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일본 JR홋카이도의 민영화 실패 사례
게시물ID : sisa_473994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난뭔가
추천 : 3
조회수 : 851회
댓글수 : 2개
등록시간 : 2013/12/28 12:09:49
일본은 1949년 기존의 철도 노선의 운영권을 운수성에서 물려받고, 일본국유철도라는 공기업으로 출범했습니다.
초기엔 흑자가 꽤 났으나, 차량의 보급 등으로 인해 1964년부터 적자가 나기 시작했는데,
결국 이 적자로 인해 당시 나카소네 총리는 일본국유철도를 민영화를 하기에 이릅니다. (당시 일본국철 적자는 약 30조엔)
그리하여 생긴 기업이 JR동일본, JR서일본, JR도카이, JR큐슈, JR시코쿠, JR홋카이도입니다.
그리고 민영화가 감행된지 26년이 지나고 지금 일본 JR은 어떻게 되었을까요?
도쿄-나고야-오사카 등을 잇는 신칸센 노선을 보유한 JR동일본과 JR도카이는 매년 약 3000억엔에 달하는 흑자를 내고 있습니다.
그러나 기존 재래식 노선이 절대 다수인 JR홋카이도는 매년 약 300억엔의 적자를 보고 있습니다.
JR홋카이도는 이렇게 적자가 자주 나다 보니 신규 채용을 하는 횟수가 점차 줄어들고 있는데
현재 JR홋카이도의 직원의 30% 이상이 50대이며 현장근로자로 일할 40대 근로자 수가 10%도 안되는 상황이라고 합니다.
게다가 민영화 이전 JR홋카이도의 직원은 14000여명이었는데 민영화 이후 절반도 안되는 6800여명으로 줄어들었습니다.
그럼에도 특별열차 운행 횟수는 2배로 증가하였으며, 노선 보수 및 유지를 외주로 돌려 미숙련 노동자들을 현장에 내보낸다고 합니다.
요금 또한 민영화가 이루어지고 나서 크게 올랐습니다. 도쿄에서 삿포로까지 가는 신칸센을 타면 1회 운임 비용이 한화로 약 35만원에 이릅니다.
같은 거리를 기준으로 한다고 해도 일본의 철도 요금은 한국의 4배 이상 비싸다고 합니다.
이영채 일본 게이센여대 교수는 "홋카이도는 날씨가 추워 철로의 침목이 잘 썩어 20년마다 교체를 해야하는데 사기업이 채산성을 유지하기 어려운 지역 중 하나이며 국가가 절대로 민영화해서는 안되는 서비스를 민영화하고 그 책임을 노동자에게 묻고 있다"라며 질책했습니다.
그는 "홋카이도는 한국 강원도나 서울, 경기 지역의 날씨와 비슷하므로 함부로 민영화를 한다면 JR홋카이도와 비슷한 일이 일어날 수 있을 것이다"라며 한국의 수서발 KTX 노선 민영화에 대한 우려를 표했습니다.
 
일본 JR홋카이도는 민영화에 실패한 사례 중 하나입니다.
더욱이 2011년에는 열차가 탈선하여 승객 78명이 부상을 입는 사건이 발생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도 수서발 KTX를 민영화한다면 일본 JR홋카이도와 같은 사태가 벌어질 지도 모릅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