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media.daum.net/politics/assembly/newsview?newsid=20120705030808284&RIGHT_COMMENT_TOT=R8 대선 출마 선언이 임박한 박근혜 전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60·얼굴)이 정수장학회 문제를 털고 가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박 전 위원장 측은 정수장학회의 전신인 부일장학회를 설립한 고(故) 김지태씨 유족과 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친박(근혜)계 의원은 4일 "정수장학회 문제는 반드시 해결하고 간다"고 밝혔다. 박 전 위원장 대선 경선 캠프의 핵심 관계자 역시 "대선에서 걸림돌이 된다면 당연히 해결하고 가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 여의도 대하빌딩에 위치한 공식캠프 외에 별도의 사무실을 두고 있는 '네거티브' 대응팀에서 정수장학회 문제를 다루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 전 위원장은 경제민주화를 전면에 내세우는 등 대선 의제 선점에 나서고 있다. 반면 박정희 전 대통령의 딸이라는 운명이 만들어낸 과거는 여전히 추궁의 대상이다.
그 중심에 정수장학회라는 아킬레스건이 놓여 있다. 한 친박 관계자는 "경제민주화라는 진보적 이슈까지 주도하는 박 전 위원장이 정수장학회까지 어떤 식으로든지 해결해내면 야당에서는 아마 비난할 게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때문에 박 전 위원장 측 인사들은 지난 4월 총선 전 부산일보 노조 파업 사태로 불거진 정수장학회 논란의 불똥이 박 전 위원장에게 튀자 최필립 현 정수장학회 이사장을 찾아가 용퇴를 요구했다.
박 전 대통령의 의전·공보비서관 출신인 최 이사장은 거부했다. 박 전 위원장 측 인사는 "최 이사장이 그만두면 참 좋은데, 무슨 노파심이 그리 많은지…"라며 안타까워했다.
박 전 위원장 측은 법적으로 정수장학회와 연결고리가 없는 만큼 '정치적' 해결책을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친박계 의원은 "정치적 방법을 찾을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정수장학회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그 뿌리부터 따져가야 한다. 정수장학회의 전신은 부산지역 기업인인 고 김지태씨가 설립한 부일장학회다. 김씨는 5·16 쿠데타 직후인 1962년 국가재건최고회의에 이를 '헌납'했다. 당시 부일장학회는 부산일보·부산문화방송·한국문화방송 주식을 보유하고 있었다. 이후 부일장학회는 5·16장학회라는 이름을 거쳐 1982년 박 전 대통령과 부인 육영수 여사 이름에서 한 자씩 따와 정수장학회로 변경됐다. 박 전 위원장은 1995~2005년 장학회 이사장을 역임했다.
2004년 '국가정보원 과거사건 진실규명을 통한 발전위원회'와 2006년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는 잇따라 "중앙정보부 관계자 등이 김지태씨에게서 재산을 헌납받은 것은 국가의 강압에 의한 행위였다"고 결론 내렸다.
김씨 유족은 정수장학회와 국가를 상대로 "불법으로 강탈한 장학회 주식을 돌려달라"며 주식양도 청구 소송을 제기했지만 지난 2월 1심에서 기각됐다. 법원은 강압성은 인정되나 당시 의사 결정권을 완전히 박탈당한 상태였다고 판단하기 어렵다고 봤다. 또 김씨 측이 주식 증여를 취소할 수 있는 권한이 있었지만 법률이 정한 행사 기한을 넘었다고 판단했다. 김씨 유족은 항소했지만 판결을 뒤집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이 같은 상황에서 박 전 위원장이 선택할 수 있는 길은 김씨 유족과의 협상이다. 김씨 유족 측은 경향신문과의 통화에서 "박 전 위원장 측에서 간접적으로 (연락이) 있다"면서 "(내용은) 말할 수 없다"고 밝혔다.
김씨 유족이 요구하는 것은 '명예회복'이다. 이들은 "소유권을 돌려받는 게 목적이 아니다"라며 장학회 이름 변경과 이사진 재구성을 요구했다. 박 전 위원장 측이 최필립 이사장 및 유족과의 협상을 통해 장학회 명칭을 변경하거나 장학회 이사진에 김씨 유족을 포함하는 방식의 타협책을 제시할 가능성이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