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조선군이 무능해서 임진왜란 초기에 밀렸을까
게시물ID : history_18498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alvarez
추천 : 4
조회수 : 3010회
댓글수 : 122개
등록시간 : 2014/10/24 23:23:39
그렇지 않았다는 사실을 선조16년에 있었던 여진족 니탕개의 난에서 찾을 수 있다. 

니탕개의 난은 함경도 북단 경원진과 종성진에서 여진족 족장인 니탕개가 조직한 최대 3만여의 병력과 충돌한 전역이었다.
조선군은 최종적으로 8천여명이었던 걸로 기록에 남아있다. 

조선전기 최대규모의 군사분쟁이었고, 이 전역에서 유명한 신립이 무용을 쌓은바 있다. 

당시 조선기병의 전투력은 막강해서, 인근 여진족이 공포에 떨었을 정도였다.

그러나 만단위의 대규모 군사분쟁을 통해, 조선전기 군사체제(진관제-지역방어)가 이런 규모의 군사분쟁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음을 절감하고, 이후 여러가지의 군제개혁을 추진하게 된다. 여러가지가 있으나 다음과 같은 내용이었다.

1. 궁기병 집단의 체제를 여진족과 같은 중기병 중심으로 변경
2. 부족한 병력의 보강을 위해 천민의 신분상승을 대가로 한 모병체계를 도입 : 서얼과 공사천도 무과 응시 가능해짐
3. 기존의 화포가 기동력이 부족한 점을 보강하기 위해 경량의 승자총통 도입
4. 지역방어 중심의 진관제에서 중앙에서 병력/지휘관을 파송하는 제승방략으로 변경

기록을 봤을때, 당시 조선군의 전투력과 이후 군제개혁은 북방의 여진족에게는 상당한 효과를 발휘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문제는 이 군제개혁이 철저히 여진족대응을 위한 전술과 체계였고, 북방지역을 중심으로 했다는 것이다.

여진족 대응중심의 중기병 체제는 임란때 창보병 중심의 일본군과 접전하면서 막대한 피해를 냈고, 
( 전략게임에서도 잘 나오지만, 창병은 기병킬러 ) 
북방중심의 제승방략도 남방에서는 제대로 효과를 발휘하지 못했다. 
( 함경도와 같은 북방지역에서는 여진의 침략이 잦았기 때문에, 병력의 숙련도나 전투력이 남방의 그것과는 사뭇 달랐다 )

정리하자면, 조선의 군체제가 무능하여 임란초기의 급속한 무너짐이 일어났다기 보다는
북방중심으로 최적화된 군체제가 전혀 다른 전술과 체제를 가진 일본군에 대응해지 못했다는 쪽이 정확하겠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