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학부 전공이 심리학이라 한 가지 소개해 드리고 싶어요.
심리학 관련 게시판에 올릴까도 했지만 요즘 시사게에 많이 이슈가 되는
혐오 관련 이슈와 관련이 있어서 올려요.
(물론 석/박사 전문가 분들도 계실텐데 저도 요약/소개정도는 저도 해 드릴 수 있을 것 같아서 애교로 봐주세요 틀린 부분은 지적부탁)
편견의 원인에 대해 관련 이론 중 하나로 사회심리학(Social Psychology)에
"공포 관리 이론(Terror management theory, TMT)"이라는 이론이 있습니다.
이 이론을 간략하게 설명드리자면,
- 인간은 진화적으로 자연의 각종 위험으로부터 자신의 존재를 지킬 수 있는 생물학적 체계를 가지게 됨.
- 하지만 인간은 다른 동물과는 다르게, 언젠가는 죽어서 없어진다는 것을 알 만큼 발달된 뇌를 가짐.
그리고 이러한 공포는 무서운 딜레마임.
- 그러한 자신의 "문화" 안에서 죽음의 의미를 설명. (예: 종교의 내세관,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 등)
- 자기 자신은 어차피 죽지만, 이러한 문화적 세계관을 유지하는 길이 자기가 영속하는 길이라고 믿게됨.
- 이렇게 자기 집단 보존, 즉 집단의 보수성에 대한 강한 애착은
죽음이 상기되는 상황(죽음현출성) (예: 살인, 테러에 대한 뉴스기사, 자살, 장례식, 교통사고 등을 정보를 접했을 때)
에서 훨씬 강화됨.
그러면 이 이론이 편견과 무슨 상관일까?
- 죽음이 상기되는 상황(죽음현출성)에서 타집단에 대한 혐오반응이 증가됨.
그 이유는 타인들이 자기가 지닌 세계관의 정당성을 침해한다고 느끼게 되기 때문.
- 죽음현출성은 사람들을 "적군"과 "아군"으로 범주화시키는 행동을 증가시킴.
- 죽음에 대한 생각이 떠오름은 그 인식을 제거하도록 고안된 방어반응들 증가유발시킴.
(예: 타집단을 격리, 추방시키자고 주장, 전쟁 선전포고, 혹은 카리스마있는 지도자의 갈망 등)
공포관리이론과 편견에 관련된 연구결과들
- 이슬람 테러와 무관한 죽음에 관련된 신문기사를 접하는 것만으로 미국인이 이슬람에 대한 편견이 증가됨.
- 자존감(Self-esteem)이 낮은 개인의 경우 이 편견의 확대가 더욱 강함.
- 죽음현출성에 노출된 개인은 자존감을 얻으려는 행동이 증가됨.
- 죽음현출성이 집단 내부의 결속력을 더 강화시켜준다는 연구결과도 있지만,
이와 반대로 집단 내에서 불신이 증가하고, 중립적인 개인들도 타집단에 대해서 부정적인 고정관념에 더 동조하게 됨.
이 이론을 소개하는 목적은?
공포 관리 이론을 따르는 개인이 무조건 나쁘다는 것을 설명하려는 것이 절대 아닙니다.
너무나도 자연스러운 심리반응이고, 나아가 마틴 루터킹 목사나 안중근의사 의거와 같은 집단을 위한 위인들의 행동도
자기 문화적 정체성을 보호하려는 심리가 동기부여가 될 수 있었음을 추정 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비이성적인 분노, 혐오 반응을 일으킬 수도(예: 한 사건만으로 전체집단으로 일반화)
있고, 사회는 끊임없이 변화하는데 이것의 의미를 제대로 따져보기 앞서
무조건적으로 거부하게 되는 것(무조건적 보수성)을
경계해야 한다는 것이 제 주장입니다.
또한 이것이 최근의 대한민국 국민들의 힘든 상황, 남북 분단, 자존감을 낮게 만드는 미디어,
자극적 보도 등이 자꾸 죽음을 상기시키게(죽음현출성, mortality salience)
하는 것으로 나타나 혐오반응이 증가하게 되지 않은 것인가 생각해서입니다.
추신) 관련 요약은 인터넷 검색중에 발견한 춘천교대 추병완 교수님 논문과
제가 학교에서 들었던 강의자료를
바탕으로 했습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한번 찾아서 읽어보시길 추천드려요.
그리고 시간제약으로 참고자료 소스를 전부 인용하지 못한 점은 양해드립니다.
(추병완(2013),편견의 원인과 결과: 공포 관리 이론(terror management theory)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