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간부분 기사입니다. 출처의 기사 전문을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 서해해경 수사보고 중 세월호 일반화물 적재 현황
“침몰 당일, 철근 400톤은 전부 제주해군기지로 향했다”
청해진해운과 2008년부터 거래를 해온 물류업체 관계자 A씨는 “제주해군기지로 가는 것도 있고 일부는 개인 건축자재”라며 “삼성물산이나 대림산업에서 시공을 하는데 제주해군기지에서 매일매일 리스트를 만들었다. 그걸 보면 제일 정확하다”고 말했다.
제주 현지에서 철재소를 운영하는 관계자 B씨는 ‘철근이 제주해군기지로 가는 게 맞느냐?’는 질문에 “맞다”며 “정확한 내역은 송장에 나오는데 배에 있을 거다”라고 확인했다.
청해진해운 관계자 C씨는 “세월호에 실리는 철근은 보통 20%는 다른 곳으로 가고, 80%는 제주해군기지로 간다”며 “다만 당일(2014년4월15일 화물 적재 당시)은 100% 해군기지로 가는 것이었다”고 진술했다.
사고 당일 세월호에 실려 제주해군기지로 향하던 철근은 일반화물 총량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하는 막대한 양이었다.
특히 이들 철근 가운데 중량톤수로 130톤(26톤 트럭으로 5대) 가량은 선박의 복원성을 약화시키는 선수갑판(C데크)에 실린 것으로 확인된다. 세월호가 좌현으로 기울었을 당시 제일 먼저 쏟아져내린 것이 철근과 H빔이었다. 최근 뉴스타파는 명성물류가 화물피해액을 감정받은 손해사정법인을 취재해 실제 세월호에 실린철근이 410톤이며, 이 가운데 3분의 2가 D갑판에, 3분의 1은 C갑판(선수)에 실린 사실을 보도했다.
정부와 검찰은 세월호 침몰의 주요 원인으로 과적을 꼽아왔다. 세월호 사고 당시 컨테이너 자체 무게와 차량 등 등을 제외한 일반화물이 1094톤이었던 만큼, 1개 업체에 의해 410톤의 화물이 한꺼번에 실리게 된 경위가 무엇인지 조사가 필요해 보인다.
410톤의 철근이 서류상 286톤으로 축소돼 발표된 이유도 밝혀져야 한다.
세월호에 실린 철근은 서류상 286톤으로, 청해진해운의 오랜 거래처인 명성물류가 선적한 것으로 돼 있다. 이들 철근 가운데 40톤은 출하주가 ‘동국’이며 수하주는 제주 소재 B철재로 돼 있다. 그러나 246톤의 경우 출하주만 ‘현대’로 나와있고 선적의뢰서 상엔 수하주가 적혀 있지 않다. 명성물류가 작성한 26개의 선적의뢰서 가운데 수하주가 없는 것은 이 철근 246톤에 대한 의뢰서 뿐이었다.
▲ 서류상 기재된 철근 286톤에 대한 선적의뢰서. 실제 세월호에 실린 철근은 410톤이다.
국정원이 세월호 도입 등 청해진해운 운영에 개입해온 이유에 대한 단서가 될 지도 주목된다. 이미 드러난 대로 청해진해운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국정원에 해양사고를 보고하게 돼 있었고 세월호 도입 관련해서도 국정원의 간섭을 받았다. 국정원의 고유업무와는 무관한 연안여객선 업체에 대한 이같은 이해할 수 없는 개입이 제주해군기지 때문은 아닌지 조사가 필요해 보인다.
국정원은 제주해군기지 문제에 깊숙이 관여해왔다. 국정원은 2012년 제주해군기지 건설 저지 운동 등과 관련한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오혜란 ‘제주해군기지저지전국대책회의’ 공동집행위원장 등을 압수수색 한 바 있으며 2009년엔 국정원과 해군, 제주자치도 등이 참석한 유관기관 회의에서 국정원 관계자가 “측면 지원”을 언급한 사실이 KBS제주 보도로 드러난 바 있다.
[이게 이제서야 나온겁니다. 2년이 지났는데 이제서야 나왔네요.. 그리고 기사 마지막에 나오는 국정원 관련 문제 제기에도 관심을..........]
출처 | http://www.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3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