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금기를 국가가 직접 나서서 처음으로 금기를 깨뜨린 역대 대통령이 노무현 전 대통령..
--------------
다음은 이승만 찬양하는 뉴라이트가 이 보도연맹 사건에 대해 어떻게 바라보는가를 엿볼 수 있는 기사글입니다.
http://media.daum.net/society/others/newsview?newsid=20130611160217499
고등학교 근현대사 교과서가 6.25전쟁을 왜곡·편향된 시각으로 기술하고 있다는 지적이 11일 제기됐다. 이날 국가정상화추진위원회와 자유민주연구학회가 공동 주최한 '6.25 남침 전쟁과 한반도 안보상황 점검' 세미나에서 이주천 원광대 사학과 교수(각주- 이주천氏는 '5.18 북한군 특수부대 침투설'을 꾸준히 제기했던 학자)는 "고등학교 근현대사 6종 교과서 등에서 6.25에 대한 내용이 부실하고 편향적인 시각으로 서술돼 있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특히 빨치산에 대한 중립적 혹은 우호적인 시각이 존재하며, 북한군의 민간인 전시 납북과 연행 과정에서의 학살은 양비론적인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다"면서 "반면 국군과 미군에 의한 민간인 학살은 구체적인 사건까지 거론하면서 삽화를 통해 잔혹상을 부각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이 교수는 종북·좌익 세력들에게 왜곡·확대 해석되고 있는 보도연맹·노근리 사건 등에 대해 균형 잡힌 시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교과서들이 이 같은 왜곡·확대된 사건들에 대해 배경 설명이 없이 '학살'이라는 편향적인 기술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보도연맹은 6.25 발발 전, 좌익전향자들을 중심으로 결성된 조직으로 좌익세력에 대한 통제와 회유를 목적으로 한 단체였다. 현재 보도연맹 사건은 보도연맹원들을 무차별로 학살한 사건으로 기록돼있다. 노근리 사건 또한 미군이 남하하는 피난민을 상대로 무차별적인 사격을 가한 사건으로 알려져 있다. 이 교수는 보도연맹 사건에 대해 "전쟁 초기 북한군에 협조하는 보도연맹원들이 있다는 것을 정부가 인지하고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벌어진 비극"이라면서 "당시 정부는 후방 좌익들의 반란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해 자위적 조치로 보도연맹자들을 수색, 처형할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양동안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각주- 양동안氏는 대표적인 이승만 찬양론자)는 "당시 보도연맹원 가운데 상당수가 위장 전향한 인물들이었다"면서 "당시 정부는 위장 전향한 보도연맹원들을 분류해 처리한다는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노근리 사건에 대해선 "당시 미 스미스 부대가 북한군과 싸우다 역부족으로 후퇴하는 상황이었는데, 그 당시 피난민으로 위장한 북한군의 공세가 심각했다"면서 "이 같은 북한군의 침투가 심화되자 미군이 방어선을 지키기 위해 피난민 대열에 어쩔 수 없이 사격을 가한 사건"이라고 설명했다.
양 교수도 "'학살'이라는 것은 죽일 의도를 가지고 하는 행위를 지칭한다"면서 "당시 미군은 노근리 양민들을 죽일 의도가 없었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6.25에 대한 왜곡·편향된 교육을 바로잡기 위해 근현대사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는 교사들을 양성하고 교과서 편수 지침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한국 근현대사를 독점하고 있는 좌경 운동권 학자들이 형성한 카르텔이 정리되고 대한민국을 바로 해석하는 교사와 학자들이 배출돼야 한다"면서 "중고교 교재의 올바른 편수지침을 마련하고, 왜곡된 내용이 있으면 검정 교과서로 인정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
다음은 뉴라이트가 바라보는 보도연맹 사건에 대한 반박 자료 ps - 오제도씨는 반공 사상검사로 보도연맹 입안 추진자였던 자.
---------
http://www.sisapres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14
■ 국민보도연맹(보련) 학살 사건 6·25 발발 직후인 50년 6월28일∼8월31일 수원 이남 지역에서 약 30만명으로 추산되는 민간인들이 보련원이라는 이유로 퇴각하던 경찰과 우익단체에 학살된 사건이다. 보련은 49년 4월5일 결성된 전향자 조직을 일컫는다. 당시 유명한 사상 검사이던 오재도 검사(현재 변호사)가 만든 보련에 가입한 이들은 전국적으로 50만명을 웃돌았다. 오변호사는 보련 결성과 학살이 자행된 경위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보련은 세계 사상사에 유례가 없는 성과로 외국에서도 조사해 갈 정도였다. 그러나 전쟁이 터지면서 보련원들이 적에게 동조할지도 모른다는 우려로 인해 경기도 이남에서 학살이 벌어졌다.”
오씨는 한국전쟁 개전 초기 서울에서 미처 피난 가지 못한 군경과 가족이 의외로 많이 살아 남은 데는 보련원들의 도움이 컸다면서, 수원 이남에서 무차별 학살한 것은 ‘불행한 일’이었다고 말한다. 이북에서도 반동으로 규정된 보련원은 오히려 인민군이 숙청할 대상이었는데도 남한쪽 군경이 심사도 하지 않고 무조건 집단 학살했다는 것이다. 서울과 경기 북부의 보련원만 학살을 모면했을 뿐 전국 각지에서는 약 30만에 달하는 보련원들이 영문도 모른 채 불려가 학살당했다. 30만이라는 숫자는 4·19 직후 전국 각지의 유족들이 국회에 낸 청원 내용에 들어 있다. 오재도씨는 “이제 정부가 보련 가입자들의 억울한 죽음을 공식 확인해 범국가 차원에서 위령제를 올릴 때가 되었다고 본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