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길환영 사과, 김시곤 사퇴... <기레기>가 된 한국언론
게시물ID : sisa_510828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방관하지마
추천 : 3
조회수 : 595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4/05/09 17:04:06
검은옷 착용 금지, 교통사고 망언김시곤 사퇴! ‘기레기가 된 한국언론



세월호 참사의 국난 가운데에서도 정부와 대통령을 미화하는 보도를 쏟아내고, 각종 오보를 양산하고 있으며, 비윤리적인 취재로 가족들에게 정신적인 피해를 주고 있는 한국언론에 대한 국민들의 분노는 극에 달하고 있다.
 
가족들은 진실을 외면한 기자들의 수첩과 휴대폰을 빼앗아 바다에 던져버렸으며, 네티즌들은 기자를 쓰레기라고 부르는 말들을 공공연하게 쓰이고 있다. 국민들의 분노를 아는 지, 모르는 지 주류언론에서는 여전히 박비어천가부르기를 멈추지 않고 있다. 이것이 한국 언론의 현주소다.
 



언론으로서의 사명을 포기한 공영방송과 보수족벌언론
 
한국 언론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언론이 정치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명박 정권 시절부터 정부차원의 프로젝트로 추진된 언론장악공영방송에 낙하산 사장을 내려 보내고, 보수족벌언론에 TV종합편성채널을 승인해 줌으로써 완성되었다. 언론장악에 맞섰던 정의로운 기자들은 해고되거나 한직으로 쫓겨났다.
 
지난 417, 박근혜 대통령이 진도 현장에 방문했을 당시의 언론은 격렬하게 항의하는 실종자 가족들의 목소리는 삭제한 채 방송하는 한편, 어린이 생존자를 안아주는 대통령의 인간적인모습만을 부각시켰다.
 
이명박 정권시절부터 언론장악의 선봉에 선 KBS간부들의 태도 역시 심각한 수준이다. 김시곤 KBS 보도국장은 아나운서들에게 검은 옷을 입지말라, ‘세월호 사망자보다 교통사고 사망자가 적다는 취지의 발언 등 망언을 쏟아내며 구설수에 올랐다. 합동분향소에 찾은 이들은 유가족들에게 거센 항의를 받았다. 김시곤 보도국장은 청와대까지 찾아간 유가족들 앞에 사과하고 사임 기자회견을 해야했다.
 
이런 가운데 대통령 직속기관인 방송통신위원회가 언론의 세월호 관련 의혹을 통제하는 내부 문건을 배포한 것으로 밝혀져 이번 사건에서도 언론장악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이 문건은 방통위가 정부의 기준으로 언론 보도 등을 모니터링하고 통제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어 언론장악이 이미 정부기구 차원에서 조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대량오보 사태가 보여준 저널리즘의 실종
 
재난보도에서 한국 언론이 보여준 부끄러운 민낯은 비단 세월호 사건에서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비슷한 해난사고였던 1993서해 페리호 사건에서도 언론은 배 안에서 순직한 선장이 혼자 탈출한 것으로 보도해 유족들을 비롯한 내외의 공분을 샀다. 당시 검경은 선장생존설을 유포한 언론의 기사만 믿고 선장에게 지명수배를 내리고 주변 도서에 대한 수색작전을 펼쳤다. 언론의 무책임한 보도가 유족들에게 상처를 주고, 엄청난 사회적 비용을 초래한 것이다.
 
21년이 지난 이번 사건에서도 언론의 무책임한 오보사태는 계속되고 있다. 사건 초기 최악의 오보는 전원 구조보도였다. 이는 사건 당일인 416일 오전 경기도 교육청이 출입기자들에게 단원고 학생 전원 구조라는 문자 메시지를 보낸 것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하지만 탑승자 수도 정확히 파악하지 못했던 당시 상황을 고려해 볼 때, 충분히 의심의 여지가 있는 정보였음에도 불구하고 언론은 속보를 내보내며 받아쓰기에 바빴다.
 
또한 사고발생 3일 차인 18KBS에서는 구조 당국의 말을 인용하면서 선내 엉켜있는 시신 다수 확인이라는 자막을 내보냈다. 오보 직후 사고대책본부 브리핑에서 해경은 시신을 발견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재난보도가 처음도 아닌데, 왜 이처럼 한심한 오보들이 계속되는 것일까. 이러한 오보는 기본적으로 정부에서 정확한 재난 정보를 종합하고 있지 못한 데서 기인한 것이지만 한국의 후진적인 언론 시스템이 만들어낸 결과이기도 하다. 원인분석과 심층보도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외국과 달리, 한국의 재난보도 시스템은 속보 중심의 보도에 중점을 두고 있다. 속보경쟁체제에서는 사실 확인보다 빠른 특종보도가 우선하기 마련이며, 자극적이고 주관적인 보도에 초점이 맞춰질 수밖에 없다.
 



패륜보도 기레기는 왜 나타날 수 밖에 없는가
 
세월호 사건에서 막말로 지탄을 받은 것은 정치인들만이 아니다. 도를 넘어선 취재경쟁을 벌이다 넘어서는 안 될 선을 넘은 기자들은 기레기’(기자+쓰레기)라 불리며 사람들의 눈총을 받고 있다. JTBC의 박진규 앵커는 16일 뉴스특보에서 구조된 단원고 학생과의 전화인터뷰에서 친구가 사망했다는 소식을 알고 있느냐고 물어 논란을 빚었다. 또한 MBC는 뉴스에서 세월호와 세월호 탑승객의 보험 금액에 대한 보도를 해 지탄의 대상이 되었다.
 
또한 이투데이라는 인터넷 언론사는 타이타닉·포세이돈 등 선박사고 다룬 영화는?”이라는 기사와 “[진도여객선 침몰] SKT, 긴급 구호품 제공·임시국 증설. ‘잘 생겼다 잘 생겼다~’”라는 선정적·상업적인 기사를 올려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일부 기자들은 자극적인 기사거리를 찾기 위해 단원고에 들어가 취재를 하다 학생들에게 비난을 받았으며, 인터넷 뉴스통신사 뉴시스는 피해학생의 일기장 사진을 공개해 무단으로 서랍을 뒤진 것이 아니냐는 비판을 받았다.
 
그러나 이것은 기자들만의 문제는 아니다. 기자들은 언론사로부터 취재와 보도과정에서 지켜야 할 규칙들을 전달받지 못하고 있고, 특종에 대한 부담감으로 과도한 취재경쟁에 내몰리고 있다. 언론사들도 마찬가지다. 언론사의 수입구조가 기업 광고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고, 기사의 인터넷 노출 횟수가 언론의 영향력을 대변하는 지금의 시스템에서는 자극적인 제목의 기사들이 양산될 수밖에 없다.



언론이 바로서야 나라가 선다? 나라가 바로서야 언론이 선다!
물론 한국의 언론 윤리 문제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그러나 아직 구조작업이 진행 중이고 피해자가 존재하는 재난보도는 다른 기사에 비해 더 큰 보도윤리가 필요한 영역이다. 사실 재난보도에 있어서 기자들이 지켜야 할 가이드 라인은 이미 2003대구 지하철 참사때 논의된 바 있다. 그러나 정확한 보도를 우선할 것, 선정적 어휘 사용을 자제할 것, 피해 상황의 반복 전달보다 추가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보도에 주력할 것, 피해자와 유족들을 안정시키고 피해자의 명예와 사생활을 보호할 것, 피해생존 청소년과 아동에 대한 취재를 제한할 것, 피해 생존자 근접촬영 화면 사용을 자제할 것 등의 내용을 담은 재난보도준칙은 세월호 사건 앞에 무색해진 채로 여전히 뒷전에 물려나 있다.
 
그러나 개별 언론인들의 자성 보다 중요한 것은 언론 일반을 둘러싸고 있는 정치적인 환경을 바꾸는 것이다. 이명박 정권 이래로 한국의 주류언론은 정부와 여당의 대변자로 전락했다. 이들에게 언론이란 기득권 세력과 특정 정파의 사유물에 불과하다. 주류 언론에 대한 국민적인 불신은 기성 정치권에 대한 불신만큼이나 뿌리깊이 자리 잡고 있다. 이번 세월호 침몰 사건을 통해 국민들의 언론에 대한 실망은 체념을 넘어 분노로 표출되고 있다. 한국에서의 언론개혁은 이처럼 단단하게 야합한 정-언 유착의 본질을 파헤치고, 그 어둠의 고리를 끊어내는 데서부터 시작되어야 할 것이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