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원전 최후의 보루 발전기, 비상 시 '무용지물' 우려
게시물ID : fukushima_4968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ㅴㅵㅫㅩ
추천 : 0
조회수 : 3273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22/10/07 03:31:24

 

 

스냅1.jpg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는 대지진과 해일로 전원이 끊기면서 시작됐습니다.

이때 '비상 디젤발전기'가 전기를 생산해 원자로를 식혀야 하는데, 

침수로 작동하지 않으면서 원자로가 녹는 대참사가 발생한 겁니다.

비상 디젤발전기는 이처럼 원전 안전의 최후 보루로, 어떤 경우에도 작동해야 합니다.

하지만 현재 가동 중인 국내 원전 27기 가운데 20기의 비상 디젤발전기가 

화재나 소화 설비가 오작동을 일으켰을 경우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스냅2.jpg

 

이산화탄소가 나오게 돼 있는 비상 디젤발전기 구역의 소화설비 때문입니다.

불이 나면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온도는 영하 78.5도

이로 인해 실내 온도는 영하 50도 이하로 뚝 떨어지게 됩니다.

그런데 비상 디젤발전기가 작동할 수 있는 내환경 조건은 영상 10도~50도 사이로 돼 있습니다.

따라서 극저온 상태에서도 발전기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해야 하지만, 관련 시험은 한 번도 없었습니다.

 

스냅3.jpg

 

심지어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는 원전의 안전 규정도 명백하게 위반하도록 설계돼 있습니다.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는 화재가 감지되면 자동 폐쇄장치(송풍기, 방화댐퍼)로 해당 구역을 우선 격리합니다.

이어 그 위치의 밸브를 개방시켜 이산화탄소를 방출해 불을 끄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작동하는 자동폐쇄장치는 원자로 시설 중 안전 등급, 

소화설비는 비안전 등급으로 분류된 설비입니다.

원자로 시설의 안전등급과 등급별 규격에 관한 규정은 

비안전등급 설비는 안전등급 설비와 '연동'되지 않아야 한다고 돼 있습니다.

 

스냅4.jpg

 

이산화탄소 소화설비가 국내 경수로 원전으로 확산한 과정도 명확하지 않습니다.

초기 원전에는 미 원자력규제위원회의 요건에 따라 물을 사용하는 스프링클러 방식이 채택됐습니다.

하지만 이후 국내 주도로 건설한 한빛 3, 4호기부터 소화 설비 방식이 모두 이산화탄소로 바뀌었습니다.

그런데 최근 운영허가 심사에 들어간 신고리 5, 6호기는 안전 문제를 이유로 다시 스프링클러 방식이 선택됐습니다.

 

그런데 아무도 문제를 지적하지 않다가 신고리 5, 6호기에서 다시 물로 바꾼 건 무슨 이유일까요?

이런 문제 제기에 대해 원자력안전위원회는 

극저온 상황에서 비상 디젤발전기의 가동 시험을 한 적은 없다고 시인했습니다.

 

스냅5.jpg

 

비안전설비와 안전 설비의 연동과 관련해서는 '연결'될 수 있다는 규정을 내세웠지만,

단순 연결과 다른 설비를 작동하는 '연동'은 완전히 다른 개념이어서 

엄격히 규정을 지켜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비상 디젤발전기는 2대가 가동 중이어서 문제가 생겨도 대응 가능하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하지만 사고 시에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오작동은 동시에 일어날 수 있고, 

이 경우 모든 비상 디젤발전기는 기능이 상실된 것으로 간주합니다.

원전 안전 관리는 세계 최고라고 자부하던 일본의 교훈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출처 https://youtu.be/WSQS60HHIuM

https://www.ytn.co.kr/_ln/0105_202210070229013716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