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부정선거와 혁명의 임계점에 대하여
게시물ID : sisa_454479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maru2u
추천 : 10
조회수 : 601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3/11/22 00:40:04
지난 대선 이후로 계속 불거져왔던 의혹들이 하나둘 진실로 밝혀지면서
 
나를 비롯한 수많은 사람들은 '그래 이 정도면 이 정권을 뒤집을 정도는 되지 않겠어?' 라는 생각에 순간 기대감에 젖었다가도
 
'뭔가 확실한 변곡점이 될 만하면 나도 참여해야지'라는 소극적, 준 방관자적 자세를 견지하거나,
 
혹은 '그래도 이 정도로 대통령을 하야시키거나 수권 정당에 결정적 한방을 먹이기에는 세가 너무 적어.' 라고 체념에 빠지기를 수차례 반복했을 것이리.
 
팟캐스트 1위로 등극한, 간만에 신선(?)한 방송' 최고탁탁' 2회 '잃어버린 48%를 찾아서'를 들으며,
 
우리는 대선에서 패배할 경우를 대비하지 않고 그저 달려왔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당시 대선 1~2주 전부터 우리가 이길 분위기는 분위기인데 뭔가 불안한 그 오묘한 무언가를 느끼며
 
대선 당일과 다음날, 여기저기서 들려오는 부정선거 관련된 제보들에 집중하기 보다는,
 
심적으로 전혀 준비되지 않았던 패배에 대한 무력감과 허탈감이 너무나 커서 ... 무언가를 상실해버렸다는 생각이 들었다.
 
 
 
부정으로 당선되었다라는 사실이 명명백백해졌음에도,
 
이 선거를 되돌리는 것이 법적으로는 이미 불가능해졌다는 사실을 알고,
 
초법적인 조치를 취하기 위해서는 소위 '혁명' 정도가 일어나 주어야 하는데,
 
사실 현 시국 정도르는 혁명이 일어날 임계점에 도달하지 못했다는 것을 너무나도 잘 알기에...
 
그들은 여전히 뻔뻔한 것이고
 
우리는 그들이 그런 만큼, 답답하고 외면하고 싶다가도 분노하고, 욕지꺼리를 내뱉다가도 그 무의미함에 실소를 하게 되는
 
반 우울증에 빠져 지내왔으리.
 
 
 
혁명은,
 
역사적으로 그 성공확률이 현저히 낮은 것 만큼이나 (특히 동양권에서는 더더욱)
 
발생하기 위한 전제조건들이 갖추어져야 하는데,
 
지금은 그럴 조건들이 전혀 형성되지 않았다는 것이 이 글이 요지이다.
 
실제 2차 세계 대전 이후 자본주의와 민주주의라는 쌍두마차를 채택한, 국민소득 2만불 이상의 국가에서 혁명이 일어난 적이 있었던가?
 
즉 선진국이나 중진국에서는 혁명을 일으킬 리스크보다는 기득권에 가까이 붙어서 충성하는 것이 개인의 기대값이 더 높다는 것.
 
더군다나 현재는 전세계적으로 한 시대를 풍미했던 체제 (달러화 - 부채를 통한 성장 - 금융통화가 실물통화를 압도 - 주식시장이 노동시장보다 중요시)가 종말까지는 아니고 정체기에 도달해있는 시기가 아닌가?
 
수많은 곳에서 대안체제에 대한 많은 고민과 시도(자생경제, 조합 경제, 공유 경제 등)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 흐름이 전체적인 흐름을 바꾸기엔 아직 너무나 미흡한 상황,
 
이런 상황에서 사람들은 혁명을 선택하지 않는다. 아니 하지 못한다.
 
 
 
혁명,
 
경제민주화가 우리에겐 정치적으로 힘을 모으면 달성 가능한 것으로 보이지만,
 
그들 (재벌-수구언론-군대-금융권) 입장에서는 그것이 혁명으로 느껴질 것이다.
 
노무현 시절의 4대입법은 그들이 느끼기엔 그들의 기득권을 해체하려는 합법적 혁명의 기운으로 느꼈었던 것이고,
 
그것이 그들이 노무현을 그렇게도 끊임없이 짓밟고 짓이기고 부관참시하는 이유라고 생각한다.
 
거꾸로 말하면,
 
혁명을 하는 듯한 결집과 심정, 추진력 없이는 '경제민주화'라는 말은 쉬이 정치적 미사여구 수준의 상징적, 이미지 정치의 부산물일 뿐이고,
 
그것을 너무 쉽게 내뱉었던 야권은 ... 여권을 당할 수 없다라고 생각한다.
 
 
 
부정선거는
 
혁명에 대항하는 그들의 강력한 방어수단이었기 때문에
 
그들은 계속해서 그것을 할 것이다.
 
하짐나 그럴 수록 혁명의 임계점에 다가가게 되겠지.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