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어준은 "안희정 지사는 반어법이라고 했다. 요약하면 이명박 박근혜 대통령도 선한 의지를 갖고 했다고 믿어주자고 했다"고 했다. 실제 안희정 충남도지사가 했던 발언을 앞부분까지 살펴보면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 인권주의자로서 민주주의자로서 평화주의자로서 이 땅에 헌법에 따라 대한민국을 잘 이끌었던 분이다. 이명박 박근혜 대통령, 그 분들도 선한 의지로 우리 없는 사람들과 국민들 위해 좋은 정치 하시려고 했다"라고 되어 있다. 김어준은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 얘기하고, 이명박 박근혜 대통령 얘기해서 그 사이 현장에선 이전엔 그런 의지를 갖고 있었는데 이 분들도 선한 의지 갖고 있었느냐고 반어법을 쓴 거라고, 현장 관객들은 그걸 이해해 서로 웃고 그랬다고 했다. 반어법이라고 설명하는 부분이 저도 이해가 간다. 그게 안희정 지사의 화법이기도 하다. 직접적으로 비난하지 않는다. 하지만 그 뒤에 이어지는 문장들이 문제가 되는 거다"라고 했다.
안희정 충남지사는 미르, K스포츠 재단 등도 선한 의지로 만들었을 거란 전제하에 받아들여야 한다는 말을 이어갔던 것. 김어준은 "앞 부분은 반어법이라고 이해하는데, 뒷 부분은 사례라고 하더라도 납득이 안 되는 말들이 많다"고 했다. 이어 "선한 의지라는 어휘 선택의 문제, 적절한 사례였는가 하는 문제, 즉문즉답이니까 완전한 문장이 아니라 본인의 뜻이 제대로 표현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안희정 도지사가 단순히 선거 전략으로 중도를 끌어들기 위한건 아니라고 저는 알고 있다. 오랫동안 알아왔던 사람이다. 안희정 지사 말은 이거다. 상대를 악으로 전제해버리면 대화가 안 되더라. 그러니 민주주의 하자면 자신과 다른 생각을 악으로 전제하지 말고 대화를 들어보자고 하는 거다"라고 했다.
하지만 "대화술로는 적절한 해명인데, 상대가 선한 의지가 아닐 경우가 있다. 우리가 만약 사람이 죽었다. 불법 일어났다. 안희정 지사는 사람 의도를 따지지 말고 불법이 있었냐고 따지자고 한다. 하지만 여기서 문제는 사람이 죽었는데 결과적 불법 일어났으면 잘못이다. 그 의도를 따지지 않으면 치밀한 계획 하에, 잔혹한 살인법인지 과실치사인지 모르는 거다. 모든 사람이 과실치사가 되는 거다"라고 했다.
이에 한겨레 기자는 "안희정 지사는 말꼬리를 잡히게 된 상황이 된거다. 현재 대선 주자로서 좋은 상황이냐 하면 절대 아니다. 본인이 너무 쉽게 생각하는 것 아닌가 하다. 어젠다를 던지고 토론하는 상황이 되어야 하는데 자꾸 해명을 해야 한다"라고 했다.
김어준은 "구질구질해진다. 이런 착시도 있다. 본인이 가진 대화술, 태도, 철학 등이 먹혔기 때문에 확장이 되고 지지율이 올라가고 있는 거라 생각한다. 기본적으로 보수 진영이 문재인 대세론이 확장될까봐 종편에서 밀어준 것도 있긴 있다. 물론 이게 전부는 아니다"라며 "그것처럼 안희정 지사가 평소 갖고 있던 상대를 악으로 인정하면 안 된다 이런 태도가 먹혀서 20%가 되는 건 아니다. 여기에 착시가 있는 것 같다"고 했다.
이어 "사례를 잘못 들었다고 하면 가장 좋았을 것 같다. 억울할 수도 있다. 그런데 억울하다고만 할 게 아니라, 누적된 거다. 갑자기 이런 발언이 나와서 사람들이 이상하다고 생각한 게 아니라 조금씩 누적돼 이상하다고 생각하다가 이 사례를 통해 '역시 이상하다'라고 생각을 하게 된 거다"라며 사드배치, 대연정 등을 언급했다.
김어준은 "캠프도 되돌아볼 시간이 된 것 같다"며 "우리는 지금 의도를 따져야 하는 범죄 앞에 서 있다. 의도를 빼고 결과치만 갖고는 해설이 안 된다"라고 했다.
이상.
전 김어준의 말에 전적으로 동감합니다... 모든 결과는 그 시작, 즉 의도에서 시작하고, 그것이 선의라고만
한다면, 잘못된 결과에 대해서만 법적인 책임을 물을 수는 있을 지언정, 근원적인 문제, 즉 악의에 대한 심판을
어떻게 할 수 있는가?
선의의 시각으로 본다면, 박근혜 5촌 살인사건에 대한 의혹 부분도 좀더 밝혀져야 겠지만,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건가?
안희정 지사의 오랜 지지세력들의 다수는 안 지사에게 '상식이 통하는 세상을 꿈꾸는 리틀 노무현'에 대한 바램이 크기 때문이라는 것을, 그러한 지지세력 들이야말로 본인에게 중요한 정치적 자산이란 것을 잊지 않았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