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보수는 어떻게 지배하는가?? 보수의 수사학의 3가지 명제
게시물ID : sisa_127997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바보공화국6★
추천 : 1
조회수 : 514회
댓글수 : 2개
등록시간 : 2011/10/31 18:48:23
- 지난 200년동안 보수가 지배해온 3가지 수사학 -
1 . 역효과 명제 : 어떤 상황을 개선하려는 시도는 오히려 정반대의 결과를 낳는다.
첫째는 ‘사회를 개선하려는 시도는 외려 반대의 결과를 내게 된다’는 논리다.
가령 ‘자유, 평등, 박애’를 내세웠던 프랑스 혁명은 결국 공포정치로 귀결되었다.
또 농민이나 노동자들에게 참정권을 줄 경우, 농장주나 공장주가 무식한 그들의 표를 매수함으로써 결국 과두정을 더 강화할 것이다. 나아가 빈민을 돕겠다는
선한 의지에서 도입된 복지제도는 외려 빈자들의 의존성만 강화하여 그들을 영원히 빈곤에 잡아두게 될 것이다.
ex)
무상급식을 실시해봐야 정작 없는계층에는 도움이 안되고 가진자들이 더 많은 혜택을 보게 된다.
재벌들의 자식들이 학교에서 공짜로 밥을 먹게된다. 왜 중산층도 내는 세금을 가지고 가진자에게 도움을 줘야 하는가?
세금을 많이 걷으면 부자들과 대기업들이 해외로 빠져나가고 그러면 장기적으로 세수가 줄어 서민들에게 고통만 입힌다.
2. 무용명제: 그래봤짜 기존의 체제는 바뀌지 않을것이다.
둘째는 ‘그래봤자 기존 체제는 바뀌지 않을 것’이라는 논리다.
토크빌에 따르면, 프랑스 혁명으로 도입된 긍정적 가치들은 실은 대부분 앙시앙레짐 시절에 이미 존재했다.
한마디로 굳이 혁명을 할 필요는 없었다는 얘기다. 파레토에 따르면, 민주주의 사회에서도 통치는 결국 엘리트가 하게 되어 있고, 조지 스티글러에 따르면
복지제도는 부자와 빈자의 세금으로 결국 정치적으로 제 목소리를 낼 줄 아는 중산층만을 배불리 할 뿐이다. 이런 논법을 허쉬먼은 ‘무용론 명제’라 부른다.
Ex)
전면 무상급식을 해봐야 달라지는건 없다.
그래봐야 가난한 아이들이 부자가 되는것도 아니고 학교에서 밥 한끼 공짜로 준다고 해서 배고픔을 면할수 있는것도 아니다.
아이들은 여전히 굶주리고 가난은 어김없이 대물림된다. 그런 효과없는일에 귀중한 세금을 쓴다는건 낭비된다.
3. 위험명제: 그렇게 하면 자유민주주의가 위험해질 것이다.
보편선거권이 도입됐을 때, 보수주의자들은 다수의 지배가 소수의 기본적 자유, 즉 재산권을 위협할 것이라 주장했다.
복지제도가 도입되자 하이에크 같은 보수주의자들은 복지가 자유와 민주라는 기본가치를 침해할 것이라 주장했다.
복지가 없는 우리에게 익숙한 주장은 그보다 앞서 나온 주장, 즉 복지가 그동안의 눈부신 경제성장을 위험에 빠뜨릴 것이라는 주장일 것이다. 이런 것을 ‘위험 명제’라 부른다.
EX)
전면무상급식이라는 보편적 복지방식을 도입하게 되면 그로인한 부담은 대부분 없는자들이나 중산층에게 돌아가게 되고 더 많은 복지를 요구하는 목소리로 인해 재정적인 부담만 늘어난다.
그 피해는 서민들과 후손들이 짊어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오히려 재정부담을 가중시키고 사회갈등을 조장해 사회전체의 안정적인 발전에 위험을 주게 된다.
결국에는 공산,사회주의 국가 다름 아니게 된다.
댓글 분란 또는 분쟁 때문에
전체 댓글이 블라인드 처리되었습니다.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