그놈의 유탄포가 포탄이 산탄처럼 흩어질 정도로 탄도성능이 떨어지니...반대로 BT의 45mm 전차포는 제조기술의 열악함과 조준장치의 부실에도 불구하고 1500m에서 치하를 쏘면 완전관통할 지경이었으며, 산탄현상도 당연히 57mm 유탄포보단 덜했다. 게다가 속도는 1.5배, 험지돌파능력은 우수. 결국 일본군은 노몬한에서 40%에 이르는 전차 손실을에 지레 겁을 먹어서 뒤로 빼는데 급급했다. 물론 남겨진 보병들은 소련군 전차부대 앞에……</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C%A7%80%EB%AA%BB%EB%AF%B8" title="지못미"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지못미</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span><br></div><br><div><span style="color: rgb(0, 0, 0); ">상대로 싸웠던 BT전차의 최대 장갑두께는 13mm, 가장 방어력이 높은</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BT"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BT</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7M조차 22mm에 불과하다. 치하는 전체가 25mm. 더구나 BT 전차가 양산되던 시기 소련의 전차용 장갑은 재질이 매우 나빴다. 즉, 방어력에선 치하의 절반 이하로 보는 것이 맞다. 그런 고로 애초부터 대전차 능력을 부여한 95식이 BT전차를 상대로 의외로 선전하는 결과가 나온다. 이는 주코프의 전차집중 운용과도 연관이 있지만.</span><br></div><br><div><span style="color: rgb(0, 0, 0); ">결국 전차를 전면적으로 개량하려고 했지만</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8%88%EC%82%B0%ED%81%AC%EB%A6%AC" title="예산크리"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예산이 없어</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pan style="color: rgb(0, 0, 0); ">포기하고, 결국 포를 개량하는데 그래서 나온 것이 47mm 포였다. 47mm 주포의 베이스가 된것은</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1%EC%8B%9D%20%EA%B8%B0%EB%8F%99%2047mm%20%EC%86%8D%EC%82%AC%ED%8F%AC" title="1식 기동 47mm 속사포"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1식 기동 47mm 속사포</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로 시제품 제작후 1940년 1월 6일부터 9일까지 1차시험을 실시, 이후 2월의 2차시험을 거쳐 7월에는 "시제 47미리 전차포 新"로 명명, 다음해 1월 치바 전차학교에서 전차 탑재 적합판정을 받아 42년 9월에 "1식 47미 전차포"의 명칭으로 제식화 된다.</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br></div><br><div><span style="color: rgb(0, 0, 0); ">여기까지만 본다면 말을 그럴싸하게 적긴 했는데, 애초에 1식 기동 47mm 속사포 자체가 일본해군이</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C%B2%AD%EC%9D%BC%EC%A0%84%EC%9F%81" title="청일전쟁"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청일전쟁</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당시 쓴 저성능의 47mm 속사포를 강하게 참고해서 만든 물건이다. 게다가 전차용의 1식 전차포나 대전차포형인 기동 속사포나 다 이미 개발해놓고</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가제식</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pan style="color: rgb(0, 0, 0); ">처분을 해놓고 양산하지 않았다가 스튜어트에게 당하니까 그제서야 정식 도입한 물건이다. 급하면 실험을 바로 시작하고 결과가 아주 심하게 나쁘지 않는 한 실험을 1-2회 하자마자 바로 채용하는 것이 일본을 포함한 각국의 사정이었으며, 특히 일본이 그런 경향이 심한데 저렇게 몇 개월 들여서 실험이라고 문서에 기록한 것은 한마디로 말해 돈 많이 드니 채용하기 싫었다는 이야기나 다름이 없는 것이다.</span><br></div><br><div><span style="color: rgb(0, 0, 0); ">사실 전차 설계자들도 제작시부터 화력이 열악함을 알고 이보다 더 긴 포를 개발해서 장착할 수 있도록 차체를 좀 더 여유롭게 만들었는데, 이걸 막은 건</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일본군 보병 병과 장교들.</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pan style="color: rgb(0, 0, 0); ">막은 이유도 참 걸작이다. '</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그런 걸 달면 전차가 단독으로 싸울 수 있잖아?</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 그들 입장에서는 전차가 단독으로 활약해서</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A%B8%B0%EA%B0%91" title="기갑"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기갑</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pan style="color: rgb(0, 0, 0); ">부대의 입지를 높이는 것 보다는 보병 부대에 배속되는 보병 전차 수준의 도구만 필요했다는 것. 역시</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A%B0%EB%A6%AC%EC%9D%98%20%EC%A3%BC%EC%A0%81%EC%9D%80%20%EA%B0%84%EB%B6%80" title="우리의 주적은 간부"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일본군 최대의 적은 썩어빠진 간부였다.</span></a><br></div><br><div><span style="color: rgb(0, 0, 0); ">물론 단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최소한 89식 전차보다는 개량되었으며, 처음 개발 당시만 해도 구경만으로는 세계 표준에 근접한 57mm 포를 탑재했고, 당시 전차들의 엔진이 모두 가솔린인 상황에서 전차로서는 최초로 전체 모델에 디젤 엔진을 채용한 선진적인 면도 있긴 했다. 디젤 엔진 자체는 전세대의 89식 중전차부터 탑재가 시작되었지만 89식 중전차는 디젤과 가솔린 엔진이 함께 탑재된 반면 97식 전차에는 디젤 엔진만 탑재되었다. 다른 나라에서는 디젤 엔진을</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T-34"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T-34</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부터 쓰기 시작했다는걸 보면 그래도 그 당시에는 놀랍다고 볼 수 있다고 칭찬해 주고 싶지만, 막상 그 디젤엔진이라는 것은 후술하는 곳을 보면 정나미가 딱 떨어질 정도로 성능이 극악이었다. 또한 당시 기술로는 디젤 엔진으로 인한 진동때문에 포의 명중률이 크게 저하되기 때문에 명중률을 위해서 어쩔수 없이 가솔린 엔진울 사용한것이다. 게다가 2차 세계대전 당시에는 기동중 사격이 별로 사용되지 않고 정지후 사격이 애용되었는데 이럴경우 반응이 빠른 가솔린 엔진이 유리하다. 그래서 어떤 사람들은 소련의 T-34는 대전차전에 대해 그다지 신경쓰지 않았다고 평가하기도 할 정도인데 성능이 극악인 디젤엔진을 사용한 치하는 이미</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B%A7%9D%ED%96%88%EC%96%B4%EC%9A%94" title="망했어요"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망했어요</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span><br></div><br><div><span style="color: rgb(0, 0, 0); ">더 큰 문제는</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이미 개발 당시부터 시대 조류에 약간 뒤떨어졌다</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는 것이자,</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훌륭한 20년대 후반 30년대 초반 전차</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인 치하가</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D%95%84%EB%A6%AC%ED%95%80" title="필리핀"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필리핀</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C%A0%84%EA%B2%A9%EC%A0%84" title="전격전"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전격전</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부터 대전 말기까지 잔재해 있었던 게 문제였다.</span><br></div><br></div></div><div style="line-height: 18px; font-family: Gulim, 'Malgun Gothic', sans-serif; font-size: 12px; "><h2 style="font-family: sans-serif; padding: 10px 2px 4px; border-bottom-width: 1px; border-bottom-style: solid; border-bottom-color: rgb(192, 192, 192); "><a id="s-3"></a><span class="tocnumber"><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97%EC%8B%9D%20%EC%A0%84%EC%B0%A8#toc"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3</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B%84%8C%20%EC%9D%B4%EB%AF%B8%20%EC%A3%BD%EC%96%B4%EC%9E%88%EB%8B%A4" title="넌 이미 죽어있다"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난 이미 죽어있다</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class="perma"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97%EC%8B%9D%20%EC%A0%84%EC%B0%A8#s-3" style="color: rgb(17, 34, 204); visibility: hidden; "></a></h2><div id="sc-3"><div><span style="color: rgb(0, 0, 0); ">대전 개전후 필리핀 전역 당시 노획한</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B%AF%B8%EA%B5%B0" title="미군"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미군</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의 M3</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C%8A%A4%ED%8A%9C%EC%96%B4%ED%8A%B8" title="스튜어트"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스튜어트</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pan style="color: rgb(0, 0, 0); ">경전차를 시험할 때 일본군의 전차포로는 어떻게 하든 관통하지 못해 당시 지휘부를 패닉 상태에 빠뜨렸다고. 당연하게도 스튜어트의 전면장갑은 어떤 상황에서도 관통불가, 치하 3대를 동원해 측면을 0거리 초근접 3발 속사로 관통에 성공했다고 한다. 참고로 정상적인 거리에서 치하의 57mm포로 스튜어트를 쏠 경우에는 고작 페인트칠만 벗겨지는 수준이었다니 안습할 뿐이다. 더불어 이때 노획한 M3는 대전 말기 일본군의 소수 시험적 전차를 제외하고는 종합전투력이 가장 높은 전차로 남았고, 전쟁이 끝날 때까지 일본군 기갑부대의 히든카드로서 투입되었으며, 물론 셔먼에게 털려나갔다.</span><br></div><br><div><span style="color: rgb(0, 0, 0); ">이런 쓴맛을 보고서야 앞서 언급한 47mm포를 장착한 치하改는 조금 사정이 나아서, 1942년 4월 3일 12시 정각에 노획한 M3 스튜어트에 대해 실시된 사격 시험에서는 1,000m 거리에서 명중한 47mm 전차포탄 6발 중 3발이 전면장갑을 관통, 800m 거리에서는 9발 중 6발이 전면장갑 관통하는데 성공했다. 근데 문제는 시험대상이 스튜어트며, 더 큰 문제는 이 실험에 사용된 정밀한 포탄과는 달리 실제 전선에서는 생산능력과 기술, 자재부족으로 인해 철갑탄이 착탄시 깨지는 현상까지 발생해서 관통력이 더 저하되었다는 사실이다.</span><br></div><br><div><span style="color: rgb(0, 0, 0); ">여기에 더하여, 그 당시 싸웠던 미군은 코레히도르에 쳐박아둔 오래된 물건도, 보급물자도 맥아더가 뻘짓한다고 바탄반도에서 날려먹는 등 상태가 매우 좋지 않았다. 솔직히 스튜어트는 주력 전차도 아니었다. 그리고 결국 제대로 미군이 일본군과 맞서려고 가져온, 태평양의</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D%8B%B0%EA%B1%B0" title="티거"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티거</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가 되어 버린</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M4%20%EC%85%94%EB%A8%BC" title="M4 셔먼"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M4 셔먼</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pan style="color: rgb(0, 0, 0); ">중형 전차를 정면에서 상대하는 건 사실상 불가능했다. 그러나 셔먼 최대의 약점인 38mm 수직 측면장갑을 관통하는 것은 매우 제한된 조건하에서 가능해서, 매복 기습공격으로 약 20미터 이내 M4를 격파한 사례가 5-6건 있었다. 물론 다 역관광 당했다고 한다. 더 안습인 건 그나마도 이론상 내야 할 수치조차 제대로 내지 못해 100미터 이내의 지근거리에서조차 포탄이 깨지는 등의 이유로 관통에 실패한 사례 역시 다수 보고되었다. 이쯤 되면 불쌍하다.</span><br></div><br><div><span style="color: rgb(0, 0, 0); ">사실 유럽 전선에서 셔먼도 티거한테 비슷한 짓을 당하긴 했지만 이건</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비교하기가 너무 안습</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하다(…). 애초에</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C%85%94%EB%A8%BC" title="셔먼"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셔먼</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은 일단 피해는 커도 여럿이 덤비면</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잡긴 잡았다.</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pan style="color: rgb(0, 0, 0); ">개량형인</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D%8C%8C%EC%9D%B4%EC%96%B4%ED%94%8C%EB%9D%BC%EC%9D%B4" title="파이어플라이"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파이어플라이</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는 말할 것도 없었고.</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근데 치하 얘는 그냥 답이 없었다.</span></strong><br></div><br><div><span style="color: rgb(0, 0, 0); ">장갑 또한 매우 열악해서, 장갑 두께가 25mm밖에 안 되었다. 표면경화장갑을 쓰고 경사장갑으로 만들었다고 해도 장갑 두께가 너무 얇아 소용이 없을 지경이다. 장갑이 이 모양이니 미군의 모든 대전차화기와 전차포에 관통되었고, 심지어는 앞뒤로 관통해서 승무원은 무사했다는 소리까지 있을 정도였다.물론 반대 주장도 있어서, 태평양 전쟁 당시 학병 장교로서 전차</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C%86%8C%EB%8C%80%EC%9E%A5" title="소대장"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소대장</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이었던</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C%8B%9C%EB%B0%94%20%EB%A3%8C%ED%83%80%EB%A1%9C" title="시바 료타로"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시바 료타로</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라는 사람은</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그 정도로 약했다면 차라리 전사자가 적었을 것을, 어중간히 튼튼하게 해서 전사자만 양산했다."</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고 비난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건 비꼰 말이라는 주장도 있으니 참고바란다.</span><br></div><br><div><span style="color: rgb(0, 0, 0); ">덕분에 이런 현상을 경험한 셔먼은 탄종을 철갑탄에서 일반</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B%8C%80%EC%9D%B8%EC%9C%A0%ED%83%84" title="대인유탄"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대인유탄</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으로 바꿨고, 대인유탄을 발사하니 마치 철갑탄처럼 치하의 전면장갑을 관통하고 내부폭발, 바로 치하는 숯덩어리가 되었다고 한다. 이런 문제로 "어떻게 된 장갑이 안에서 쏘는 것은 막고 밖에서 쏘는 것은 들어오는 지 모르겠다. 차라리 종이였다면 내부에서 쏘는 것도 밖으로 나갈 것 아니냐!"란 이야기가 나올 지경인 불만족스러운 방호력을 조금이나마 개선해보려고 증가장갑을 장착한 승무원이,</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C%A1%B0%EC%A7%80%20S.%20%ED%8C%A8%ED%8A%BC" title="조지 S. 패튼"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조지 S. 패튼</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같은 서부전선 미군의 지휘관처럼 전차의 기동성 저하를 이유로 징계를 먹은 것도 아니고, '</span><strong><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B%8D%B4%EB%85%B8" title="덴노"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천황</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pan style="color: rgb(0, 0, 0); ">폐하의 하사품에 손을 댔다</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는 말도 안 되는 이유로 징계를 먹은</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Warhammer%2040000" title="Warhammer 40000"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Warhammer 40000</span></a><tt class="foot" style="font-family: Tahoma, lucida, monospace; vertical-align: super; font-size: 11px; "><a id="rfn1"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97%EC%8B%9D%20%EC%A0%84%EC%B0%A8#fn1" title="이 세계관에선 함부로 마개조했다간 기계에 악마가 씌워지는 등 진짜 문제가 발생할수도 있는지라 금지하는 것이다. 그런데 일본군은..."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1]</span></a></tt><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pan style="color: rgb(0, 0, 0); ">볼 수 있을법한 일은 매우 유명하다. 저 사건으로 소대장인 장교 한명이 강등당하기도 했다. 실제로 당시 일본은 자국의 병기가 성능이 뒤떨어져도</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위대하신 천황 페하께서 하사하신 것</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이었기에, 이를 개조하거나 적군의 것을 노획해서 쓰면</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신성 모독으로</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C%82%AC%ED%98%95" title="사형"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사형</span></a></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이었다. 물론 나중 가면 'ㅆㅂ 당장 우리 목숨이 오락가락한데!' 하면서 처벌을 감수하고 노획해 썼다.</span><br></div><br><div><span style="color: rgb(0, 0, 0); ">이와 유사한 사례로 1930년대말 소련</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B%8C%80%EC%88%99%EC%B2%AD" title="대숙청"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대숙청</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pan style="color: rgb(0, 0, 0); ">시기 상부 지시 없이 훈련했다고</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del><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E</span></a></del><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pan style="color: rgb(0, 0, 0); ">숙청당한 장교들이 있다. 무조건적인 복종만을 요구하는 전체주의 체제의 전형적인 폐단이다. 더 놀라운 사실은 치하가 증가장갑까지 붙여야 할 정도로 강력했던 적 전차는</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C%8A%A4%ED%8A%9C%EC%96%B4%ED%8A%B8" title="스튜어트"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미군의 신형</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경전차(…)</span></strong></a><span style="color: rgb(0, 0, 0); ">라는 것. 진짜 중전차가 나오고 나서는… 이하생략. 그리고 마지막 안습으로, 목숨걸고 증가장갑을 달았더니 중량이 늘어나 엔진 출력이 못 버텼다고 한다...</span><br></div><br><div><span style="color: rgb(0, 0, 0); ">결국 아직도</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D%95%A0%ED%9E%8C%EA%B3%A8%20%EC%A0%84%ED%88%AC" title="할힌골 전투"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할힌골 전투</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pan style="color: rgb(0, 0, 0); ">수준에 머무른 일본 기갑 부대는 시대에 뒤쳐진 대가를 제대로 치뤄야 했다.</span><br></div><br><div><span style="color: rgb(0, 0, 0); ">더구나 전차마다 장갑의 주조 상태도 일정하지 못했던 것 같다. M4 셔먼을 영거리에서 사격해 잡으려고 맹렬히 돌진해 셔먼의 차체와 충돌, 셔먼은 멀쩡하고 치하는 우그러진 채 반파됐다는 목격담도 있다. 물론 치하 전차 모두가 이 정도로 종이장갑은 아니었지만 전차마다 수준이 들쭉날쭉한 모양.</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br></div><br><div><span style="color: rgb(0, 0, 0); ">거기다 장갑 접합을 리벳으로 모두 처리했기 때문에, 간간히 피격당할 시 리벳이 모두 튀어나가서 전차 내부에서 날뛰는 바람에 내부 승무원이 벌집이 되서 몰살당하는</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C%A2%85%20%ED%9A%A8%EA%B3%BC" title="종 효과"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종 효과</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를 의심해 볼만한</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D%8C%90%ED%83%80%EC%A7%80" title="판타지"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판타지</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스러운 상황도 많았다. "달리는 관"이라는 별명을 가진</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D%B4%ED%83%88%EB%A6%AC%EC%95%84%EA%B5%B0" title="이탈리아군"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이탈리아군</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의 "카로 아르마토</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M13/40" title="M13/40"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M13/40</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C%A0%84%EC%B0%A8" title="전차"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전차</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도 비슷한 이유로 욕을 먹었다.</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del><span style="color: rgb(0, 0, 0); ">하지만 치하보다는 성능이 월등히 좋았다...</span></del><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pan style="color: rgb(0, 0, 0); ">그래서 실제로</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B%8C%80%EC%A0%84%EC%B0%A8%EC%98%A4%ED%95%A8%EB%A7%88%EC%88%A0" title="대전차오함마술"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대전차오함마술</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이 가능할 지경. 미국의 그랜트 전차도 리벳접합방식인데 아프리카 전선에서 독일군 포탄에 관통당하지 않아도 충격 받은 철판의 리벳이 헐거워져 분리직전으로 가는 상황이 일어났다. 다만 리벳이 내부로 튀는 일은 없었다고 한다.</span><br></div><br><div><span style="color: rgb(0, 0, 0); ">세간에는 우스개 소리로</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C%86%8C%EC%B4%9D" title="소총"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소총</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에도 뚫린다는 소리가 있지만 실제로 말처럼 뻥뻥 뚫리지는 않는다. 믿기지 않을지도 모르겠지만, 아무리 약체라 해도 어쨌든간</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일단 전차는 전차이기에</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pan style="color: rgb(0, 0, 0); ">이론상 12.7mm</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M2%20%EC%A4%91%EA%B8%B0%EA%B4%80%EC%B4%9D" title="M2 중기관총"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M2 중기관총</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이 바로 붙어서 쏘면 박살나는 정도고 소총탄에 잘 뚫리진 않는다. 단, 이런 소문이 아주 근거 없이 나온건 아닌데, 치하가 아니라 95식 경전차인</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D%95%98%EA%B3%A0" title="하고"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하고</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는 정말 소총탄에도 뚫렸기에 이게 치하가 뚫렸다는 것으로 와전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전쟁 말기에는 물자부족으로</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C%8A%A4%ED%85%8C%EC%9D%B8%EB%A6%AC%EC%8A%A4" title="스테인리스"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양철</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까지 동원하여 부품을 만들었다는 루머(사실 책상다리로 소총까지 만들 지경이었다.)도 있으므로 완전히 불가능한 것은 아니며</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C%B2%A0%EA%B0%91%ED%83%84" title="철갑탄"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철갑탄</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을 장전한</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M1%20%EA%B0%9C%EB%9F%B0%EB%93%9C" title="M1 개런드"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M1 개런드</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로 측면이나 후방 엔진룸을 노렸을 경우 실제로 뚫리는 사례가 있었다고 한다.</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아예 염산을 투척하여 녹이는 전술</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이 미군 측에서 검토해봤다는 사실만으로도 이 전차의 장갑재질이 얼마나 극악을 달렸는지는 더이상의 설명이 필요없다.</span><br></div><br><div><span style="color: rgb(0, 0, 0); ">그리고 소총탄에 견뎌봐야 어차피 보병용 대전차화기에 터지는 건 똑같다. 2차대전 당시 보병들은 이미 휴대가 가능한 대전차화기를 갖고 있었고, 그들을 상대로 치하는 조금도 견디지 못했기 때문이다. 미군의 경우 치하에게 쓰기는 과도할 정도의 파괴력을 지닌</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B%B0%94%EC%A3%BC%EC%B9%B4" title="바주카"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바주카</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를 가지고 있었고, 실제로 1944년 6월 16일 미군 보병들은</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C%82%AC%EC%9D%B4%ED%8C%90" title="사이판"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사이판</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상륙 교두보에 야간 기습해 온 치하로 구성된 제9전차연대를 바주카만으로 전멸시켰다. 아</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B%A7%9D%ED%96%88%EC%96%B4%EC%9A%94" title="망했어요"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망했어요</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span><br></div><br><div><span style="color: rgb(0, 0, 0); ">그럼 다른 나라는? 독일군은</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D%8C%90%EC%B2%98%EC%8A%88%EB%A0%89" title="판처슈렉"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판처슈렉</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과</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D%8C%90%EC%B2%98%ED%8C%8C%EC%9A%B0%EC%8A%A4%ED%8A%B8" title="판처파우스트"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판처파우스트</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 영국군은</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PIAT"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PIAT</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pan style="color: rgb(0, 0, 0); ">대전차 로켓포, 소련군은</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B%8C%80%EC%A0%84%EC%B0%A8%20%EC%86%8C%EC%B4%9D" title="대전차 소총"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대전차 소총</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으로 무장하고 있었다. 아무리 치하라도 대전차 소총 정도는 막을 수 있지 않겠느냐고? 애초에 치하의 장갑이 매우 부실해서 소련군 대전차 소총정도면 가볍게 뚫는 판이었다. (100미터 기준 30~40밀리 관통) 그리고 소련군에는 이럴 때 쓸 대전차 병기가 아주 많다. T-34, IL-2 지상공격기, SU-152, 76.2mm 야포등... 게다가 2차 세계대전 당시 최정상의 전투력을 자랑했던 나치 독일군 기갑군단에게서 수많은 피로 얻어낸 전투경험(…)까지 더하면</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del><span style="color: rgb(0, 0, 0); ">그만 둬! 이미 치하의 HP는 0이야!</span></del><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D%8E%98%EB%A5%B4%EB%A7%88%EC%9D%98%20%EB%8C%80%EC%A0%95%EB%A6%AC" title="페르마의 대정리"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아직 언급하지 않은 수단이 많이 있지만, 엔하위키의 여백이 부족해서 여기에 기록하지 않는다.</span></a><br></div><br><div><span style="color: rgb(0, 0, 0); ">그러므로</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B%8C%80%EC%A0%84%EC%B0%A8%EC%B4%9D%EA%B2%80%EC%88%A0" title="대전차총검술"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대전차총검술</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밖에 없는 일본군과는 질이 다른 셈이고, 이런 놈들을 만난 치하는 생명의 위협을 느낄 수밖에 없었다. 보병 깔아뭉개라고 만든 전차가 보병들에게 학살당하는 꼴이 되는 것이다.</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br></div><br><div><span style="color: rgb(0, 0, 0); ">세계 최초로 채용했다던 전차용 디젤 170HP 엔진을 탑재하고 있었는데, 각 방산업체대로 엔진이 달라 전선보급에 난항을 겪었다. 최초의 전차용 디젤 엔진이란 면에서 선진적이었으나</span><tt class="foot" style="font-family: Tahoma, lucida, monospace; vertical-align: super; font-size: 11px; "><a id="rfn2"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97%EC%8B%9D%20%EC%A0%84%EC%B0%A8#fn2" title="사실 전차대에서는 디젤엔진을 별로 좋아하지 않았지만, [[가솔린]]을 항공대에 모조리 빼앗기다시피 하는 바람에 [[경유]]를 쓰는 디젤엔진 채용을 받아들일 수 밖에 없었다고"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2]</span></a></tt><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pan style="color: rgb(0, 0, 0); ">시베리아를 바라보고 만든 엔진은 폭염의 정글에서 쉽게 트러블을 일으켰고 톤당 마력비에는 쾨니히스 티거보다 떨어지는 능력을 보여줬다. 덕분에 험지 돌파능력, 기동력이 상당히 안 좋았다. 여기에 더해서 엔진을 가동하면</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사이렌</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과 비슷한 수준의 냉각팬 소음이 나서 동네방네 위치를 알려주는 기능까지 있다. 이에 더해서 매연이 심해서 연막탄을 터뜨리는 수준이었다.</span><br></div><br><div><span style="color: rgb(0, 0, 0); ">설상가상으로</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열악한 디젤엔진 기술로 인하여 디젤 엔진의 떨림으로 초탄명중률저하 및 서스펜션 부담이 심했다.</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pan style="color: rgb(0, 0, 0); ">게다가 서스펜션 역시</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피아노 선</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이 대전차 무기로 사용될 정도로 내구성이 막장이었다. 원래 피아노 선을 철조망 처럼 깔아놓으면 선과 엉긴 서스펜션이 고장을 일으키지만 일반적인 전차에는 그런 효과를 기대하고 설치하지는 않고 단지 엉겨서 나중에 다른 수단으로 서스펜션이 망가지면 효과를 내라고 설치하지만 치하는 이것으로 충분했던 것.</span><br></div><br><div><span style="color: rgb(0, 0, 0); ">덤으로</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B%AC%B4%ED%95%9C%EA%B6%A4%EB%8F%84" title="무한궤도"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무한궤도</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pan style="color: rgb(0, 0, 0); ">역시 튼튼하지도 않은 놈이 포장도로 같은 곳을 달리면 엄청난 소음을 내는 기괴한 놈인지라 일본군이 전차를 대동하고 성공적인 야습을 한 경우는 폭우가 내리는 등 주변 소음이 시끄러운 경우에 한하며, 이런 경우에도 야지에서 좀 무리한다 싶으면 바로바로 퍼져주는 유리같은 내구성을 보여주었다.</span><br></div><br><div><img alt="http://pic50.picturetrail.com/VOL437/658868/10754765/346168588.jpg" src="http://pic50.picturetrail.com/VOL437/658868/10754765/346168588.jpg"><br><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참 귀엽게도 생겼다.</span></strong><br></div><br><div><img alt="http://www.pacificwrecks.com/tank/type97-chi-ha/saipan/2004/type97-best.jpg" src="http://www.pacificwrecks.com/tank/type97-chi-ha/saipan/2004/type97-best.jpg"><br><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A%B0%9C%EB%B0%9C%EC%82%B4" title="개발살"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개발살</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난 치하.</span><br></div><br><div><span style="color: rgb(0, 0, 0); ">그래서 치하의 유일한 용도는</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귀여운 외형으로 미군의 동정심을 사는 것밖에 효용이 없다</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고 평가받을 정도였으며,</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del><span style="color: rgb(0, 0, 0); ">그마저도</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A%B3%A8%EB%A6%AC%EC%95%84%ED%8A%B8" title="골리아트"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골리아트</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에게 밀린다.</span></del><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pan style="color: rgb(0, 0, 0); ">정말로 크기만 봐도 평균 신장이 작은 일본인이지만 용케도 3명이 들어간다 싶을 정도로 작다. 이런 시각은 미군도 마찬가지였는지</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치하를 격파해도 전차 파괴로 치지 않았다</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고 한다. 서부 전선에서 최소 동급인</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4%ED%98%B8%20%EC%A0%84%EC%B0%A8" title="4호 전차"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4호 전차</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나</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3%ED%98%B8%20%EB%8F%8C%EA%B2%A9%ED%8F%AC" title="3호 돌격포"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3호 돌격포</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 운 없으면</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D%8C%90%ED%84%B0" title="판터"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판터</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와</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D%8B%B0%EA%B1%B0" title="티거"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티거</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에 대항해서 목숨 걸고 싸우는 셔먼 승무원에게 실례가 된다나 뭐라나(…).</span><br></div><br><div><span style="color: rgb(0, 0, 0); ">소련군의</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T-34"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T-34</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도</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8%EC%9B%94%EC%9D%98%20%ED%8F%AD%ED%92%8D%20%EC%9E%91%EC%A0%84" title="8월의 폭풍 작전"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8월의 폭풍 작전</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에서 치하와 만났는데, 그 결과는</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B%8D%94%20%EC%9D%B4%EC%83%81%EC%9D%98%20%EC%9E%90%EC%84%B8%ED%95%9C%20%EC%84%A4%EB%AA%85%EC%9D%80%20%EC%83%9D%EB%9E%B5%ED%95%9C%EB%8B%A4" title="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span><br></div><br><div><span style="color: rgb(0, 0, 0); ">호주군은 영국이 제2차 세계대전 초기에 사용했던</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B%A7%88%ED%8B%B8%EB%8B%A4%28%EC%A0%84%EC%B0%A8%29" title="마틸다(전차)"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마틸다</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를 주력으로 썼고, 이 전차 역시 치하와 교전했다. 아무리 치하라도 그 정도는 이길 수 있지 않냐고?</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A%B7%B8%EB%9F%B0%20%EA%B1%B0%20%EC%97%86%EB%8B%A4" title="그런 거 없다"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그런 거 없다</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 마틸다의 전면장갑은 셔먼보다 더 두꺼웠다. 이걸 파괴하려면 독일제 88mm 대공포가 필요한데</span><tt class="foot" style="font-family: Tahoma, lucida, monospace; vertical-align: super; font-size: 11px; "><a id="rfn3"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97%EC%8B%9D%20%EC%A0%84%EC%B0%A8#fn3" title="마틸다라는 물건은 공격력과 기동력 면에 있어서는 형편없지만 방어력은 상당한 물건이다. 실제로 독일군은 토부룩에서 마틸다와 싸운후 "전차의 주포에 파괴되지 않는 전차를 만드는 것은 반칙이다"라고 영국군을 비난하고는 88mm 대공포를 가져와서 마틸다를 파괴했다. 다른 대전차포는 전혀 안 통하기 때문에 그 수밖에 없었다고."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3]</span></a></tt><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pan style="color: rgb(0, 0, 0); ">일본군에는</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A%B7%B8%EB%9F%B0%20%EA%B1%B0%20%EC%97%86%EB%8B%A4" title="그런 거 없다"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그런 거 없다</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 그래서 75mm 야포부터 시작해서 육탄공격까지 모든 수단을 다 동원해야 했지만, 측면에 구멍을 내는 것이 한계였고 그나마 그렇게라도 격파한 전차는 딱 한 대(...)</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B%8B%B5%EC%9D%B4%20%EC%97%86%EB%8B%A4" title="답이 없다"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답이 없다</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 게다가 마틸다의 주포인</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2%ED%8C%8C%EC%9A%B4%EB%8D%94" title="2파운더"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2파운더</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구경 40mm)가 약하다고는 하지만 치하 상대로는 충분하고도 남았다. 아</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B%A7%9D%ED%96%88%EC%96%B4%EC%9A%94" title="망했어요"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망했어요</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br></div><br><div><span style="color: rgb(0, 0, 0); ">그래도 적의 장갑차를 상대로는 어느 정도 선전하지 않겠냐고?</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A%B7%B8%EB%9F%B0%20%EA%B1%B0%20%EC%97%86%EB%8B%A4" title="그런 거 없다"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그런 거 없다</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 미군의</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C%A0%95%EC%B0%B0%20%EC%9E%A5%EA%B0%91%EC%B0%A8" title="정찰 장갑차"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정찰 장갑차</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인 M8</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A%B7%B8%EB%A0%88%EC%9D%B4%20%ED%95%98%EC%9A%B4%EB%93%9C" title="그레이 하운드"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그레이 하운드</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에는 37mm 포가 달려 있었다! 이걸 상대로 싸울 경우 치하의 장갑판은 당연히 뚫린다. 그리고 독일군의 장갑차인</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D%91%B8%EB%A7%88" title="푸마"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푸마</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의 경우 무려</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50mm 포를 장비하고 있다!</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br></div><br><div><span style="color: rgb(0, 0, 0); ">딱 하나 위안이 있다면,</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M18%20%ED%97%AC%EC%BA%A3" title="M18 헬캣"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M18 헬캣</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과 싸울 경우 '먼저 보고 쏘면 이길 수 있다'는 거다.</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del><span style="color: rgb(0, 0, 0); ">그런데 이거 미군 장갑차량중에서도 가장 허약한 거잖아? 안 될거야 아마</span></del><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pan style="color: rgb(0, 0, 0); ">만약 상대가 먼저 쏘면</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C%A7%80%EB%AA%BB%EB%AF%B8" title="지못미"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지못미</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span><br></div><br><div><span style="color: rgb(0, 0, 0); ">결국 치하의 한계를 뼈저리게 느끼고 대전 개전후에서야 '전차를 상대하는 전차'에 대해 느낀 일본군부는 1식</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C%B9%98%ED%97%A4" title="치헤"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치헤</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 3식</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C%B9%98%EB%88%84" title="치누"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치누</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 4식</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C%B9%98%ED%86%A0" title="치토"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치토</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 5식</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C%B9%98%EB%A6%AC" title="치리"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치리</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pan style="color: rgb(0, 0, 0); ">등을 개발하지만, 그 차량을 탈 승무원들에겐 불행중 다행으로 실전에 투입되지 않았다. 일단 개발된 전차 모두가 시대에 뒤떨어진데다가 재질도 꽝, 제조 자체도 막장인데 반해 그때 정도 되면 미군은 셔먼도 M4A3E8같은 중후기형이나</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대전차포</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인 76mm포 장착형, 그리고</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M26%20%ED%8D%BC%EC%8B%B1" title="M26 퍼싱"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M26 퍼싱</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이 주력화되는 시기이므로 실전에 나와봤자 치하의 전철이나 밣았을 것이다.</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br></div><br><div><span style="color: rgb(0, 0, 0); ">그런데 중국의 평가는 의외로 놀랍다. 소련군이 만주를 점령하면서 노획한 97식 전차들을 양도받아 기갑전력으로 사용한 공산당군은 국공내전에서 아주 잘 써먹으며 스튜어트와 셔먼으로 기갑전력을 구축한 국민당군을 농락했다.</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del><span style="color: rgb(0, 0, 0); ">이것으로 일본군이 병크군대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span></del><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pan style="color: rgb(0, 0, 0); ">"벙커와 토치카 정도는 충분히 부수고, 보병용 총탄도 막아내는 방어력도 있고, 무엇보다도</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셔먼은 물론 스튜어트 경전차조차 통과할 수 없다는 지형에서도 기동하는데 별다른 장애가 없어서</span></strong><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span style="color: rgb(0, 0, 0); ">기습적인 기동전을 치루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 물론 이런 결과는 스펙상 성능이 좋다기 보다는 국민당군이 지레짐작으로 그 지형은 전차가 가지 못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한다.</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br></div><br><div><span style="color: rgb(0, 0, 0); ">요컨대 데이터상의 능력이 형편없는 치하도 사용하는 측의 능력이 상대방보다 낫다면 쓸만한 무기가 된다는 것으로, 제2차 세계대전당시 일본군의 기갑전과 전략적 기동전에 대한 개념이 얼마나 저열했는지를 짐작할 수 있다. 물론 위의 사례는 팔로군의 상대인 국민당군의 능력이 별로 대단치 않다는 사실, 그리고 얼마 안가 국민당군의 무기를 몽땅 노획해서 사용했다는 것을 감안해야겠지만.</span><br></div><br><div><span style="color: rgb(0, 0, 0); ">참고로 중국에서 사용된 치하들은</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D%95%9C%EA%B5%AD%EC%A0%84%EC%9F%81" title="한국전쟁"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한국전쟁</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에도 참가했다는 사진과 기록이 남아있다. 물론 결과는 공중폭격으로 박살나거나 UN군 전차의 사격으로 고철덩이화. 결국에는 제조국이 망했어도</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M26%20%ED%8D%BC%EC%8B%B1" title="M26 퍼싱"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M26 퍼싱</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이나</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C%84%BC%EC%B6%94%EB%A6%AC%EC%98%A8" title="센추리온"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센추리온</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을 피하지 못했다는 이야기.</span><br></div><br><div><span style="color: rgb(0, 0, 0); ">야스쿠니 신사를 참관한 한 기갑부대 소속</span><span style="color: rgb(0, 0, 0); "> </span><a target="_blank" href="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E%90%EC%9C%84%EB%8C%80" title="자위대" style="color: rgb(17, 34, 204); "><span style="color: rgb(0, 0, 0); ">자위관</span></a><span style="color: rgb(0, 0, 0); ">은 조상들이 이런걸 타고 전쟁을 했다는 걸 믿을 수 없다는 말을 남겼다.</span><br></div></div></div><p><br></p>
    YSJL의 꼬릿말입니다
    출처: 엔하위키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2/08/19 03:32:51  14.46.***.154  단지씨
    [2] 2012/08/19 03:50:55  218.55.***.61  라르페시
    [3] 2012/08/19 05:03:06  14.56.***.107  Noble6
    [4] 2012/08/19 10:33:31  222.99.***.190  ANONA
    [5] 2012/08/19 11:28:44  221.143.***.146  
    [6] 2012/08/19 17:51:41  121.175.***.207  가가부부
    [7] 2012/08/19 20:40:41  112.172.***.104  wassup
    [8] 2012/08/20 15:39:44  220.88.***.42  쿨한A형
    [9] 2012/08/20 23:01:37  203.255.***.243  쉐쿠
    [10] 2012/08/21 03:21:38  1.250.***.73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16338
    꿈에 럭스나옴... [10] urrrrgurrr 12/08/21 23:02 11460 37
    515909
    정준하의 제 1의 전성기.... [12] 저여기있서현 12/08/21 01:41 13971 36
    516004
    아이유는 점점 갈수록 안쓰러워보인다. [6] 레몬하트 12/08/21 11:31 14487 36
    516159
    브금 - 사탕 [15] 리베르타스 12/08/21 17:40 6926 36
    516220
    춘향뎐 [3] 화난엉덩이 12/08/21 19:23 5048 35
    516007
    핫쓰궁디.swf [6] 노시팔 12/08/21 11:32 9686 35
    516015
    G고릴라 스토커 이제는 허영생으로 갈아탐 ㄷㄷㄷㄷ [12] 임시닉네임 12/08/21 11:49 17714 35
    516155
    먼 검색어가 다 룸싸롱이여 ㅋㅋ [11] 유머사냥꾼 12/08/21 17:37 4255 35
    516210
    다시 한번 되돌아보는 연예계 화제의 거짓말 [5] 새벽여울 12/08/21 18:59 15365 35
    516275
    오유 시게가 굉장한 곳이었군요 ㅋ [14] 염제신농씨 12/08/21 21:15 4174 35/13
    밀) 일본 重전차의 위엄 [12] YSJL 12/08/21 03:21 21758 34
    515948
    슴시카와 마법의 브금.swf [12] 노시팔 12/08/21 04:29 17369 34
    516044
    PC방 진상손님의 종류 [27] 피카츄개객기 12/08/21 13:21 27459 34
    516116
    ㅍㅅ [15] 찜중탕소 12/08/21 16:10 9240 34
    516172
    고래상어... [9] 고래상어줍 12/08/21 18:03 6785 34
    516209
    박근혜 "권여사, 얼마나 가슴아플지 잘 이해" [15] 유체이탈가카 12/08/21 18:59 3984 34
    516306
    만약 일베나 디시에서 이 일로 자료 만들어 퍼뜨리면 [8] 오줌발싸히히 12/08/21 21:45 7588 34
    516339
    앙리의 드리블...swf [9] 쉬룐 12/08/21 23:03 7051 34
    516356
    길 vs 하하 지식 배틀 2 (사우나 편).avi [5] Aokizi 12/08/21 23:41 5582 33
    515961
    [펌] Women's Health (3) [5] Lano 12/08/21 07:06 8938 33
    515998
    8.21.만평..재정 자립도 [4] 닭날다Ω 12/08/21 11:18 6303 33
    516070
    요즘 오유 들어오면 무한도전때문에 [4] 우주로가자 12/08/21 14:44 5679 33
    516128
    (BGM) 업그레이드판 마인부우유 [8] 푸른참치 12/08/21 16:33 9657 33
    516168
    PSY in LA [11] 이부장 12/08/21 18:01 6675 33
    516204
    [엠팍펌] 이번 드래프트 각팀 별 분위기.jpg [13] 투덜이스머프 12/08/21 18:52 6961 33
    516315
    두발로 냥! [6] 단호박양갱 12/08/21 22:03 7553 33
    516215
    골든타임 쾌나다 가기 전에 밥 한번 묵읍시다!! .swf [6] 무사만루 12/08/21 19:21 3935 32
    515908
    무한도전 롤링페이퍼특집 (다른형식)...swf [10] 쉬룐 12/08/21 01:41 5991 32
    516022
    무한도전 배경화면 [5] 부우느님 12/08/21 12:05 8738 32
    516046
    도저히 믿기지 않는 이광수 나이.swf [5] 윤퍼플 12/08/21 13:24 8757 3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다음날짜   이전날짜→
    2012/08/25 2012/08/24 2012/08/23 2012/08/22 2012/08/21 2012/08/20 2012/08/19 2012/08/18 2012/08/17
    날짜검색 : 예)2004/09/07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