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권분립과는 조금 다른 성질이지만
정부 - 언론 - 국민
이 세가지는 민주주의 정치에서 상호유기적이며 견제의 책임, 소통의 의무, 주도적 권리들을 동시에 지닙니다.
민주주의 원칙을 공고히하기 위해선 정부와 국민, 이분법적인 형태에서 벗어나
필히 언론이 가진 정보의 힘으로 정당한 논리와 신념으로 정부를 비판함으로써
국민들로부터 신뢰를 얻어야 합니다.
반대로 언론이 국민들을 대상으로 한 취재가 정부의 정책에 피드백과 방향성을 제시해 주는 경우도 일어나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현실이 그렇지 못한 까닭은 언론이 시대상에 부합하는 절대적 가치로써 중립적인 입장을 취하지 못한 원인도 포함되는게 아닐까요.
더욱이 이미 정부는 국민들을 사용이 아닌 이용하는 방식을 고수해왔기 때문이기도 하죠.
휴전 중이라는 무의식적인 잠재위기상황 등 정부의 힘이 거북할정도로 강한 이유는 다방면에 필연적으로 존재합니다.
거기다 지형적으로 좁고 닫힌 특색과 장단점을 지닌 그놈의 단일민족 유대감 등 여러 원인이 있겠지만
'우리' 나라는 다수의 개인부터 집단까지 행동양식과 사고방식이 타락에 익숙해져 있는건 확실합니다.
기업들도 뒤가구려 정부와 결탁하고 국민들은 사회로부터 그런 분위기와 시국양상에 휩쓸려버리기도 합니다.
국민들의 평균지능이 뛰어나다는 이점이 이제는 사회구조의 혁신에 집중되어
껍떼기뿐인 민주주의에 만족하는게 아닌 진실된 정치민주화를 유지하고
공정한 경제민주화가 이루어져야 합니다만 많은 숙제가 남아있습니다.
또한 저열하고 별다른 의미없는 오락거리로 대중의 시선과 관심은 쏠려버리기도 하고
예술과 문학을 논할 자리는 외면당하여 대중의 의식수준마저 정체 혹은 퇴화합니다.
섣불리 글을 쓰다보니 점점 뻔한내용에 흐름의 결착도 막연해집니다만 이런 혼란속에서도 드는 확신은
저널리즘을 넘어서 온라인으로 행하는 시민저널리즘이 현실의 민주화를 위한 첨병 중 선두가 되리라는 겁니다.
아쉽지만 무언가 실질적으로 속시원한 해결책을 토로하기엔
절대적 가치로 믿었지만 인간의 본성에 부서지는 모습으로 회의감을 안겨줬던
이상뿐인 기저의 잔재들이 현실에 짓눌린 머릿속을 더욱 혼탁하게 하는 듯 합니다.
경제성장은 선진국들을 답습하여 이룩해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심한 정치판국을 떨쳐버릴만한 귀감이 되는 몇몇의 청렴한 북유럽 국가들의 정재계 시스템을 본받으려면 많은 정재계인사들이
금전적 탐욕으로만 얻어낸 지위와 위신들은 스스로 버려야 할 판이니 그 모순을 극복할것인지
아니면 결국 노화와 죽음의 손아귀가 그들을 거둬갈때야 점진적으로 종결될 문제일지
한낱 미온적 삶에서의 방관자인 지금으로선 알수없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