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추천 기사에 뜨던데
어째서 이런 듣보잡 사이트의 일뽕 망상글이 자꾸 구글 추천으로 나오는지 모르겠네요. 구글 제발 정신좀 차렸으면..
3줄요약
1. 노르망디를 지키던 독일군은 정예전력이 아니었고 화력도 약했으며 방어진지는 부실했고 방어전략도 비합리적이었다.
2. 노르망디 상륙의 주축이었던 미 육군은 일본군과 싸운 미 해병대에 비해 약했다.
3.일본군은 미군과의 전쟁 경험을 쌓아서 해변을 포기하고 지하진지를 구축하는 더 합리적인(?) 전략을 쌓았고, 전투의지도 더 강했으며(?) 미 해병대를 곤욕을 치르게 했으니까 독일군보다는 아무튼(?) 더 강했다.
현실은
일본 육군이 이오지마 전투에서 땅굴요새를 이용해 소모전을 펼치며 미군에게 막대한 피해를 준 것은 어디까지나 '의외의' 선전일 뿐 전황 자체에 큰 영향은 없었고,
일본 본토 상륙을 위한 발판으로 좁은 섬 지역을 점령하려는 미군에게 지속적인 피해를 주며 사기를 떨어뜨리기엔 적합했지만
대규모로 상륙해 진격하는 미군을 게릴라전으로 막는다는 것은 불가능함.
-------
기사 본문
[동포투데이] 1944년 6월의 노르망디 전역은 제2차 세계대전 중의 일장 결정적인 의의가 있는 중대한 전역이었으며 영미동맹군이 상륙작전에서 성공하여 제 2의 전장을 개척한 전역이기도 했다.
하다면 당시 가령 노르망디 해변을 지킨 군대가 일본군이었다면 상황은 과연 어떻게 되었을까?
이 전역에서 영미동맹군은 도합 288만 명의 군대, 1200척의 작전함정, 4126척의 상륙함정, 5000척의 운수선과 1만 3700대의 비행기를 투입, 80킬로미터에 달하는 길이의 5개 상륙 지점에서 제1진으로 상륙한 부대는 5개 사의 약 13만 명이었고 상륙지점 후방 즉 독일군 점령지에 공중 낙하된 3개 낙하산병 사는 약 3만 5000명이었다.
한편 당시 노르망디 해안지역을 수비하는 독일군은 352 보병사와 716 해안방어사 그리고 약 16킬로미터 거리에 있는 캉 지역의 제21 기갑사 이렇게 3개 사의 병력을 다 합쳐도 5만 명이 채 되지 않았다. 또한 동맹군이 진짜 상륙하던 80킬로미터 해변 정면에 있는 독일군은 352 보병사와 716 해안방어 사의 6개 영 19개 소대로 3000명(이 중 6분의 1은 소련군 포로로 구성된 <동방영>이었음)도 되지 않았고 대포와 반 탱크 포 88문, 평균 매 1킬로미터에 배치된 병력은 40명 정도였으며 매 1킬로미터마다 대포 1문씩 배치된 셈이었다.
당시 독일군 716 해안방어사는 기동차량이 배비되지 않은 <고정사>로서 기동능력이 전혀 없었고 중무기도 아주 적었으며 전투력도 아주 약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많은 서적과 자료들에서는 제 352 보병사를 놓고 독일군의 최정예 부대라고 했지만 기실 이는 2차 대전 시기 독일군에 대한 요해가 흐리멍텅한 것으로 이런 설법은 자연히 웃음거리라는 설도 있다. 왜냐하면 부대번호가 100번 이내이고 아울러 1939년 제 2차 대전의 폭발 전에 창설된 부대가 진정한 최정예였으며 진짜 독일군의 정예부대는 모두 기갑사 혹은 기계화 보병사였다. 일반적인 보병사 즉 352 보병사 같은 부대는 아무리 높게 평가해도 2류 수준의 부대로밖에 될 수 없었다고 한다.
제 352 보병사는 1943년 9월, 프랑스 생로에서 창건, 병력 내원을 보면 소수의 골간 군인들이 동부전선의 전장에서 온 노병이었고 절반 좌우는 모두 갓 입대한 20대의 신병이었으며 거의 3분의 1 가량은 동부전선에서 붙잡힌 소련군 포로로 구성된 이른바 <동방영>이었다. 바로 독일군들이 소련군 포로 중의 소수민족 군인을 집결시킨 것으로 여기에는 우크라이나인, 벨라루스인, 그루지아인과 카타르인, 심지어 소수의 조선인도 있었다. 이들 조선인들은 일찍 일본군이었다가 중소 변경지대인 노먼행에서 소련군의 포로가 되었고 독소전쟁이 폭발하자 소련군에 보충되었다가 다시 독일군에 포로가 되는 등 곡절적인 경력자들로서 후에 재차 독일군으로 되는 해프닝으로 조직된 부대였기에 이들의 전투력이란 보지 않아도 상상할 수 있을 정도였다.
352 보병사는 병력이 도합 1.3만 명으로 기실 이 사단은 정예부대에 속하지 못하는 부대라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당시 동맹군이 오마하 해변에서 상망한 인수가 전반 상륙한 5개 해변 중 가장 많았다. 사망 약 1500명, 부상 2800명으로 오마하 해변에서의 상망인수가 전체 5개 상륙해안 상망자의 80%를 차지했다. 바로 이것으로 오마하를 수비하던 352 사단이 갑자기 <정예사단>으로 둔갑할 수 있었던 것이다.
실제로 독일군에서 정예사단이라 하면 제21 사단을 꼽을 수 있다. 이 사단은 룸멜의 아프리카군의 제1번 주력이었다. 하지만 당년의 아프리카 왕패군은 기본상 소실되었고 1943년 6월, 프랑스 북으로부터 철거해온 소수의 부대와 귀국해 치료받던 부상병들을 조직해 재건, 노르망디에 올 때 탱크는 거개가 구식으로 된 것으로 대부분은 III호 탱크였고 가장 선진적인 것이래야 IV호 탱크 조기의 G형이었다. 그리고 돌격포 여기 10문의 II호 G형의 돌격포와 몇 대의 <족제비>호 탱크 저격 차였고 자주포는 III호 탱크 밑바닥을 개조한 105밀리 유탄포와 <황소>호 150밀리 자주포였으며 아프리카 시기의 21 기갑사단은 이미 <넘어간 태양인 격>이었다.
동맹군이 상륙하던 날, 제21사단 역시 반격을 조직한 건 사실이었다. 그러나 투입된 장비와 인수는 50대의 탱크와 1개의 기계화 영뿐으로 동맹군의 공격에 의해 순식간에 와해되었다. 하긴 소수의 부대가 해변까지 반격하여 5킬로미터에 달하는 돌파구를 개척했으나 후근보급이 단절되어 철거하는 수밖에 없었다.
이 날 동맹군은 5개의 상륙 해변에서 모두 성공, 해안에 오른 병력은 13.6만 명이었고 상망자는 6000명뿐이었다.
rtrt.png
그럼 노르망디 해변을 일본군이 수비했더라면 과연 어떤 결과가 나왔을까?
제 2 차 세계대전 중 일본 육군의 방어 작전능력이 출중했다는 건 누구나 다 공인하는 바이다.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군은 미군의 해 공 군 폭격과 포격의 위력을 잘 알고 있는지라 이들이 구축한 방어공사는 견고할 뿐만 아니라 아주 은폐적인 것이어서 어떤 요새는 전문 미군이 지나간 다음 뒤통수를 후려갈기는 역할을 하기도 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노르망디의 독일군 방어공사는 그 자체가 대서양에서의 독일군 요새 중 가장 박약한 고리였다. 만약 당시 일본군이 노르망디 해변을 수비했더라면 그들은 그 방어요새를 기필코 강화했을 것이 불보듯 뻔했다.
태평양 전장에서 매번 상륙작전을 펼치기 전야마다 미군은 우선 해 공 군의 화력을 집중하여 목표 섬도를 며칠, 심지어 10여일씩 불바다로 만들 군 했다. 당시 미군은 남태평양의 쾌잘린 섬을 공략한 후 전문 일본군 방어공사를 가상으로 한 함포사격 시험을 진행, 시험결과 반드시 203밀리 이상의 대구경 포로 정조준 해야만 일본군 은폐요새를 날려 보낼 수가 있었다.
하지만 노르망디에서의 동맹군의 해 공 군 포격과 폭격은 몇 시간에 그쳤는 바 이는 근본 태평양 전장과는 비길 수도 있었다. 만약 태평양 전장에서의 미군 폭격과 포격이 노르망디에서의 동맹군의 규모였다면 일본군의 방어시설이 적어도 80%는 보존될 수 있었을 것이며 그렇다면 미군의 상륙부대는 일본군한테 더욱 골탕을 먹었을 수도 있었을 것이다.
다음, 방어 전술상 독일군은 해변을 고수하느냐 아니면 포기하느냐를 두고 논쟁이 심했다고 하며 최종 절충방안으로 해변을 방어하되 부분적 병력을 근처의 종심지대에 배치하여 반격을 조직하기로 결정하였다. 하지만 독일군은 이 두 가지가 다 실패하고 말았다.
하지만 일본군은 달랐다. 일본군은 전쟁 중에서 전쟁을 배웠다. 이들은 절대적으로 우세한 미군의 화력 앞에서 아예 해변을 포기하고는 지하 갱도공사를 대대적으로 구축했으며 방어의 중점을 섬도의 종심에 두어 미군의 함포 포환이 근본 일본군 진지에까지 와 닿을 수 없도록 하였다.
이런 시각으로 놓고 말하면 당시 노르망디에서의 룸멜과 룬데슈타이트가 우려한 것은 기갑부대를 종심에 배치했다가 적시적으로 해변에 다닿을 수 없을가봐서였고 또한 장갑부대의 위치가 동맹군 함포의 사정거리 내에 들기라도 할까봐서였다. 그 우려는 적중한 것이었다. 전장에서 독일군의 가장 예리한 장비였던 기갑부대는 동맹군의 폭풍우와도 같은 화력 앞에서 집중된 위력을 발휘할 수 없었으며 일방적으로 얻어맞기만 하는 신세가 되었다. 독일군 역시 일본군처럼 기갑부대를 종심의 먼 곳에 배치하고 아울러 그 기갑부대를 소규모로 여러 갈래로 나뉘어 보병들의 돌파구를 열어주는 역할을 시키면서 방어의 받침역량 및 소규모 반격의 중견으로 돼 줬더라면 그토록 비참하지는 않았을 것이었다. 이로부터 보아 일본군은 방어전술에 있어서 독일군에 비해 보다 실제적이었고 경험도 많았다. 필경 일본군과 미군은 태평양 전장에서 3년간에 거친 공방전을 해왔던 군대였으니 말이다. 이에 비해 독일군은 아프리카 북부에서 미군과 딱 한번 소규모의 전쟁을 해봤으니 경험상 일본군에 비해 뒤지기 마련이었다.
이 외 언급할 것은 전투의지에서도 일본군은 독일군에 비해 더욱 완강했다. 더 정확하게 말해 노르망디를 방어하던 독일군에 비해서는 훨씬 더 완강했다. 왜냐하면 노르망디 해변을 방어하던 독일군 3개 사단은 모두 국방군으로 또 재건된 사단 혹은 새로 건립된 사단이었으며 특히 많은 소련군 포로로 구성되었던 <동방영>은 더욱 전투의지가 자연적으로 높을 수가 없었다. 그러나 만약 독일군 중의 <완고파>였던 당위 군이였다면 상황이 크게 달라질 수 있었다.
제 2 차 세계대전 후기 전투에 투입되었던 당위군 제12 <히틀러 청년단> 사단은 대다수가 소년병이었지만 사상 상 매우 완고했고 전투의지도 완강했으며 여기서 영국군은 자주 골탕을 먹군 했었다. 하다면 일본군의 완강한 전투의지를 놓고 보아 당위군에 비해 조금도 차질이 없었다고 한다. 또한 노르망디에 상륙하던 미군은 거개가 육군이었다. 해군은 소수의 해변폭파 대대뿐이었고 해군육전대는 없었다. 당시의 미군 부대 중 육군과 해군은 모두 의무병이었고 오직 해군 육전대만이 청일색으로 지원병으로 모두 자기가 자원해서 군 입대를 한 진정한 군인들이었다. 아울러 육전대는 훈련마저도 진짜 전투처럼 진행하는 전투력이 강한 부대였으며 육전대의 전투력이 일반 육군 수준을 크게 능가한다는 것은 모두가 공인하고 있던 바였다. 태평양 전장에서 거의 모든 가열하고 힘든 전쟁은 모두가 육전대가 맡았으며 육군은 기본적으로 보조전투를 치르는데 그치었다. 가령 태평양 전장에서 이런 가열하고 힘든 전투를 미 육군이 맡았더라면 아마도 시간이 더 길었을 것이고 상망도 엄청 더 컸을 것은 불보듯 번연했다. 또한 반대로 노르망디에서 독일군 대신 일본군이 지켰더라면 동맹군 육군은 절대적으로 큰 고전을 면치 못했을 것이었다.
재삼 언급하지만 만약 노르망디의 수비군이 일본군이었더라면 긍정코 방어공사가 더욱 공고했을 것이고 전술도 더욱 합리했을 것이며 전투력도 비할 바 없이 완강했을 것이었다. 그리고 동일하게 일본군 역시 2개의 보병사단과 1개의 기갑사단이라고 할 때 상륙 첫 날은 동맹군이 비교적 순리로웠을 것이지만 그 이튿날부터는 긍정코 애로가 첩첩할 것으로 종심으로 들어갈수록 진격속도가 늦어짐과 동시에 상망자도 더욱 많아질 가능성이 컸다.
그 실례를 들자면 태평양의 섬도에 대한 상륙전들을 보면 면적과 종심이 작고 후방 보급이 거의 없는 등 불리한 요소가 많았으나 일본군은 미군으로 하여금 얼굴색이 굳어지면서 혀를 내 돌리도록 했다. 하다면 노르망디 이런 대륙을 끼고 있는 해안을 일본군이 지켰다면 종심이 더욱 크고 후방보급도 원활하기에 동맹군의 상망은 기하급수로 커질 수밖에 없다는 결론이 나온다.
<편역 : 철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