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이곡 차마설
게시물ID : history_24341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개똥삼개
추천 : 0
조회수 : 1190회
댓글수 : 1개
등록시간 : 2015/12/01 02:55:58
옵션
  • 펌글
  • 본인삭제금지
내가 집이 가난해서 말이 없으므로 혹 빌려서 타는데, 여위고 둔하여 걸음이 느린 말이면 비록 급한 일이 있어도 감히 채찍질을 가하지 못하고 조심조심하여 곧 넘어질 것같이 여기다가, 개울이나 구렁을 만나면 내려서 걸어가므로 후회하는 일이 적었다. 발이 높고 귀가 날카로운 준마로서 잘 달리는 말에 올라타면 의기양양하게 마음대로 채찍질하여 고삐를 놓으면 언덕과 골짜기가 평지처럼 보이니 심히 장쾌하였다. 그러나 어떤 때에는 위태로워서 떨어지는 근심을 면치 못하였다.
 아! 사람의 마음이 옮겨지고 바뀌는 것이 이와 같을까? 남의 물건을 빌려서 하루 아침 소용에 대비하는 것도 이와 같거든, 하물며 참으로 자기가 가지고 있는 것이랴.
 그러나 사람이 가지고 있는 것이 어느 것이나 빌리지 아니한 것이 없다. 임금은 백성으로부터 힘을 빌려서 높고 부귀한 자리를 가졌고, 신하는 임금으로부터 권세를 빌려 은총과 귀함을 누리며, 아들을 아비로부터, 지어미는 지아비로부터, 비복(婢僕)은 상전으로부터 힘과 권세를 빌려서 가지고 있다.
 그 빌린 바가 또한 깊고 많아서 대개는 자기 소유로 하고 끝내 반성할 줄 모르고 있으니, 어찌 미혹(迷惑)한 일이 아니겠는가?
 그러다가도 혹 잠깐 사이에 그 빌린 것이 도로 돌아가게 되면, 만방(萬邦)의 임금도 외톨이가 되고, 백승(百乘)을 가졌던 집도 외로운 신하가 되니, 하물며 그보다 더 미약한 자야 말할 것이 있겠는가?
 맹자가 일컫기를 "남의 것을 오랫동안 빌려 쓰고 있으면서 돌려 주지 아니하면, 어찌 그것이 자기의 소유가 아닌 줄 알겠는가?" 하였다.
 내가 여기에 느낀 바가 있어서 차마설을 지어 그 뜻을 넓히노라.
 
 余(여)는 家貧無馬(가빈무마)하여 或借以乘之(혹차이승지)한데 得駑且 者(득노차유자)면 事雖急(사수급)이라도 不敢加策(불감가책)하고 兢兢然(긍긍연)하여 若將蹶 (약장궐질)하다가 値溝塹(치구참)이면 則下(즉하)라. 故鮮有悔(고선유회)하나 得蹄高耳銳駿且 者(득제고이예준차사자)면 陽陽然(양양연)하여 肆志着鞭(자지착편)하여 縱 (종피)면 平時稜谷(평시능곡)하니 甚可快也(심가쾌야)라. 然(연)이나 或未免危墮之患(혹미면위추지환)이라. 噫(희)라, 人情之移易(인정지이역)이 一至此邪(일지차사)아. 借物以備一朝之用(차물이비일조지용)이 尙猶如此(상유여차)어든 況其眞有者乎(황기진유자호)아. 然(연)이나 人之所有(인지소유)가 孰爲不借者(숙위불차자)리오. 君(군)은 借力於民而尊富(차력어민이존부)하고 臣(신)은 借勢於君(차세어군)하여 而寵貴(이총귀)라. 子之於父(자지어부)하고 婦之於夫(부지어부)하며 婢僕之於主(비복지어주)라 其所借亦深且多(기소차역심차다)하여 率以爲己有(솔이위기유)하고 而終莫之省(이종막지성)하니 豈非惑也(기비혹야)리오. 苟或須臾之頃(구혹수유지경)이라도 還其所借(환기소차)면 則萬邦之君(만방지군)이라도 爲獨夫(위독부)요 百乘之家(백승지가)라도 爲孤臣(위고신)이리니 況微者邪(황미자사)아. 孟子曰(맹자왈), 久假而不歸(구가이불귀)하면 惡知其非有也(오지기비유야)인저. 余(여)가 於此有感焉(어차유감언)이라 作借馬說(작차마설)하여 以廣其意云(이광기의운)이라.
--------------------------------
뭔 말인가 했더니 기십년만에 좀 알겠네요. 참 허허
가정집 (稼亭集
출처 어디선가 누구에 무슨일이 생기면~~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