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조선의 비운의 천재 여류작가 허난설헌
게시물ID : history_28806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식충식물
추천 : 14
조회수 : 2191회
댓글수 : 28개
등록시간 : 2017/09/05 23:37:01
다들 아시겠지만, 성리학의 나라였던 조선에서 여성들의 위치는 매우 낮았습니다. 그러다보니 조선시대에서 알려진 여성은 당시 기녀로 유명한 황진이나 화가라기 보다는 현모양처로 더 주목받은 신사임당 정도입니다. 이들은 모두 여성만이 해야된다고 믿었던 당시의 성역할이었죠.
 
그러나 당시 사대부의 여인으로서 자신의 작품으로 이름을 남긴 한 여성이 있었는데 그녀가 바로 허난설헌으로 더 잘 알려진 '허초희' 입니다.
허난설헌 초상.jpg
 
허난설헌은 조선중기 명종 후기인 1563년 강원도 강릉에서 허엽의 딸로 태어났습니다. 허엽은 동인이었지만 훗날 실학을 만들어낸 북인계에 가까운 인물이었기에 보수적인 다른 사대부가문과는 다르게 딸인 허난설헌에게도 관대하게 대한거 같습니다. 그래서 허엽은 허난설헌에게도 아들들과 똑같은 교육의 기회를 제공했다고 합니다.  참고로 허엽과 자식들은 모두 문장이 뛰어나 당대 사람들은 허써 5문장이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허성, 허봉이 그녀의 오빠이며 홍길동전을 쓴 허균이 그녀의 남동생이라고 합니다.
 
한편 이렇게 허난설헌과 같이 교육을 받다보니 그녀의 오빠인 허봉은 허난설헌의 천재성을 알아봤습니다. 그래서 그는 자신의 친구이자 뛰어난 문학가지만 서자로 태어나 관직의 길이 막힌 이달에게 교육을 부탁했고 이는 허난설헌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고 합니다.
 
그러다가 허난설헌의 천재성이 드러나는 하나의 사건이 있었습니다. 바로 8살에 '광한전백옥루상량문'이라는 산문을 지어 온 사람들을 놀라게 했습니다. 이 산문의 내용은 신선 세계의 상상의 궁궐인 광한전 백옥루의 상량식에 자신이 초대받은 것을 상상하여 그린내용입니다. 그런데 8살의 여자아이가 썼다고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깊은 신선에 대한 이해와 풍부함 상상력으로 그려난 이상향에 대해 당대 사람들은 감탄을 금치 못했다고 합니다.
상량.jpg
 
그러나 엄격한 성리학의 나라였던 조선에서 여성에게 내려진 천재적인 문재는 오히려 저주였습니다. 그녀의 불행은 결혼에서부터 시작됩니다. 15세에 안동김씨였던 김성립과 결혼합니다. 김성립의 가문인 안동김씨는 매우 보수적이었다고 합니다. 그러다보니 글도 모르는 여자가 태반이었던 당시 시를 쓰는 허난설헌을 시어머니가 달가워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래서 허난설헌과 시어머니의 갈등은 극에 달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녀의 남편인 김성립은 천재라고 일컬어진 자신의 아내를 버거워하여 가정을 등한시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허난설헌의 대표작인 '규원가'가 바로 당시의 심정을 그린 가사라고 합니다.
 
'엊그제 젊었더니 어찌 벌써 이렇게 다 늙어 버렸는가? 어릴 적 즐겁게 지내던 일을 생각하니 말 해도 부질없다. 부모님이 낳아 기르며 몹시 고생하여 이 내 몸 길러낼 때, 높은 벼슬아치의 배필을 바라지 못할지라도 군자의 좋은 짝이 되기를 바랐더니, 전생에 지은 원망스러운 업보요, 부부의 인연으로 장안의 호탕하면서도 경박한 사람을 꿈같이 만나, 시집간 뒤에 남편 시중하면서 조심하기를 마치 살얼음 디디는 듯 하였다. 열다섯 열여섯 살을 겨우 지나 타고난 아름다운 모습 저절로 나타나니, 이 얼굴 이 태도로 평생을 약속하였더니, 세월이 빨리 지나고 조물주마저 다 시기하여 봄바람, 가을 물, 곹 세월이 빨리 지나가 꽃같이 아름다운 얼굴 어디 두고 모습이 밉게도 되었구나. 내 얼굴을 내가 보고 알거니와 어느 임이 나를 사랑할 것인가? 스스로 부끄러워하니 누구를 원망할 것인가?  -규원가 中-'

저 시를 쓸 당시가 20대 초중반이라고 하는데 다 늙었다라는 표현을 쓸 정도면 얼마나 허난설헌이 지쳐있는 상태인가를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녀의 불행은 그것이 끝이 아니였습니다. 아버지와 오빠들이 연달아서 객사를 당하고 설상가상으로 두 명의 아이를 병으로 잃고, 임신하고 있던 아이마저 유산하고 맙니다. 그녀는 이때의 심정을 '곡자'라는 시로 표현하였습니다
 
지난해 사랑하는 딸 여의고
올해는 사랑하는 아들 잃었네
슬프디 슬픈 광릉 땅이여
두 무덤이 마주보고 있구나
백양나무에 소슬한 바람 불고
도깨비불은 무덤가 나무 밝히네
종이돈 살라 너희 혼을 부르고
정화수를 올려 제사를 지낸다
너희 넋은 응당 오누이임을 알지니
밤마다 서로 어울려 놀겠지
비록 뱃속에 아기가 있다 한들
어찌 잘 크기를 바랄 수 있으리오
부질없이 황대사를 읊조리고
피눈물 흘리며 소리 죽여 슬퍼한다
                              -곡자-
 
여성의 재능을 인정해주지 않는 사회와 시어머니와의 갈등, 무능한 남편, 몰락하는 친정 거기에 아이들의 죽음까지 경험하며 받은 극심한 스트레스로 허난설헌은 자신의 죽음을 직감하고는 '몽유광상산'이라는 시를 씁니다.
 
푸른 바닷물이 구슬 바다에 스며들고
푸른 난새는 채색 난새에게 기대었구나.
부용꽃 스물 일곱 송이가 붉게 떨어지니
달빛 서리 위에서 차갑기만 해라

                                         -몽유광상산-
 
그리고 얼마 뒤, 그 직감은 사실이 되어 27세의 나이로 한 많은 인생을 마감합니다. 그리고 그녀는 죽을 때 자신의 동생인 허균에게 자신의 모든 작품을 다 태워달라고 부탁합니다. 그러나 누나의 뛰어난 작품이 그대로 묻히는걸 안타까워한 허균은 그녀의 시를 모아 시집을 만들었고, 이후 1606년 명나라 사신들에게 허균이 그 시를 전해주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들은 이 시를 '난설헌집'으로 명나라에서 간행되어 중국에서도 극찬을 받았습니다. 18세기에는 분다이야 지로에 의해 일본에서도 간행되어 많은 사람들을 심금을 울렸다고 합니다. 그리고 훗날 정조 또한 감탄을 금치 못했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허난설헌 작품 중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작품하나만 소개하고 끝내겠습니다.
 
하늘거리는 창가의 난초 가지와 잎 그리도 향그럽더니
가을 바람 잎새에 한번 스치고 가자 슬프게도 찬 서리에 다 시들었네
 빼어난 그 모습은 이울어져도 맑은 향기만은 끝내 죽지 않아
그 모습 보면서 내 마음이 아파져 눈물이 흘러 옷소매를 적시네. 
                                                                  -감우-
'감우'란 느낀대로 노래한다는 뜻으로 난초를 보면 지은 시라고 합니다. 난초처럼 살다가 스러진 그녀를 어쩌면 가장 잘 표현한 시라고도 할 수 있겠네요.
 
"나에게는 세가지 한이 있습니다. 첫째는 여자로 태어난 것이고, 둘째는 조선에서 태어난 것이고, 셋째는 김성립의 아내가 된 것입니다" 오늘 천재적인 재능을 가지고 태어났지만 시대를 잘못타고나 채 피우기도 전에 꺾여버린 허난설헌의 애잔한 삶에 대한 책을 봐서 삘받아서 한번 써봣습니다. 
 
 
오류나 보충할거 있으면 언제든 지적 부탁드립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