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세종의 칠정산과 천동설의 정확도
게시물ID : science_55999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Limeade
추천 : 7
조회수 : 1529회
댓글수 : 1개
등록시간 : 2015/12/16 18:41:15
일식이 있어 인정전 월대 위에서 일식을 구하다    
일식이 있으므로, 임금이 소복(素服)을 입고 인정전의 월대(月臺) 위에 나아가 일식을 구(救)하였다. 시신(侍臣)이 시위하기를 의식대로 하였다. 백관들도 또한 소복을 입고 조방(朝房)에 모여서 일식을 구하니 해가 다시 빛이 났다. 임금이 섬돌로 내려와서 해를 향하여 네 번 절하였다. 추보(推步) 하면서 1각(刻)을 앞당긴 이유로 술자(術者) 이천봉(李天奉)에게 곤장을 쳤다.

세종 15권, 4년(1422 임인 / 명 영락(永樂) 20년) 1월 1일(기미)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y.go.kr/url.jsp?id=kda_10401001_002
1각 = 14.4분 = 14분 24초

네 일식을 15분 틀리면 곤장 맞는 시대였답니다. (안습...)

그나마 세종이 성군으로 기록된 건, 일식 있을 때마다 곤장 치고 때우는 게 아니라 안 틀릴 방법을 알아보라고 한 것이죠.

그래서 곤장 맞기 싫었던 신하들은 지구 반대편의 천문학 이론을 공부하게 됩니다. (안습...)
<내편>은 원나라의 수시력(授時曆)과 명나라의 대통력(大統曆)을 서울의 위도에 맞게 수정, 보완한 것이고, <외편>은 당시로는 최신 기술이라고 할 수 있는 아라비아 천문학을 흡수하고 있다. <내편>은 1년을 365.2425일, 1달을 29.530593일로 정하고 있는데, 이 수치들은 현재의 값과 유효 숫자 여섯 자리까지 일치하는 정확한 것이다. <내편>이 원주를 365.25도, 1도를 100분, 1분을 100초로 잡고 있는 데 비해, <외편>은 원주를 360도, 1도를 60분, 1초를 60초로 한 새로운 방식을 수용하고 있다. 이 방식은 오늘날 세계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그대로다.

세종시대 최첨단 역법서-'칠정산'
http://www.hani.co.kr/arti/science/kistiscience/85836.html
그러나 괜히 최신 과학이 아닌 것이, 칠정산 외편은 기존 쓰던 역법 뿐만 아니라 중국 이론을 담은 칠정산 내편보다도 더 정확하다는 것이 밝혀집니다.
회회력(回回曆)

원나라, 명나라 시대에 중국에 전래한 이슬람 역법.
...
세종은 『회회력』을 이순지(李純之)‚ 김담(金譚) 등에게 연구하게 하여 중국 역관이 잘못 계산한 것을 수정하여 『칠정산외편』을 편찬하게 했다고 한다. ...『칠정산내편』과 『칠정산외편』은 내용상 적지 않은 차이가 있는데 특히 일식, 월식의 계산에서 『칠정산외편』이 『칠정산내편』보다 정확하여 이후 일월식 계산에서는 『칠정산외편』이 비교력으로 사용되었다.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2871


이렇게 정확한 역법은 달의 움직임을 어떻게 예측하였을까요?

고대 그리스에서는 우주의 중심이 지구이고, 태양과 달 등의 천체는 원운동을 하는 지구를 이심(離心)으로 하는 이심원을 따라 공전한다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지구 주위를 도는 천체들은 이 이심원의 원주에서 다시 작은 원을 그리며 돌고 있다고 여겼는데, 이때 이 작은 원을 주전원(周全圓)이라고 한다. 고대 그리스의 천문학자 프톨레마이오스(Ptolemaeus)에 의해 제기된 이 학설은 지구중심설 또는 천동설이라고 한다. 조선시대 전기의 천문서인 『칠정산외편(七政算外篇)』에서는 달의 주전원을 본륜(本輪)이라 하고, 행성의 경우는 소륜(小輪)이라고 표현하였다.

ImageHandler.jpg

본륜행도(本輪行度)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1321

네 바로 천동설입니다.

그래도 곤장 맞지 않을 정도로 정확했으니 제 역할은 다한 셈이죠. ㅋㅋ

갈릴레이가 "그래도 지구는 돈다"고 데꿀멍하고, 케플러가 타원 궤도를 들고 오기 전까지 천동설이 버틴 이유도 이렇듯 그럭저럭 정확했기 때문입니다.
출처 http://sillok.history.go.kr/url.jsp?id=kda_10401001_002

http://www.hani.co.kr/arti/science/kistiscience/85836.html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2871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1321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