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백살이다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3-09-27
    방문 : 1046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백살이다님의 댓글입니다.
    번호 제목 댓글날짜 추천/비공감 삭제
    190 진짜 열심히 해야겠네요 [새창] 2014-10-09 16:39:27 0 삭제
    천체물리학을 공부하고 싶으시면 천문학과를 가셔야 할 것 같습니다

    천체물리학은 이미 물리학에서 분리되어 나갔기 때문에
    관련된 지식을 얻으실 수 없을거에요

    실제로도 제 주변에 천체물리학을 생각하고 물리과에 왔다가 흥미를 못느끼고 공부를 포기한 사람 여럿 되요
    189 “김문수, 산불 난 날 소방헬기 타고 지역행사 참석” [새창] 2014-10-08 23:39:44 4 삭제
    진짜 이 사람
    188 10년을 기다린 성지 글, 청색 발광 다이오가 그렇게 대단한 건가요? [새창] 2014-10-08 20:47:10 67 삭제
    물리학자입니다

    사실 노벨 물리학상 선정에는 ground-breaking finding이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해왔습니다.
    blue LED가 십년전엔 (무려 실험실 수준에서도) 아주 구현하기가 어려웠고
    이걸 구현해내는 것이 학계의 뜨거운 이슈이긴 했습니다.

    하지만 청색광을 내는 것이 기술적으로 어려웠던 것이지
    그 원리 자체는 적색광을 내는 기존의 LED와 다를 바가 없습니다.
    모두들 고등학교때 보어의 원자모형 배워서 아시겠지만, 청색광에 해당하는 wide bandgap 반도체를 이용하는 것이 전부죠.
    그간 노벨 물리학상이 기존의 상식을 깬다던지, 새로운 물리학의 원리를 밝혀낸다던지 하는 주제들에게 주어졌던 것에 비하면
    이번 수상은 사실 조금 궤를 달리하는 것만은 사실입니다.

    물론 수많은 wide bandgap 물질 중에서 하나를 골라 안정적인 소자를 고안하고 기어이 청색광을 구현한 업적을 폄하하려는 것은 아닙니다.
    그치만 저 또한 물리를 연구하는 한 사람으로써
    과연 blue LED에 어떠한 새로운 물리학이 담겨있는지는 의문입니다.
    187 진짜 열심히 해야겠네요 [새창] 2014-10-08 16:57:05 0 삭제
    룰루랄랏//
    공감합니다. 사실 작년에 힉스가 받은 것도 그렇고
    뭔가 요즘엔 물리학상 받을만한 껀수가 떨어진게 아닌가 싶습니다.
    사실 blue LED는 솔직히 말해서 ground-breaking finding도 아니고 new physics도 아니니까요.

    뭐 요즘 Majorana Fermion을 실험적으로 찾았단 소리가 솔솔 나오는거 보니
    new physics 쪽으로 하나 나오겠죠.
    186 와우 고효율 청색LED가 노벨 물리학이네요 ㄷㄷ [새창] 2014-10-08 03:20:04 0 삭제
    이미 백색광도 나왔는데

    작성자님 챙피하라고 추천하는 분이 안계시네요
    역시 과게님들은 착해 +ㅁ+
    185 여행기를 출간하게 되었는데, 제목이... [새창] 2014-10-03 05:35:38 2 삭제
    여행하면 생길거 같죠?
    184 대한민국 서민은 향후 50년간은 지옥문 열린겁니다. [새창] 2014-10-03 05:33:59 0 삭제
    전 1이 아니면 4
    것도 아님 3 해야죠 흑
    183 포트란 유저는 안계십니까 [새창] 2014-10-02 02:50:31 0 삭제
    아유 다들 반갑습니다
    전 순수학문에 종사하다보니
    아직도 포트란 판에서 살거든요
    182 원 게시글이 삭제되었습니다. [새창] 2014-10-01 19:21:08 12 삭제
    어차피 안비슷하게 만드느냐 고생할텐데

    그 고생할 정력으로 새로 만들지
    181 원 게시글이 삭제되었습니다. [새창] 2014-09-30 22:24:03 1 삭제
    More generally, the term "Olympic spirit" is an oft-referred-to but perhaps vaguely defined concept associated with the Olympic Games. Some media equate it with Pierre de Coubertin's statement that "The important thing is not to win, but to take part", and view athletes who try their best but finish last as epitomising the "Olympic spirit". Thus the Agence France-Presse wrote: "True Olympic spirit is often found away from gold medallists with their agents and sponsorship deals -- it is found in its purest sense in those that come last."

    좀 더 일반적으로, "올림픽 정신" 이라는 용어는 종종 인용되지만 대체로 올림픽 게임과 연관된 개념으로 정의된다. 혹자는 올림픽 정신을 "중요한 것은 이기는 것이 아니라 참가하는 것이다" 라는 쿠베르탱의 말과 동일시하며,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한 선수들을 올림픽 정신의 전형으로 여긴다. 따라서 AFP는 "에이전트 및 스폰서와 함께하는 메달리스트들이야말로 올림픽 정신과 가장 먼 존재들이다"라고 하기도 했다.

    위키백과 "Olympic Spirit"항목 참조.
    180 원 게시글이 삭제되었습니다. [새창] 2014-09-30 22:10:25 4 삭제
    금메달 따려고 출전하는게 올림픽 정신입니까
    본인 정신부터 따져보세요

    올림픽 정신은 선의의 경쟁과 포기하지 않고 최선을 다하는 겁니다
    나원 살다보니 별 소리를 다 듣네요
    179 일침 甲 [새창] 2014-09-30 22:03:51 0 삭제
    물론 쌩까겠네요
    178 거울과 카메라 어떤게 내 실물에 더 가까울까? [새창] 2014-09-29 21:41:36 4 삭제
    아 난 못생겼어
    177 원 게시글이 삭제되었습니다. [새창] 2014-09-29 21:40:50 0 삭제
    신생아의 육아에 대한 진화적 관점을 좀 떠들어볼까 합니다.

    인간의 아기는 상당기간 특징없는 얼굴을 가지고 삽니다.
    이제 막 신생아를 출산한 부모들의 경우는 애써 부인하며 ''코가 아빠를 똑 닮았네, 눈이 엄마를 닮았네'하겠지만
    그 아기와 피가 섞이지 않은 제 3자가 단숨에 볼 때 누구의 아이인지 가늠하는건 불가능에 가까울 정도로 그 외모가 몰개성합니다.

    이는 임신 시켜놓고 그냥 가버려도 무방한 남성에 비해
    10개월에 달하는 임신 기간과 출산후 육아에 묶일 수 밖에 없는 여성들을 위한 유전적 장치입니다.
    무슨 소리냐 하면, 문명화가 되기 전 인류가 무리 생활을 하던 때를 생각해 봅시다.
    신생아가 태어나자마자 외모를 두고 뚜렷하게 누구의 자식인지 알길이 없기 때문에
    나의 아기일지 남의 아기일지는 일정기간이 지나봐야 알 수 있게 된다는 거죠.
    때문에, 남성들은 자기와 관계를 맺은 여성이 출산을 하면 일정기간 그 아기를 위해 먹이를 구해다주고 외부로부터 보호할 필요성을 ''본능적으로' 느끼게 됩니다.
    자신의 유전자를 보존하고 싶은 본능 때문이죠.
    불행하게도, 아기가 백일이 지나고 첫돌을 맞이하며 부모의 얼굴이 외모에 드러나기 시작해 날 닮지 않았다면
    그동안은 남 좋은일 한 셈 치고 떠나면 그만입니다.

    이런 식으로 원시 인류는 지극히 이기적인 관점에서 연약한 신생아를 집단으로 보호하고 양육할 수 있는 메카니즘을 갖추었을겁니다.
    신생아의 얼굴이 '몰개성'하게 진화하는 바람에 벌어진 '진화적 무기'인 셈이죠.
    한 여성은 가임 기간동안 최대한 많은 남성과 관계하고, 출산 이후 자신과 관계를 맺은 남성의 대다수에게 육아 보조를 받습니다.
    한 남성은 최대한 많은 여성과 관계하고, 나의 유전자가 전달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모든 아기의 육아에 도움을 줌으로써 나의 유전자가 생존할 확률을 높입니다.

    이것이 바로 다윈주의의 수호자 '스티븐 제이 굴드'가 바라본 인류가 신생아 생존확률을 어떻게 높여왔는가에 대한 진화론적 견해입니다.
    굴드는 심지어 아기를 낳으면 핏덩이의 얼굴을 뜯어보아 아빠의 어디를 닮았는지를 열심히 찾아내고 기뻐하는 현생인류의 행동양식 또한 이 진화의 흔적이라고 주장합니다.

    이런 측면에서 전, 인류의 가장 자연스러운 남녀 결합 형태는 '혼인하지 않는' 다부다처제라고 봅니다.
    이 형태가, 씨족집단의 형성으로부터 '가문'이 발생하면서 '혼인'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종국에는 '일부일처제' 라는 개념까지 정착한게 아닌가 합니다.
    176 배려가 넘치면 생기는 일 [새창] 2014-09-28 20:25:50 0 삭제
    역사는 이렇게 돌고 도는거라죠
    자 일단 탑승합니다



    [◀이전10개]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