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rc="
">
[한겨레]
미야지마 히로시, 나의 한국사 공부
미야지마 히로시 지음/너머북스·2만3000원 “일본 봉건제론은 일본이 러일전쟁에 승리하면서 이른바 세계적 열강의 일원으로 등장했던 시기에 일본과 유럽의 역사적 동질성을 주장하기 위해 ‘발견’된 것으로서, 처음부터 이데올로기적인 성격이 강한 역사인식이었고 일본사 연구의 탈아(脫亞)적인 경향을 보여주는 주장이었다. …일본 봉건제론은 근본적으로 재검토되어야 한다.”
이는 2002년부터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에서 연구와 강의를 해온 일본 역사학자 미야지마 히로시(65·사진) 교수의 주장이다. 미야지마 교수는 교토대에서 일제시기 조선 노동운동, 조선 농촌경제 변동, 토지조사사업 연구로 학위를 받고 도카이대와 도쿄도립대, 도쿄대 동양문화연구소 교수를 거쳐 성균관대로 온 한국사 및 동아시아사 연구(경제사)의 독보적인 권위자다. 그의 주장대로라면, 일본엔 유럽식 봉건제가 존재한 적이 없다. 그럼에도 일본 주류 역사학자들이 그렇게 주장한 건 결국 제국주의 식민사관 논리를 뒷받침하기 위해서였다.
한국·동아시아 경제사 연구 권위자
“유럽 중심 사관을 기준으로 삼아
동아시아 역사 규정하는 것은 잘못” 미야지마 교수는 근대 이전의 일본이 신분제 사회였다는 점에서는 조선·중국과 확실히 달랐다고 본다. 다이묘나 하타모토 같은 상층 무사계급은 장자 가문(이에) 중심으로 통치 지위를 세습했고, 농업·상업·수공업을 가업으로 삼는 이에들도 존재했다. 하지만 조선·중국은 신분제 사회가 아니었다. 중국은 송·명대 이후 중앙집권적 관료체제가 확립된 뒤로 오히려 신분제는 쇠퇴했다. 지배그룹은 과거에 합격한 개인들을 중심으로 형성됐으며, 그들의 지위는 세습되지 않았다. 이를 받아들인 조선도 중국보다는 다소 폐쇄적인 지배 그룹이 형성되긴 했지만 신분제는 쇠퇴했다. 양반은 세습적·고정적 신분이 아니었다. “지배 신분에 속하는 자가 지역주민의 70~80%나 되는 현상은 신분제 국가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이런 사실들을 입증하기 위해 토지소유와 국가체제, 신분제, 지배계층, 가족과 친족 등을 이웃 나라들의 그것과 비교하며 다각적으로 살피는 이 일본인 연구자의 평생을 기울인 노력은 치밀하고 신선하다.
일본에선 왜 신분제가 존재했을까? 가장 큰 원인은 시장경제가 발달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그는 설명한다. 신분제는 사회적 분업이 자동적으로 이뤄지는 시장이 없을 경우 지배층이 이를 강제하기 위한 장치다.
전근대 유럽이 신분제 사회였던 이유도 시장이 발달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10세기께부터 시장이 등장한 중국은 18세기까지, 적어도 16세기까지는 세계에서 가장 선진적인 사회였다. 송나라의 신유학(송학)과 그것을 집대성한 주자학, 주자학이 채점기준이 된 과거제와 실력 위주의 관료등용제 확립, 신분제의 해체, 농업과 상공업의 비약적인 발전과 상품·화폐 경제의 진전이 그것을 대표한다. 그런 상황과 조응하는 사회구조를 미야지마 교수는 ‘소농사회’라고 부른다. 소농사회는 자신의 토지를 소유하거나 다른 사람 땅을 빌리거나 간에 기본적으로 자신과 그 가족의 노동력만으로 독립적인 농업경영을 하는, 소농의 존재가 지배적인 농업사회를 가리킨다. 이는 대토지소유제를 토대로 한 유럽 영주계층의 직영지 경영 방식이나 광범위한 농업노동자들이 존재한 동남·서남아시아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점이다. 이런 독특한 소농사회가 중국에서는 송·명대 이후, 한국·일본에선 각기 양상이 좀 다르긴 하지만 17세기 이후 성립됐다.
이에 비하면 같은 시기의 유럽은 훨씬 후진적인 사회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럽 봉건사회를 기준으로 중국사, 동아시아 역사를 규정하는 것은 큰 잘못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고전고대·중세봉건·근대 부르주아라는 단선적인 유럽적 발전사관을 표준으로 삼는 기존 역사인식이나 시대구분은 잘못됐다는 것이다.
" alt="" src=" "> |
미야지마 교수는 1991년에 자신이 <조선 토지조사사업사의 연구>라는 첫 단행본을 냈을 때 한국 사학계 일부가 일제를 미화했다며 비판한 것도 유럽중심 사관과 연관이 있다고 본다. 조선도 일본처럼 자본주의를 향한 자생적·내재적 발전과정을 거쳐왔는데, 일제가 오히려 이를 망가뜨렸다고 보는 ‘자본주의 맹아론’이 그중의 하나다. 식민지근대화론을 주장하는 뉴라이트 계열 연구자들이 자본주의 맹아론을 비판했고, 미야지마 교수가 그들의 연구에 관심을 보인 것도 그에 대한 오해를 부추긴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동아시아 소농사회가 오히려 유럽보다 앞섰다고 보는 미야지마 교수에게 자본주의 맹아론 등은 유럽중심 사관에의 지나친 함몰이요 견강부회일 수 있다. 그는 그런 관점에서 한국 역사교과서들도 조목조목 비판한다.
내년 2월 정년퇴임을 앞둔 미야지마 교수는 이 서구중심적인 역사인식 패러다임을 뛰어넘어 한국·동아시아에 맞는 새로운 학문방법론을 수립하는 걸 여생의 주요 과제로 삼고 있는 듯하다. 한승동 기자
[email protected]
안녕하세요 일워에서 온 리그룽이라고 합니다.
제가 요즘 미야지마 히로시 선생님의 [나의 한국사 공부]를 정독하고 있는데
17~18세기 조선을 소농사회로 규정하고
그 시기 즈음부터 동아시아적 근대가 시작되었다고 하는 역사적 관점이 상당히 참신하게 느껴졌습니다.
자본주의의 발생과 산업 근대화를 역사 발전과정의 필연으로 보는 식민지근대화론이나 자본주의맹아론과는 다르게
서구 오리엔탈리즘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동아시아적 시점으로 역사를 바라보는 관점도 앞으로 많이 시도되야한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