옵션 |
|
https://www.bbc.com/news/world-us-canada-64369810
서울의 동네에서 박경석이 휠체어를 타고 갈 수 있는 곳은 많지 않다.
"계단 때문에 극장에 갈 수 없어요. 같은 이유로 편의점이나 새로 오픈한 카페에 갈 수 없어요."
"어딘가에 들어가도 화장실 문제가 있어요. 대부분 못 쓰거든요."
그러나 그가 이웃을 떠나려고 할 때 상황은 더욱 악화됩니다. 경석은 한국의 대중교통은 장애인을 위해 설계되지 않았다고 말합니다.
경석은 1984년 행글라이딩 사고에 연루되어 24세의 나이에 하반신 마비가 되었습니다. 여기서 그는 장애 차별에 반대하는 연대(SADD) 그룹을 이끌고 있습니다.
이제 그가 몇 년 동안 벌여온 싸움이 서울의 지하철 승강장에서 벌어지고 있다.
지난 1년 동안 경석씨와 동료 활동가들은 아침 러시아워에 열차 진입을 막고 주요 노선을 방해하는 시위를 벌였습니다. 그와 같은 많은 활동가들은 노인들이다.
그들은 시스템의 일부에 대한 액세스가 거부되는 것에 지쳤다고 말합니다. 그들은 이동성 제공을 위한 자금이 크게 증가하기를 원하며 주요 요구 사항은 휠체어 사용자가 전체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모든 스테이션에 리프트를 설치하는 것입니다.
표면적으로 충돌은 인프라와 공공 지출에 관한 것이지만 문제는 더 깊습니다. 많은 관찰자들에게 그것은 장애에 대한 한국의 태도를 반영하는 것입니다.
세 살 때 소아마비에 걸린 이후 휠체어를 사용해 온 시위자 이형숙씨는 "통근자들에게 치이고 집까지 따라왔다. 때때로 사람들은 우리에게 소리를 지른다"고 말했다.
"그들은 '그냥 집에 있는 게 어때?'라고 말합니다. 꽤 무서울 수 있지만 일반 시민들이 우리의 상황을 이해할 수 있도록 계속해야 합니다. 이곳에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권리 격차는 엄청납니다."
그러나 통근자들 사이의 동정심은 부족한 듯 보였다.
"왜 그들은 무고한 시민에게 피해를 줍니까?" 병원 예약을 놓친 한 할머니가 물었다. "저는 그들이 하는 일이 잘못되었다고 생각합니다."
또 다른 통근자는 역 주변을 아무렇게나 가리키며 "장애인들이 이미 가지고 있는 이 모든 시설을 보라. 나는 경찰의 의견에 동의한다"고 말했다.
퇴근길에 다른 두 명의 젊은 여성은 항의하는 것은 괜찮지만 다른 사람에게 문제를 일으키는 것은 용납되지 않는다는 데 동의했습니다.
그러나 경석은 자신과 동료 활동가들은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다. "이것이 통근자들에게 답답한 상황이라는 것을 이해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20년 넘게 이렇게 외쳤지만 여전히 같은 권리를 얻지 못하고 있습니다."라고 그는 말합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시위에 대해 "무관용"을 천명했다. 그는 페이스북 글에서 "일반 시민들이 겪는 피해와 불편을 더 이상 간과할 수 없다"고 썼다.
장애가 있는 시위자들은 시장이 사용하는 언어가 그들의 요점을 증명한다고 말합니다. 그들은 "평범한 시민"으로 간주되지 않는다고 말합니다.
모든 스테이션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고 얼마나 빨리 설치하느냐는 협상의 핵심 쟁점 중 하나입니다. 서울메트로에 따르면 현재 시내 275개 역 중 승강기가 없는 역은 19개(7%)에 불과하다. 이는 역의 69%가 접근할 수 없는 런던의 지하철과 비교할 때 유리합니다. 뉴욕에서는 71%입니다.
정부 수치에 따르면 한국의 모빌리티 관련 지출은 올해 두 배 이상 증가했지만 어느 정도의 적절한 증액이 필요한지에 대한 합의에 있어 양측은 여전히 거리가 멀다.
그러나 활동가들은 숫자에 관한 것이 아니라 당국이 취하는 강경 접근 방식이 한국의 장애를 둘러싼 오해를 드러낸다고 말합니다.
"한국의 많은 사람들은 장애인이 복지로 편안하게 산다고 생각합니다. 누군가가 나에게 그들이 대통령보다 더 잘 산다고 말한 적이 있습니다."라고 4세 때 암에서 회복한 후 휠체어를 사용하는 십대 딸 지민을 둔 홍윤희는 말합니다. 낡은.
그녀는 시위가 장애인을 악당으로 만드는 데 사용되는 것을 두려워합니다.
"우리는 사람들, 특히 노인들이 내 딸의 어깨를 두드리며 휠체어 가격과 같은 것을 묻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들은 세금으로 충당되는 한국의 훌륭한 복지 시스템을 딸이 운이 좋았다고 말합니다."
2015년 Yunhui는 장애가 사람을 정의해서는 안 된다는 메시지를 기반으로 하는 소셜 벤처인 Muui를 설립했습니다. Muui의 슬로건: "장애를 섹시하게 만들기".
윤희와 지민은 서울 전역의 접근성을 보여주는 대화형 지도를 만듭니다. 그들은 매우 인기가 있으며 지금까지 수십 개의 역을 포함하는 1,000개 이상의 지도를 만들었습니다.
17살의 지민은 지하철역에서 시위를 벌이는 이들과는 다른 세대지만 그들이 장애에 대한 대화를 강요했다고 인정한다.
"지금 한국 사회에서는 장애인을 충분히 볼 수 없습니다."라고 그녀는 말합니다. "우리의 삶은 항상 집에 갇혀 있습니다. 가고 싶어도 가는 곳을 포기합니다. [하지만] 우리가 존재한다는 것을 세상에 보여주고 싶습니다."
지민은 한국에서 젊은 장애 여성이 된 것에 대해 블로그를 작성하고 글을 쓰고 소셜 미디어에 게시합니다.
지민은 "한국에서 여자가 되는 것도 어렵고, 장애인이 되는 것도 어렵고, 미성년자가 되는 것도 어렵다"고 말했다. "최근에 내가 세 명이라는 걸 깨달았어. 그러면 내가 한국의 최하층이 되는 거지?"
"처음에는 너무 외로웠지만 지금은 그럴 이유가 없다고 생각해요. 이런 일을 하고 사람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으면 미래에 대해 낙관적이게 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