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chooseyou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2-01-06
    방문 : 317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chooseyou님의 댓글입니다.
    번호 제목 댓글날짜 추천/비공감 삭제
    147 안드로이드는 왜 오픈소스인가 [새창] 2012-09-18 15:54:44 114 삭제
    아노르님 그게 OHA 의 목적이죠. 근데, 이 연합에는 함정이 있습니다. 이미 저는 그때 OHA 가 결성되었을당시, 이 연합에 문제가 있다라는 글을 사보에 올린적이 있습니다.

    1. 연합의 모두가 같은 오에스를 가지게 되면 제품의 유니크한 특성이 사라집니다. 이것은 소비자가 어떤 제품을 사던 똑같은 제품을 얻게 된다는것으로 자본주의 시장경제논리에 정면으로 대립됩니다. 기업은 이윤 창출을 해야하는데, 모든 제품이 똑같다면 누가 돈을 번다는 걸까요.

    2.결국 이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합의 각 기업들은 자신의 제품기능을 바꿔서 몬가 독특한 제품으로 치장을 해야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위험한 일입니다. 내 제품이 달라지는 순간 부터 구글의 안드로이드는 전혀 다른 제품이 되어지기 시작합니다. 이는 개발자들에게 고통이 되며 자신들의 독특한 하드웨어적기능을 위해 SDK조차 원래 안드로이드와 다른 자신들만의 SDK 가 따로 나와줘야 하게 됩니다. 또 이러한 새로운 기능의 변종 제품들은 안드로이드가 업데이트 되었을때 적절한 조치를 받지 못하여 다시 새로운 업데이터를 구글이 아닌 제조회사에게 받아야하는 서비스의 딜레이를 낳게 됩니다. 이 문제로 연합의 다른 회사들은 되도록 새로운 기능을 넣지 않는 전략을 썼었으나 오직 유독 삼성만 그 법칙을 깨고 계속적으로 변종 안드로이드를 개발하여 발표하며 연합의 깡패로 등장합니다.

    3. 또다른 문제는 개발과 발전의 주체가 모호해진다는 것입니다. 오픈소스가 나오면 오리지널 버젼으로 부터 수많은 변종이 등장합니다. 시장경제는 오픈소스와 근본적으로 손을 잡을수 없습니다. 이 수많은 변종들이 나왔을때, 누가 차기 버젼의 등장을 관리하며 그 버젼을 개발하는 회사는 도대체 어느 연합의 손을 들어줘야 하는가요? 오픈소스는 그저 가난한 젊은이들의 책상위의 꿈일뿐이지 현실상의 경제논리와 연결되지 않습니다.

    위의 3가지 문제점들은 지금 현재 안드로이드가 고스란히 가지고 있는 문제들이고
    아무도 해결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삼성은 끊임없이 변종 안드로이드 기종을 발표하고 있고
    그럴때 마다 구글은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슈미트는 아이폰만 봤지 아이패드를 보지 못했었기 때문에
    애플이 폰을 개발하려던것이 아니라 모바일 데스크탑 피씨를 만들려했었다란 사실을 몰랐기 때문에
    안드로이드는 개발초기 부터 전화에 촛점을 맞춰서 개발했지 타블렛등에는 맞춰져 개발된것이 아니였었습니다.
    변종들이 나오면서 기종간 호환이 어려운일이 발생하고
    안드로이드 구매자들은 구기종일 경우 신기종이나 새로운 안드로이드 업데이트가 나올때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문제가 나오고있습니다.
    이 문제는 시간이 지나고 시대가 변해도 절대 고쳐질수없는 아주 본질적인 시스템적 문제입니다.
    오직 한 가지 솔루션은
    그 안드로이드를 만드는 회사가
    하드웨어도 같이 만드는 방법 뿐입니다.

    오픈소스는 가난한 개발자들에게 꿈같은 이상입니다.
    그러나 시장경제는 시장경제입니다.
    똥 넣으면 똥 나옵니다.
    돈 넣으면 돈 나옵니다.
    애플 앱이 왜 안드로이드 앱 보다 활성화 되었을까요?
    시간이 지나면 막연히 안드로이드도 앱수가 많아질거라 믿지 마십시요
    안드로이드 앱마켓의 앱들은 거의 다 베이비 앱들입니다.
    애플 앱스토어의 앱들의 퀄리티와 도무지 비견할수없는 수준입니다.
    돈을 넣으면
    개발자들이 모이고 규모가 있어집니다.
    돈을 않넣으면
    그지들이 모여서 개발합니다.
    그래서 안드로이드 앱 마켓에 어린이들이 만든 앱들이 넘치는 겁니다.


    146 안드로이드가 위험하다. [새창] 2012-09-17 20:26:55 7 삭제
    제가 하려던 주장은 핸드폰, 노트북같은 디바이스는 구매적요소에 외형이 중요하던 시대가 지났다란 말입니다.
    아이폰이 득세하던 시점으로 돌려보면,
    아이폰이 우리에게 충격을 준건 그 외형이 "절대로" 아니였습니다.
    한개 도 빠지지 않고 모두 아이폰안의 육수와 면빨 그리고 "고명"이었습니다.
    난 아직도 아이폰이 처음 세상에 나오던날, 웹브라우징 시연하던 장면을 절대 잊을수가 없습니다.
    그당시에 웹브라우징이란, 그저 텍스트에 하이퍼링크였던 베이비웹브라우저가 전부였기 때문입니다.
    외형은 개인 취향입니다.
    그러나 그 육수와 면빨은 구매자 필요와 연결된 필수적 요소입니다.
    아무리 외형이 멋진 페라리라도 눈길에 헛바퀴도는 차라면 평상시에 굴릴수가 없죠.
    우리가 세상에 윈도우즈만 써왔던 시절 모 몰 사도 거기서 거기지 하던 시대에서
    다른 맛도 있구나를 알게 되면서
    무너지게된 피씨무적 마켓을 기억해야합니다.

    삼성이 냉면그릇에만 신경쓴다는거 틀린말이 아닙니다.
    애플이 잘났다라고 말할려는것이 아니라
    삼성이 잘못하고 있다라고 지적하고 싶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너무 그릇에 눈이 어두워져있다란것을 지적하고 싶습니다.
    되돌아 보면 애플은 애초부터 이러한 논리로 비즈니스를 하고 있었습니다.
    아이폰만을 따로 때서 생각하지 않고
    iOS라는 음식을 담는 겨우 하나뿐인 그릇으로 생각하는 애플의 전략이 그러합니다.
    개발자회의에서 스마트폰만 신경쓰는 우리 모습과 달리
    애플은 iOS를 어떻게 담아 대접할까만을 논하는 모습이 그 증거입니다.
    애플은 자신의 이름을 Apple Computer 에서 Apple 로 바꿀때부터
    이미 자신들은 음식점이라 라고 믿고 있었습니다.
    잡스가 나와서
    "People who are really serious about software should make their own hardware."라고 했을때 부터
    이미 애플은 세상이 음식점 체제로 바뀌어가고 있다란걸 알고있었습니다.
    그걸 깨달은 마이크로소프트웨어도 스스로 음식점을 만들려고 노력중이고
    구글도 또한 그러합니다.
    그러나 이걸 깨달지 못했던 그릇회사들이 하나 둘 떨거지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그중 삼성은 세계 최고의 그릇제조 회사입니다.
    기술력과 규모에서 다른 그릇회사들과 상대가 되지 않으며
    오늘날의 스타입니다.
    하지만, 문제는 삼성 스스로가 패러다임의 변화에 몸을 맡기려 들지 않고
    끝까지 고집함에 있습니다.
    그건 틀린거죠.
    연합전선으로 물타기는 가능하지만,
    오래가진 못합니다.
    순간의 점유율 상승이
    소비자들의 선호도까지 바꾸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아시다시피 안드로이드의 점유율은 소비자만족도와 완전 반대 그래프를 그리고 있다는것이 그 증거입니다.

    데이타를 참고하실분들은 아이폰방에 리스트를 올려드렸습니다.

    145 안드로이드가 위험하다. [새창] 2012-09-17 20:12:32 11 삭제
    제가 하려던 주장은 핸드폰, 노트북같은 디바이스는 구매적요소에 외형이 중요하던 시대가 지났다란 말입니다.
    아이폰이 득세하던 시점으로 돌려보면,
    아이폰이 우리에게 충격을 준건 그 외형이 "절대로" 아니였습니다.
    한개 도 빠지지 않고 모두 아이폰안의 육수와 면빨 그리고 "고명"이었습니다.
    난 아직도 아이폰이 처음 세상에 나오던날, 웹브라우징 시연하던 장면을 절대 잊을수가 없습니다.
    그당시에 웹브라우징이란, 그저 텍스트에 하이퍼링크였던 베이비웹브라우저가 전부였기 때문입니다.
    외형은 개인 취향입니다.
    그러나 그 육수와 면빨은 구매자 필요와 연결된 필수적 요소입니다.
    아무리 외형이 멋진 페라리라도 눈길에 헛바퀴도는 차라면 평상시에 굴릴수가 없죠.
    우리가 세상에 윈도우즈만 써왔던 시절 모 몰 사도 거기서 거기지 하던 시대에서
    다른 맛도 있구나를 알게 되면서
    무너지게된 피씨무적 마켓을 기억해야합니다.

    삼성이 냉면그릇에만 신경쓴다는거 틀린말이 아닙니다.
    애플이 잘났다라고 말할려는것이 아니라
    삼성이 잘못하고 있다라고 지적하고 싶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너무 그릇에 눈이 어두워져있다란것을 지적하고 싶습니다.
    되돌아 보면 애플은 애초부터 이러한 논리로 비즈니스를 하고 있었습니다.
    아이폰만을 따로 때서 생각하지 않고
    iOS라는 음식을 담는 겨우 하나뿐인 그릇으로 생각하는 애플의 전략이 그러합니다.
    개발자회의에서 스마트폰만 신경쓰는 우리 모습과 달리
    애플은 iOS를 어떻게 담아 대접할까만을 논하는 모습이 그 증거입니다.
    애플은 자신의 이름을 Apple Computer 에서 Apple 로 바꿀때부터
    이미 자신들은 음식점이라 라고 믿고 있었습니다.
    잡스가 나와서
    "People who are really serious about software should make their own hardware."라고 했을때 부터
    이미 애플은 세상이 음식점 체제로 바뀌어가고 있다란걸 알고있었습니다.
    그걸 깨달은 마이크로소프트웨어도 스스로 음식점을 만들려고 노력중이고
    구글도 또한 그러합니다.
    그러나 이걸 깨달지 못했던 그릇회사들이 하나 둘 떨거지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그중 삼성은 세계 최고의 그릇제조 회사입니다.
    기술력과 규모에서 다른 그릇회사들과 상대가 되지 않으며
    오늘날의 스타입니다.
    하지만, 문제는 삼성 스스로가 패러다임의 변화에 몸을 맡기려 들지 않고
    끝까지 고집함에 있습니다.
    그건 틀린거죠.
    연합전선으로 물타기는 가능하지만,
    오래가진 못합니다.
    순간의 점유율 상승이
    소비자들의 선호도까지 바꾸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아시다시피 구글의 점유율은 소비자만족도와 완전 반대 그래프를 그리고 있다는것이 그 증거입니다.


    144 안드로이드가 위험하다. [새창] 2012-09-17 17:50:13 0 삭제
    죄송합니다.
    사용한 참고 자료는, Flurry Analytics reports, Gene Munster at Piper Jaffray Survey. Distimo Report
    그리고 나머지는 이미 공식적으로 공개된 수치입니다.


    143 [BGM/6.25]국사가 선택인 나라의 현실.jpg [새창] 2012-06-25 03:57:47 0 삭제
    오늘 처음 알았습니다. 정말 국사가 선택인가요? 언제부터 이렇게 된건가요?
    142 [BGM/6.25]국사가 선택인 나라의 현실.jpg [새창] 2012-06-25 03:57:47 0 삭제
    오늘 처음 알았습니다. 정말 국사가 선택인가요? 언제부터 이렇게 된건가요?
    141 미국인들의 지리는 지식수준 [새창] 2012-06-24 03:14:16 74 삭제
    웃길려고 했는지는 모르겠는데, 실제로 미국 아이들(우리나라 중딩정도?) 가르칠때 보면, 영국이 어디있는지 모르는 얘들 태반이고, 스코틀랜드나 아일랜드 찾지도 못하고, 베트남을 지도에서 찾을줄 아는 얘는 손꼽을 정도고, 싱가폴이나 인도네시아의 위치를 놓고 싸우는 것도 종종 봅니다. 더 웃긴건, 남아메리카에는 나라가 멕시코, 아르헨티나 브라질만 있는줄 아는 얘들도 있어요. 미국얘들 님들이 상상하는 것보다 정말 무지합니다. 미국학교에서 아이들 가르치는 역사도 대부분 지네들 역사를 어릴적 부터 똑같은 내용을 반복에 반복해서 가르치기만하고 세계지리 역사 이런건 별로 상관안합니다.
    자...진짜 문제는요.
    이런 얘들이 공부하는 동아시아사에 모라고 써있냐면,
    한국이 중국으로 부터 독립한지 얼마 안되었다고 써있고
    (한일합방을 한국의 독립으로 보고있습니다. 일본의 영향입니다.)
    일본이 세계최초로 토기를 만든 나라라고 배우고 자랍니다.
    대부분 일본이 예전에 자기네 역사를 외국에 빠르게 전했기 때문에 생긴 오해들입니다.
    왜 한국이 난리법석쳐도 이상하게 국제사회에서 무시당하는지 이해가 가시나요?
    얘네들한테는 한국은 아프리카 노예국도 안되는 좁만한 미개국가일뿐입니다.
    140 천주교에 대한 개신교의 오해 [새창] 2012-06-23 18:49:06 1 삭제
    기독교에서 예수천당 불신지옥이라고 하는 근거는 "내가 곧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니 나로 말미암지 않고는 아버지께로 올 자가 없느니라!" 이라는 문구 때문입니다. 이는 천주교도 동일하게 믿는 내용으로 전혀 다르지 않습니다. 그리고 기독교인들이 천주교인들을 오해하고있다란 말 자체가 오해입니다. 둘은 그 근본이 전혀 다르지 않기 때문입니다. 기독교 근본에는 위의 쓰신글의 오해가 없습니다.
    사람이란 선한 동물은 아니라 종교가 있건 없건 악함에 정도가 차이가 있을지언정 성인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다만, 기독교,천주교,불교,이슬람등 여러종교를 믿는 사람들은 그나마 "무교"를 주장하는 이 보다 진리탐구를 위해 성찰을 적어도 시작했다란 발전적인 부분이 없지 않기 때문에 "신"이 없다고 믿는 자들이 그렇게 자랑스럽게 떠들고 욕할일은 아닙니다. 많은 종교인들중에는 그 종류에 상관없이 훌륭하게 선을 행하시는 분들이 각 종교마다 수도없이 많습니다. 다만 종교도 인간들이 모인곳이니만큼 더러운 인간도 섞여있는것은 "무교"를 고집하는 인간들과 별반 다를것이 없다는것을 알아야합니다. 최근에 종교를 빙자하여 끔찍한 살인을 저지르고 또 종교인임에도 부정을 하고 폭력을 휘두르는 일들이 넘쳐나다보니 종교인을 공격하는 일이 잦은것 같습니다. 특히나 오유의 특징상 MB이를 안까면 하루가 즐겁지 않은 곳에선 MB의 원조 교회를 안깐다면 서운할것임도 이해는 갑니다. 근데, 바르게 살려고 종교를 가진 사람들까지 싸잡아가면서 욕하진 맙시다. 인간사 희로애락이 섞여 사는 세상. 종교를 가졌거나 아니거나 더러운 놈들은 더러운것이고 선한분은 또 그 선함을 매일 찾아가는 인간의 여정일뿐입니다. 내가 종교를 가졌건 가지지 않았건, 선을 위해 내가 무엇을 하고 있나를 차라리 생각하고 행합시다.
    139 한국만 믿는 "밀폐된 방 선풍기 질식사" [새창] 2012-06-22 12:26:10 1 삭제
    나는 이걸 꼭 틀렸다 단정짓기 어렵다고 봐요. 외국얘들은 우리나라와 달리 에어콘이 일반이고, 선풍기 틀고 자는 경우 적습니다. 그리고 한국일반적으로 시멘트 집인 반면에 외국은 대부분 통풍이 좋은 나무에요. 쟤네들이 경험을 못해봐서 그렇지 우리 어릴때도 선풍기 틀고자다가 죽은 사건 자주 보고 컸습니다. 요즘 들어 에어콘 보급이 많아지니 줄어들긴했지만요.
    138 한국만 믿는 "밀폐된 방 선풍기 질식사" [새창] 2012-06-22 12:26:10 0/5 삭제
    나는 이걸 꼭 틀렸다 단정짓기 어렵다고 봐요. 외국얘들은 우리나라와 달리 에어콘이 일반이고, 선풍기 틀고 자는 경우 적습니다. 그리고 한국일반적으로 시멘트 집인 반면에 외국은 대부분 통풍이 좋은 나무에요. 쟤네들이 경험을 못해봐서 그렇지 우리 어릴때도 선풍기 틀고자다가 죽은 사건 자주 보고 컸습니다. 요즘 들어 에어콘 보급이 많아지니 줄어들긴했지만요.
    137 쪽바리가 와서 말뚝박는데 경찰제지가 없는게 유머 [새창] 2012-06-22 11:52:27 0 삭제
    경찰이 문제가 아니라 그 옆에 있던 사람들이 더 문제죠
    136 [19]쓰읍!! 어린놈이..!! [새창] 2012-06-21 15:01:18 0 삭제
    이게 머언 옛날 싸이월드가 있을때 있던건데, 그새 얘들이 많이 태어나긴 했나보오..
    135 종북도 싫지만 종북장사도 역겹다는 게 유권자들이 진짜 속내 [새창] 2012-06-21 14:47:56 0 삭제
    이야 이젠 지능적이구나
    134 박진영이 뉴욕 맨하탄에 오픈한 레스토랑[BGM] [새창] 2012-06-20 08:57:13 4 삭제
    값만 보면 미국시세보다 비쌉니다. 그것도 상당히...
    점심 비빔밥이 15불이면.. -_-;
    단지 고기류는 모두 와규네요.
    고기가 와규면 다른 와규전문점이랑 비슷합니다.
    그래도 여전히 비싼 곳입니다.
    133 영화 해바라기 中 명장면 [새창] 2012-06-20 08:51:06 0 삭제
    이 영화 못봤는데 보고싶네요. 근데 마지막 동영상 부분 때문에 지금 심히 머리가 고통스럽습니다 ㅠㅠ



    [1] [2] [3] [4] [5] [6] [7] [8] [9] [1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