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가 수소전지차로 국한되어야 이야기 되고 있지만, 전력사업 측면에서의 "수소전지" 기술로 확장해서 생각해보면 문프의 큰 비전을 볼 수 있습니다. 전기차 기술은 발전소에서 생산되어 온 전기를 소비하는 기술이지만, 수소전지 지술은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기술입니다. 탈원전을 하며 점차 친환경 발전이 확대되어야 하는데, 친환경 발전의 가장 큰 문제점은 전기 생산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것입니다(어떨때는 많이 생산되고 어떨 때는 적게 생산되고). 그런데 생산된 전기를 효율적으로 저장/보관할 수 있는 "수소전지" 기술이 발달하면 친환경 발전의 이러한 단점들이 해결될 수 있습니다.
첫번째 줄의 내용이 잘못되었습니다...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하기로 각 정당이 합의"한 것이 아니라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에 대해 "논의"하기로 합의한 것입니다. 즉, 일단 단식을 풀고, 5당이 논의를 해서 합의가 잘 되면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도입하자는 것입니다.
그런데 "연동형 비례대표제"는 민주당과 자한당이 불리해지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5당 합의는 불가능한 상황입니다. 민주당은 소극적으로 거부할 것이고, 자유한국당은 적극적으로 거부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므로 지금 굳이 연동형 비례대표제 관련해서 고민하실 필요는 없을 듯 합니다...
그러므로 현재와 같은 상황에, 선거시 사표를 줄이고 민의의 반영을 보다 높이기 위해서는 선관위에서 제안한(문대통령님의 공약에도 있는) 권역별 비레대표제로 합의할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을 것 같습니다...
나승철 변호사의 말을 들어보면 일단 트위터 계정이 김혜경씨 계정이라는 것은 인정하고, 트윗 내용 중에 김혜경씨가 작성하지 않은 듯 한 트윗도 있다는 주장을 하는 듯 합니다. 이재명 지사도 해당 트위터 계정이 비서실에서 사용했다고 말한 것을 보면, 해당 계정은 김혜경씨와 다른 사람들이 함께 사용했을 가능성은 있습니다. 그러나 그렇다고해서 김혜경씨가 직접 올린 트윗이 전혀 없다고 볼 수는 없으며, 오히려 다수의 비서실 직원들이 새롭게 선거법 위반 혐의로 조사를 받아야 할 상황이 될 듯 합니다(공무원이 선거에 개입하는 것은 불법이고, 만약 이재명 지사의 지시로 그랬다면 직권남용도 적용 가능할 듯).
게시글을 보고 신문 기사를 찾아보니... 이재명 지사측이 고발한 건은 지난 TV토론회에서 김영환 후보가 "노무현 대통령 영결식 기간 중 이재명 지사가 김부선씨와 서울에서 밀회를 나누었다"라고 말한 것에 대한 것입니다. http://mbn.mk.co.kr/pages/news/newsView.php?news_seq_no=3681137 http://www.nocutnews.co.kr/news/5057680
그런데 이에 대해 경찰이 "증거불충분"으로 불기소 의견으로 검찰에 송치했다고 하면, 고발한 이재명 지사 측에서 밀회가 있었다고 언급된 날의 이재명 지사의 알리바이를 증명하지 못하였다는 말이 됩니다... 영결식에 참석했다면 함께 한 사람들이 많았을텐데 제대로 알리바이를 증명하지 못한 것은 명백하게 이재명 지사측의 잘못이네요...
/아유타야 "이제와서 그렇게 말씀하시면 안되는 것 아닐까 싶어요"라는 말씀은 제가 그렇게 말을 했다는 의미인가요? 아니면 님과 다른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그런 말을 하는데, 제 생각이 님과 다르므로 저도 그런 말을 했다고 생각하시는 건가요? 온라인 커뮤니티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너무나도 다양한 스펙트럼을 이루는데(사안별로 사람마다 입장이 다 다름), 그렇게 다양한 사람들을 님께서 그렇게 단순하게 흑백논리로 둘로 나누시면 상황을 제대로 보시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누군가의 작선세력 타령때문에 그렇게 생각하시게 된 걸까요?)
온라인 상의 논란과 상관없이 현재 가장 중요한 사안은 경찰/검찰의 수사 결과와 그로 인해 기소가 될 것인지, 기소가 된다면 공직을 유지할 수 있는 판결이 나올 것인지 입니다.
김부선씨가 고소한 건이 사소한 사안이라고 한 이유는... 그다지 논리적으로 보이지는 않는 연예인 김부선씨와 대중의 관심을 원하는 듯 한 강용석 변호사의 조합으로 볼 때 제대로 된 증거나 제3자 진술을 대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고발이 아니라 고소를 했기 때문에 증거가 부실하면 이재명 지사에게 역으로 무고죄로 고소될 가능성이 있으니, 예상외로 탄탄한 증거를 확보했을 수도 있겠습니다만...).
반면 다른 직권남용/공직선거법 관련 고발 건들은 야당 국회의원 또는 전직 부장판사 등이 관여되어 나름 충실하게 증거자료를 준비했을 것으로 보여지기 때문에 이재명 지사에게는 더 위협적일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