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베스트오브베스트
베스트
오늘의베스트
유머
유머자료
유머글
이야기
자유
고민
연애
결혼생활
좋은글
자랑
공포
멘붕
사이다
꿈
똥
군대
밀리터리
미스터리
술한잔
오늘있잖아요
투표인증
새해
이슈
시사
시사아카이브
사회면
사건사고
생활
패션
패션착샷
아동패션착샷
뷰티
인테리어
DIY
요리
커피&차
육아
법률
동물
책
지식
취업정보
식물
다이어트
의료
영어
맛집
추천사이트
해외직구
취미
사진
사진강좌
카메라
만화
애니메이션
포니
자전거
자동차
여행
바이크
민물낚시
바다낚시
장난감
그림판
학술
경제
역사
예술
과학
철학
심리학
방송연예
연예
음악
음악찾기
악기
음향기기
영화
다큐멘터리
국내드라마
해외드라마
예능
팟케스트
방송프로그램
무한도전
더지니어스
개그콘서트
런닝맨
나가수
디지털
컴퓨터
프로그래머
IT
안티바이러스
애플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윈도우폰
심비안
스포츠
스포츠
축구
야구
농구
바둑
야구팀
삼성
두산
NC
넥센
한화
SK
기아
롯데
LG
KT
메이저리그
일본프로야구리그
게임1
플래시게임
게임토론방
엑스박스
플레이스테이션
닌텐도
모바일게임
게임2
던전앤파이터
롤
마비노기
마비노기영웅전
하스스톤
히어로즈오브더스톰
gta5
디아블로
디아블로2
피파온라인2
피파온라인3
워크래프트
월드오브워크래프트
밀리언아서
월드오브탱크
블레이드앤소울
검은사막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2
베틀필드3
마인크래프트
데이즈
문명
서든어택
테라
아이온
심시티5
프리스타일풋볼
스페셜포스
사이퍼즈
도타2
메이플스토리1
메이플스토리2
오버워치
오버워치그룹모집
포켓몬고
파이널판타지14
배틀그라운드
기타
종교
단어장
자료창고
운영
공지사항
오유운영
게시판신청
보류
임시게시판
메르스
세월호
원전사고
2016리오올림픽
2018평창올림픽
코로나19
2020도쿄올림픽
제목
이름
회원가입
ID찾기
PASS찾기
게시판찾기
×
풍림화산2
님에 대한 회원메모
회원메모는 메모 작성자 본인만 볼 수 있습니다.
확인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풍림화산2
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회원메모
가입 :
13-02-16
방문 :
807회
닉네임변경 이력
일반게시판
베스트게시판
베스트오브베스트
댓글목록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풍림화산2
님의 댓글입니다.
전체선택
번호
제목
댓글날짜
추천/비공감
삭제
1395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60년대 정치지도자들의 견해
[새창]
2014-07-27 17:05:05
1
/
7
삭제
쥬엔류 > 이미 위에서 일제 시대 때에 조선사람이 근대화하고는 전혀 ~ 상관없는 삶을 살았다는 것이 논증되었구요. 엉뚱한 아일랜드 장황하게 끌고 오는 것은 흔히 나오는 패턴이죠 논파된 후 물타기.. 내가 한두번 싸워보나.
1394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60년대 정치지도자들의 견해
[새창]
2014-07-27 17:03:33
1
/
7
삭제
Lemon > 그런 의식의 변화는 동학사상이나 개화파들에 의해서 일제시대와 상관없이 있어왔던 거구요. 만일에 일제가 없었다면 일본 제국주의 시대의 식민지 치하 조선사회처럼 봉건제가 유지되지도 않았겠죠. 아무거나 일제 덕택으로 끼워맞추시네요
1393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60년대 정치지도자들의 견해
[새창]
2014-07-27 16:48:01
4
/
8
삭제
푸하 ..전 아일랜드 이야기 별 관심 없구요 폭탄 댓글에는 폭탄 댓글로 그냥 화답해 드릴께요 이재용 씨 글입니다
식민지 근대화론의 허구를 밝힌다 / 이재환 2000. 6. 19
우리는 근대화란 용어를 쉽게 사용한다. 박정희의 경제개발정책을 근대화라고 말하고 日帝가 조선을 침략해 35년간 국권을 강탈했던 기간에 있었던 산업화를 근대화라 말하는 몰상식한 학자들이 있다.
서구인들이 말하는 근대화란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라는 데카르트의 명제 한마디로 요약할 수 있다. 스스로 생각하여 판단하고 존재가치를 인식할 때, 神에 예속되거나 귀족에게 예속되거나 왕에게 지배받거나, 식민지 지배를 받거나, 파시스트에게 구속되지 않는 그런 사상적 자유가 대세를 이루는 시대를 근대화라고 말하는 것이다.
배부르게 된 것을 근대화라 하지 아니하며, 파시스트가 횡행하고 자신의 意思 없이 부화뇌동(附和雷同)하는 그런 시대, 남의 권리는 짓밟으며 자기의 권리만 소중하게 생각하는 그런 시대를 근대화된 시대라고 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특정 계층에게 일방적 혜택을 준 불평등한 그들만의 경제개발은 산업화일 뿐 결코 근대화라고 불러서는 안된다.(편집자 주)
-----------------------------------------------------------------------------
1. 들어가는 말 - '식민지 근대화'라는 그럴싸한 신화(神話)
요즘 들어서 우리 학계에서는 '일본이 한국을 식민지로 만든 뒤에 수탈을 한 것은 사실이지만, 단순히 日帝 식민지 시대를 수탈의 역사로만 보아서는 안 된다. 일본은 한국을 식민지로 만든 뒤에 철도를 놓고 공장을 만들고 토지 정리를 하면서 비록 목적은 식민지화에 두었으나 결과적으로 한국의 공업을 일으켰고 산업의 '근대화'를 가져왔다. 이 '근대화'가 서기 1960년대의 공업화와 최근까지의 경제발전으로 이어져 내려왔다'는 '식민지 근대화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이 주장에 따르면 우리는 日帝 식민지가 되었기 때문에 공업이 발전하고 상업이 일어났으며 아울러 농업도 봉건적인 농업에서 벗어나 비로소 '근대적'인 농업으로 나아갔다는 말이 성립하게 된다. 따라서 우리는 식민지 체제를 '수탈과 퇴보'의 시기로 보지 말고, '발전과 응전(應戰)'의 時期로 보아 그 부분에 있어서만은 식민지 체제를 긍정적으로 보아야 한다는 말이 식민지 근대화론이다.
하지만 그 말이 과연 사실인가? 다시 말해서 식민지에 취해진 경제적인 조치들 - 토지조사사업, 산미(産米)증식계획, 공장 건설 - 이 모두 식민지에 참된 '근대화된 경제'와 완전한 자본주의화를 안겨다 주었으며 이것이 그대로 광복 이후에도 공업화로 이어졌는가?
여러 가지로 살펴본 결과 - 설령 국권 상실과 식민지라는 현실, 그리고 식민종주국이 식민지인의 근대화를 돕기 위해서가 아니라 식민지를 원료수탈과 경제착취의 기지(基地)로 삼으려고 투자했다는 사실을 빼더라도 - 냉정하게 경제적, 사회구조적으로 살펴보아도 日帝의 '투자'는 별다른 도움을 주지 못했으며 서기 1960년대 한국의 경제개발로는 이어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조선 - 북한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본 보고서는 여러 가지 이론들 - 토지조사사업이 '근대적인 토지소유체제'를 가져왔다는 주장, 총독부가 적극적으로 조선에 공업을 일으켰다는 주장, 서기 1930년대에 日帝가 많은 공장을 세우면서 조선의 공업이 발전했다는 주장, 식민지 시절의 '공업화'와 '토지개혁(?)'이 광복 이후에 그대로 한국에 이어졌다는 주장을 자료와 실례를 들어가면서 반박할 것이며, 이런 논의 자체가 일어나는 현실을 비판하고 한국 역사학계의 보다 과학적이고 논리적인 경제종속론 비판을 촉구할 것이다.
2. 조선총독부는 과연 조선의 공업을 '장려'했나?
'식민지 근대화론'에서 주장하는 가장 중요한 주장 가운데 하나는 조선총독부와 일본 자본이 식민지 조선에 '적극적으로' 자본을 유치하고 공장을 세우고 철도를 놓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조선의 자본주의가 발달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조선총독부는 서기 1910년 12월 회사령(會社令)이라는 법을 발표하였다. 회사령(會社令)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제 1조 : 조선인 회사의 설립은 조선 총독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제 2조 : 조선 밖에서 설립된 회사가 한국에 본점이자 지점을 둘 때에도 총독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제 4조 : 위 조건을 위반할 때, 그리고 '선량한' 풍습을 위반할 때에는 사업을 정지, 금지할 수 있고 회사를 폐쇄하거나 내쫓을 수 있다.
제 12조 : 제 1 조의 허가를 받지 않고 회사의 설립행위를 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금고(禁錮), 5천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고, 부실신고를 하여 허가 받은 자도 이와 같다.
일본 '본국'의 경우와는 달리 거기서는 기업을 만들기만 하면 무조건 허가해 주었다) 식민지 조선에서는 조선총독부가 회사를 적극적으로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총독부에 신고하고 허가를 받아야만 회사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억제策을 썼다. 외국 기업도 조선에 마음대로 들어올 수 없었고 총독부의 허가를 받아야만 지부(支部)를 세울 수 있어 자유로운 무역활동을 억제 당했다.
또 총독부의 허가를 받지 않은 회사는 회사 창업주를 감옥에 가두고 벌금을 물려서 회사를 꾸려나가지 못하도록 했다. 조선 안에서 자본의 자유로운 이동과 회사설립을 통한 자본주의의 발전 (기틀을 닦는 일)을 막았던 것이다.
한마디로 조선총독부는 회사령을 발표하여 조선에서 회사가 세워지고 커지는 일을 막았고, 결과적으로 조선에서 자본주의가 자라나는 일을 막았다. 비록 서기 1920년에 회사令이 철폐되기는 하지만, 이때 성장이 가로막힌 조선의 자본주의는 이후로도 제대로 발전하지 못한다. 이런 조치를 취한 조선총독부가 조선의 자본주의화를 도왔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
그렇다면 회사령이 철폐된 이후에, 그러니까 조선에 일본 자본이 들어서기 시작하고 공장들이 만들어지기 시작했으며 만주사변, 중일전쟁과 태평양전쟁이 일어난 뒤에 세워진 공장들은 조선의 자본주의 발전에 - 경제적으로 - 도움이 되었는가?
회사令이 철폐된 뒤인 서기 1928년의 조사에 나온 경성(서울)시내 토막민(식민지 시절에 생겨난 도시빈민)의 직업 분포율이다
--------------------------------------------------------------------------------
*서기 1928년의 토막민 통계(統計)(총 1,143명 조사) :
510명(30.1%) : 무직
361명(32%) : 날품팔이
91명(8%) : 지게꾼
28명(2%) : 상점 고용인
28명(2%) : 목수
25명(2%) : 인력거꾼
20명(2%) : 石工
15명(1%) : 회사 직공(職工)
15명(!%) : 과일 행상(行商)
50명(4%) : 기타
--------------------------------------------------------------------------------
이 도표에서는 빈민의 44.6%가 일자리가 없는 상태에 처해 있다. 또 일자리가 있는 사람도 공장노동자가 아니라 대부분 "날품팔이, 지게꾼, 상점고용인, 목수, 인력거꾼, 石工, 회사 직공(職工), 과일 행상(行商)"처럼 공업생산에 별다른 도움이 못 되는 일을 하고 있다. 만약 총독부가 조선에 자본주의를 '제대로' 심었다면, 식민지 조선의 빈민들을 공장노동자로 충분히 흡수했어야 했다.
하지만 도표에서 보듯이 대부분의 조선 빈민들은 공장에 들어가지도 못했고, 기껏 일자리가 있다는 사람들은 날품팔이를 하거나 인력거꾼이 되거나 지게꾼이 되는 등 공업화와는 관련이 없는 일에만 종사하고 있었다. 따라서 서기 1920년대의 일본 자본주의는 식민지 조선에 공업화를 크게 일으키지 못하였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서기 1930년대에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아래는 토막민에 대한 서기 1931년의 통계이다 :
--------------------------------------------------------------------------------
*서기 1931년의 토막민 통계(총 1536명 조사) :
462명(30.1%) : 날품팔이
200명(13%) : 공사장 인부
164명(10.7%) : 지게꾼
270명(17.6%) : 기타
--------------------------------------------------------------------------------
'공업화'가 되었다는 서기 1931년에도 대부분의 빈민들은 공장노동자로 일하지 않고 "날품팔이"로 일했고, 그 다음이 "공사장 인부"와 "지게꾼"이었다. 일본의 자본주의는 농토에서 쫓겨난 식민지 조선의 빈민들을 노동자로 끌어들일 만큼 발전하지도 못했고, 조선에 전반적인 '공업화'를 불러오지도 못했다. 한마디로 조선 빈민들이 "공장노동자가 될 수 있는 길은 대단히 좁았던 것(강만길 교수)"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조선이 일본 때문에 '공업화' 되었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
심지어 태평양전쟁이 일어나서 '군수공업'이 활발하게 일어나던 때인 서기 1942년에도 조선 빈민들이 종사한 직업 가운데 "제일 높은 비율을 차지한 것이 인부"(강만길 교수)였다.
조선의 공업화를 앞당겼다면, - 비록 군수공업일지라도 - 공장노동자의 비율이 높아지고 다른 직업의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어야지 그 반대로 공장노동자의 비율은 낮고 날품팔이나 인부의 비율만 높았다는 사실은 일본은 식민지 지배가 끝나는 날까지 조선에 참된 '공업화'를 불러오지도 못했고, 따라서 일본에 의해 '공업화'가 되었다는 말은 그다지 설득력이 없음을 보여준다.
만주사변(滿洲事變)이나 중일(中日)전쟁, 태평양전쟁 때 조선에 많은 공장이 들어섰고 우리가 징용을 당하면서 노동자로 불려가지 않았느냐고 반문하실 분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들 노동력 대부분이 전쟁 기간중에만 동원되었고 광복 이후에는 공장노동자가 되지 않고 돌아와서 그대로 농민이나 실업자가 되었다. 결국 "日帝의 식민지배 정책 때문에 농촌에서 강제로 쫓겨났던 조선의 노동력은 해방과 함께 거의 대부분 다시 제자리로 돌아간 것(강만길 교수)"이다. '원점'으로 되돌아간 셈이다. 전쟁기간 동안의 군수공업이나 강제 징용도 조선의 자본주의화에 도움을 주거나 간접적인 바탕이 되지는 못했다.
또 강만길 교수의 말을 빌리면 "서기 1944년에 조선에서 생산되는 선철의 89.4%가 일본으로 반출된 데서 알 수 있듯이 생산품의 대부분이 군수공업의 원료로서 일본으로 반출되어 조선 자체의 민수용 중화학공업의 발전으로 연결될 수 없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중공업이 발전하기를 바라는 것 자체가 무리였다.
공장의 대부분은 북한에 집중되어 있었고, 그것조차도 한국 전쟁 때 전쟁으로 대부분 파괴되었다. 따라서 남한의 공업화에는 日帝시대 남겨졌던 공장들이 별 도움이 안 되었으며 한국(남한)과 조선(북한) - 특히 남한은 완전히 無에서 새로 시작해야 했다. 만약 일본이 남기고 간 공장 때문에 공업화와 근대화가 가능했다면 어째서 일본이 세운 공장이 상대적으로 많았던 북한이 지금은 한국보다 더 경제가 낙후되고 외부의 원조가 없이는 버티지도 못할 정도가 되었는가?
게다가 식민지 시대 전쟁을 수행하려고 만든 공장을 돌리던 대부분의 기술자들은 "거의 일본인 경영자와 기술자가 담당했고 조선인이 기술에 접근할 기회는 극히 예외적이었다."(주종환 교수) 이 결과로 "戰後 일본인 경영자와 기술자가 본토로 철수한 이후에 남겨졌던 공장은 거의 모두 조업이 정지되어 버릴 정도였다."(주종환 교수) 따라서 일본이 아무리 공장을 세우고 돌렸다 해도 그것이 조선인 기술자나 숙련공을 길러내지는 못했으며, 공업을 발전시키려고 해도 공업기술을 제대로 배우지 못하고 단순 노동만을 할 줄 아는 노동자만 있는 상황에서는 어려운 일이었다.
일본의 식민지 공업정책은 공업화를 불러올 만큼 크게 발달하지도 못했고, 공업화에 도움이 되는 기술자를 길러내지도 않았다. 일본의 조선 공업화는 패전과 더불어 모든 것이 원점으로 돌아갈 정도로 허약한 것이었다. 따라서 일본이 조선의 공업화에 크게 도움을 주었다는 말은 사실과 다르다.
3. 과연 조선총독부는 농업 근대화를 일으켰는가?
총독부가 조선에서 한 일 가운데 하나는, 토지조사사업을 통해 신고하지 않은 토지를 빼앗고 그 토지에 일본인 농민들을 이주시켜서 地主로 만든 뒤 조선인에게서 소작료를 받게 한 지주제(地主制)를 확립한 일이었다.
토지 소유가 地主와 소작민(小作民)이라는 봉건적인 관계를 벗어나, 오늘날의 농촌처럼 地主에게 매이지 않고 농민들이 마음대로 땅을 사고 팔 수 있으며 이사를 하고 싶으면 마음대로 옮겨갈 수 있고 자기 땅을 가지고 자기 마음대로 농사를 지을 수 있는 상황을 농촌의 근대화라고 한다면, 총독부는 농촌을 '근대화'하기는커녕 오히려 봉건적인 토지 소유 제도를 더욱 강하게 굳힌 셈이다.
게다가 총독부는 농민들이 그런 地主제도에 반항하거나 불만을 털어놓는 일까지도 경찰과 군대로 강하게 억눌렀다. 半 봉건적인 제도에 대한 인민의 저항이나 불만 제기를 권력인 총독부가 억누르고 그 제도를 부수지 못하게 막았다는 사실은 총독부가 '근대화'로 가는 과정을 억눌렀다는 사실을 말해주며 결과적으로(사실은 의도적으로) 총독부는 조선 농민들과 조선의 농촌이 근대화를 향해 가는 길을 가로막았다.
만약 농촌을 근대화 시키려고 했다면 광복 이후 이루어진 토지개혁이나 地主制 타파(북한의 경우)로 봉건적인 소유제도를 강제력으로 무너뜨리고 농민들의 생활을 향상시켰어야 했다. 하지만 그와는 반대로 농민들이 자치를 하거나 농민들이 자작농(自作農)이 되는 일을 막고, 대부분의 농민을 소작농(小作農)으로 삼아 地主에게 일방적으로 종속되게 만들어 저항을 허락하지 않은 총독부의 조치를 근대화라고 말할 수는 없다.
농촌에서 일하던 농민들은 과연 자본주의에 도움을 줄 만한 존재들이었는가? 자세히 살펴보았을 때 답변은 부정적이다. 농민들은 지주에게 소작료를 바쳐야 했는데, 자본주의 경제에서의 중요한 매개체인 돈이 아니라 곡식이라는 '現物'이었고 그것도 수확량의 50%를 넘었다. 농민에게는 거의 남는 것이 없었다.
소작료를 낼 때 돈이 아니라 곡식이라는 現物로 내야 했던 자체가 자본주의적이지 않거니와, 잉여 생산량의 대부분을 소작료로 바치고 남는 것이(소비활동에 쓰거나 다른 일에 투자할) 거의 없어서 소비자가 될 수 없었던 농민들이 자본주의 경제에 기여한다는 것은 불가능했다.
인신구속관계(人身拘束關係)도 근대적이지 못했다. 地主와 소작인이라는 관계 자체가 봉건적인 관계였다. 또 지주는 마치 중세 西유럽에서 영주가 '중요한 노동력'인 농노(農奴)를 단속했듯이 농민들이 지주에게 진 빚을 반드시 갚도록 소작인을 '5人組 제도'로 묶어 서로 감시하도록 하고 소작인이 '도당(徒黨)을 만들고' '불온한 언동'을 하지 못하도록 감시했다. 소작인은 마음대로 이사하지도 못했고 다른 사람들이 들어오는 일도 嚴禁했다.(중세 西유럽의 농노(農奴)제도와 다를 게 무엇인가? 이것이 근대적인 토지소유제도인가?)
또 소작인은 지주에게 완전히 매여 있었다. 비료를 사거나, 씨앗을 사거나, 농기구를 사거나, 농사에 쓸 소를 빌리는 데에도 지주에게 기대야 했고 이는 農奴와 크게 다를 바가 없었다.
日帝의 地主제도는 自作農을 몰락시키고 근대적인 토지소유제도가 나타날 길을 막아버리는 결과를 불러왔다.
강만길 교수의 설명을 들어보자 :
서기 1916년에는 自作農 비율이 20.1%, 自小作農(自作農이면서 소작농)이 40.6%, 소작농이 36.8%, 地主가 2.5% 였습니다. 소작농 비율이 36.8%인 데 비해 自作農과 自小作農을 합친 비율이 60.7%나 되어 농촌 중간층이 그만큼 많았음을 알 수 있게 합니다.
그러나 이보다 16년 뒤인 서기 1932년에는 自作農 비율이 16.7%, 自小作農이 26%, 소작농이 54.2%, 地主가 3.7%로 변했습니다. 自作農과 自小作農을 합친 비율이 60.7%에서 42.7%로 감소한 데 비해 소작농이 36.8%에서 54.2%로 크게 증가하고, 地主도 2.5%에서 3.7%로 크게 증가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강만길 교수의 책 [20세기 우리 역사]에서
산미증식계획(産米增殖計劃)은 또 어떤가? 쌀 생산량이 늘어난 것은 사실이나, 그 이익은 경작 농민층에게 돌아가지 않고 지주들에게 돌아갔다. 또 돈이 아닌 現物(곡식)로 내야 하는 소작료 제도(는 기껏 늘어난 쌀 생산량을 대부분 지주에게 바쳐야 하는 결과를 불러왔고 (산미증식(産米增殖)을 위한 토지 개량 지역에 과세가 집중됨), 잉여량을 모두 그런 식으로 빼앗긴 농민들은 자주적인 주체로 자라나지 못했다.
결국 조선총독부의 조선 농업정책은 근대적인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근대화를 가로막는 半봉건적인 것이었으며, 조선 농민들에게 근대화를 가져다 준 것이 아니라 오히려 시대에 뒤떨어지는 '농노제(農奴制)와 같은' 地主制를 가져다 주었다.
4. 맺는 말 - '잘못된 신화'에서 벗어나길 바라면서
지금까지 필자는, 간단하게나마 우리나라의 농업과 공업이 식민지시대부터 크게 일어났다는 주장을 통계와 자료를 통해 반박하였다.
이 글을 쓰면서 크게 괴로왔던 점은, 아직도 논의될 가치가 없는 '식민지 근대화' 같은 주장이 우리 학계에서 진지하게 논의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직접적인 공업화와 근대화로 이어지지 못한 사실은 제대로 살펴보지도 않고, 그저 겉모습만 보고서 근대화되었다고 주장하는 행태가 이런 史觀을 낳았다.
그러나 나는 아울러 '식민지 = 무조건 수탈' 이라는 등식만을 꼭 붙든 채 '왜, 어떻게, 무슨 방법으로, 얼마나' 식민지와 공업화, '근대화'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따져보지 않은 지금까지의 한국 역사학계도 책임을 면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그들이 구태의연하게 수탈만 강조하고 있다가 결국 '자료와 증거를 동원한' 식민지 근대화론者들에게 날벼락을 얻어맞은 셈이니까.
앞으로의 역사학은 - 비록 식민지 근대화론者들의 주장에는 찬성할 수 없지만 - 감정에서만 보는 태도에서 벗어나, 보다 구체적으로, 그리고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증거로 하나하나 따져 보고 반박할 줄 아는 자세를 요구하며, 이것은 선택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니라 하나의 '의무'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
1392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60년대 정치지도자들의 견해
[새창]
2014-07-27 16:28:39
1
/
4
삭제
GwangGaeTo (2014-07-27 16:15:39) (가입:2011-06-02 방문:2202) 추천:0 / 반대:0 182.210.***.130
네 있었습니다.
서구화 - 서양식 가옥도 지어지고, 서구식 의료체계 학교시설 등이 들어왔습니다. 단발에 양복차림도 서구화의 일종이죠
공업화 - 민족자본이 일어나는 유무가 근대화 판단기준이 아니기때문에 일본 자본이 조산 내에 근대적 공장을 짓고 기계공업이 일어났다는 건 사실입니다.
민주화- 왕정이 붕괴되고 근대식 관료체계가 만들어졌고, 참의원 같은 형식적인 의회도 있었습니다.
뭐 다 있네요.. 일련의 과정들
서양식 가옥도 지어지고 조선 사람들 잘 살게 되어야 하는데 왜 사람들이 자작농이 소작농되고 소작농은 도시 빈민이 되고 땅이 없어서 만주로 해외로 떠나가야 하냐구요 그게 근대화냐구요 .. 일본 사람이 살려고 조선에 지은 서양식 가옥에 머슴살러 들어가면 그게 근대화냐구요
조선 사람이 민족 자본이 형성이 안되어도 상관없다구요. ????? 지금 일제시대 조선이 근대화 되었느냐 안되었느냐가 의제거든요. 일본이 근대화 되었느냐 아니냐가 아니라요
민주화 - 왕정이 붕괴되고 대신에 총독부가 들어선거고 봉건적인 계층들은 일제에 야합해서 기존의 구 질서를 유지된거죠 왕 대신에 총독부 들어섰으니까 감사한 마음으로 근대화 되었다고 생각해야 하나요.. 도대체 무엇하나 근대화된 것이 없는데 이영훈 같은 뉴라이트 까지 오유 역사 게시판에 끌어들이면서 이런 주장하는 저의가 무엇인가요?
1391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60년대 정치지도자들의 견해
[새창]
2014-07-27 16:20:15
1
/
6
삭제
민족 자본이 일어나는 유무가 근대화가 되는 기준이 아니라구요 ???????????????????????? 지금 따지고 있는게 조선 민족이 근대화 되었느냐 아니냐 하는거거든요 ? 역시 식민지 시대 노예도 근대화 되었다고 보는게 맞네요. 자본주의 발달과 같은 정상적인 과정을 거치지 않고 일본 제국주의와 야합해서 근대화된 문물의 혜택을 누린 봉건 세력이 한국에 있었겠죠. 그게 근대화에요 ?
1390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60년대 정치지도자들의 견해
[새창]
2014-07-27 16:17:59
1
/
7
삭제
지난 번에 저 원주민 노예들이 근대화 되었냐고 물었을때 그렇다고 대답했는데 정말 그렇게들 생각하는지 ? 그리고 위안부가 일제가 했다고 하는 증거가 없다고 나불대는 뉴라이트 이영훈을 학문적으로 고찰해야 하는 이유가 도대체 뭔대요? 그것도 여기 오유에서 하고 싶으면 산께이 신문 게시판 가서 하든가 그러지
1389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60년대 정치지도자들의 견해
[새창]
2014-07-27 16:10:12
1
/
6
삭제
영국이 근대화 되었다고 하는 것은 도시 빈민 아동 노동 그런것 때문에 근대화 되었다고 하는게 아니겠죠 근대화 되었다고 하는 것은 그런 문제를 야기시킨 시민계층 브루죠아 산업 자본가 이런것들이 생겼으니까 근대화 되었다고 하는건데 일제 시대 조선 사람들이 그런 변화가 있었냐구요
1388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60년대 정치지도자들의 견해
[새창]
2014-07-27 16:08:26
1
/
6
삭제
아니 그러니까 근대화라고 " 백과 사전에 정의된 " 저런 변화가 일제시대 조선 사람들에게 있었냐구요.
1387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60년대 정치지도자들의 견해
[새창]
2014-07-27 16:07:30
1
/
5
삭제
지난 번 토론 때에 제국주의 국가가 무력으로 식민지 만들고 그 원주민들 노예로 만들고 근대화된 생산시설 도입해서 GDP 성장하면 그 노예 원주민이 근대화된거 맞냐고 물으니까 맞다고 해서.. 내가 기가 막혀서 아닥한적 있습니다만 정말 그렇게들 생각합니까 ?
1386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60년대 정치지도자들의 견해
[새창]
2014-07-27 16:05:57
2
/
7
삭제
아니 일제시대 조선하고 어떻게 영국을 비교하냐구요 .. 영국은 민주주의가 이루어졌고 영국인 시민 계층이 형성이 된거고 그리고 영국인 임금 노동자가 형성이 된거지 일제시대 조선에서는 그냥 일제에 야합한 소수 양반이나 황족들이 기존의 봉건적인 지위를 그대로 유지했다구요.. 저 위에 백과사전에 있는 근대화에 해당하는 변화가 있었냐구요
1385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60년대 정치지도자들의 견해
[새창]
2014-07-27 16:03:25
2
/
7
삭제
정치 문화 경제 교육 무엇하나 근대화 된 것도 없고 일제가 만든 시설은 전쟁때에 다 없어졌는데, 그래도 근대화 되었다구 우겨야 되는 이유가 뭘까? 어이가 없네.
1384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60년대 정치지도자들의 견해
[새창]
2014-07-27 16:01:16
1
/
6
삭제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9507&cid=40942&categoryId=31611
오늘날 근대화라는 말은 널리 사용되고 있고, 여러 곳에서 논의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 그 개념 규정이나 내용에 관해서는 일치된 견해가 없다. 그래서 근대화라는 말은 경우에 따라서는, 서구화·공업화·민주화·합리화·도시화 등 다의적(多義的)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개혁 또는 발전과 같은 뜻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근대화 [modernization, 近代化] (두산백과)
[1]
[2]
[3]
[4]
[5]
[6]
[7]
[8]
[9]
[10]
[다음1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