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식민사관과 동북아 역사지도
게시물ID : sisa_742478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포스트댓
추천 : 3/2
조회수 : 805회
댓글수 : 2개
등록시간 : 2016/06/30 11:02:30
식민사관과 동북아 역사지도/오일만 논설위원
(2016.06.30 서울신문)
 
식민사관의 뿌리는 참으로 질기다. 1910년 초대 총독 데라우치 마사다케는 부임 직후 새로운 역사 편찬을 지시한다. 조선인들의 독립 정신을 말살해 식민지 지배를 공고화하려는 의도였다. 3대 총독 사이토 마코토의 말을 들어 보자. “조선 사람들이 자신의 역사와 전통을 알지 못하게 하라. 그들 조상의 무위무능을 들춰내 그것을 과장하여 조선인 후손들에게 가르쳐라. 이것이 제국 일본이 조선인을 반(半)일본인으로 만드는 핵심이다.”

조선총독부 취조국은 조선의 구습과 제도조사라는 명목으로 전국을 뒤져 51종 20여만권 이상을 압수해 불온서적으로 낙인찍고 일부만 남긴 채 모두 소각했다. 임나일본부(고대 일본이 한국 지배를 위해 한반도 남부에 설치했다는 기구)의 존재를 강하게 부각시킨 것도 이 무렵이다. 철저한 준비 끝에 1922년 조선사편찬위원회가 설치됐다. 위원장은 총독부 2인자인 정무총감이 맡았고 이완용, 박영효 등 대표적인 친일 매국노들이 고문으로 참여했다. 조선인 학자로 참여한 핵심 인물이 바로 이병도 박사다. 1925년 조선사 편수회로 확대 개편된 이후 1937년 조선사 35권을 완성했다. 정치 문화적으로 타율성, 사회 경제적으로 정체성에 초점을 맞췄다. 자신들의 정치·역사적 논리에 어긋나는 사료와 유물은 철저하게 배제했고 그것도 모자라 사료 왜곡과 유물 날조도 서슴지 않았다.

해방 이후 한국 역사학계를 이끈 이 박사는 스승인 시라토리 구라키치와 함께 고대조선-기자조선-위만조선-한사군으로 이어지는 고대사 뼈대를 세운 인물이다. 그는 해방 후 서울대 교수, 문교부 장관, 학술원장 등을 지내며 실증사학이란 이름으로 역사학계에 막강한 세력을 키웠다. 조선사 왜곡에 참여했던 인물들이 해방 후 강단 학계의 주류가 됐고 그 틀 안에서 학맥이 형성된 것이다. 엄격한 도제식 학풍에서 스승과 다른 논리를 펴는 이들은 강단에서 쫓겨났다.

최근 동북아역사재단은 연세대·서강대 산학협력단이 제출한 동북아 역사지도 715장에 대해 최종 불합격 판정을 내렸다. 중국의 동북공정과 일본의 역사 왜곡에 대응할 목적으로 8년간 45억원의 혈세를 들인 사업이 물거품이 된 것이다. 독도는 아예 표시도 없고 일제의 식민사관과 중국의 동북공정 내용을 뒷받침하는 내용이 다수 포함돼 있다는 것이 국회와 재야 학자들의 주장이다.

마침 이번 동북아 역사지도 논란과 임나일본부설을 비판한 민족사학자 이덕일 박사의 재판 사건 등이 기폭제가 되면서 지난 26일 100여개 단체가 ‘미래로 가는 바른 역사협의회’(미사회)를 발족시켰다. 주류 역사학계의 식민사관을 비판하고 민족주의 역사학을 세우겠다는 취지다. 광복 70년이 넘어도 식민사관의 질곡에 허우적거리는 우리 역사학계에 새로운 돌파구가 되기를 기대한다.

http://m.seoul.co.kr/news/newsView.php?id=20160630031009&cp=seoul
출처 http://m.seoul.co.kr/news/newsView.php?id=20160630031009&cp=seoul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