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옥 1890년 (고종27) ~1923년
●1919년 3월 1일 운동 당시
만세를 외치던 여고생을 베려하는 일본 군경을 저지, 폭행하고 군경의 검을 탈취 자신이 보관 탈취한 검은 독립기년관에 현재 전시중
●1919년 12월 암살단을 조직
●1920년 4월 동료들과 함께 전라도 지역을 돌며 수 명의 친일파를 숙청
●1920년 12월 의열단 가입
●1923년 1월 12일
그 날밤 종로경찰서에 폭탄을 던져 아비규환의 수라장으로 만듬
이 투탄으로 건물의 일부가 파손되고 행인 남자6명 여자1명이 중경상을 입는 등 큰소동이 남
투탄 당시만 하더라도 의거의 주인공이 누구인가에 대해서 일본경찰도 정확히 모르고 있었음
●1923년 1월 17일
12일밤 종로경찰서 폭탄의 출처를 일본경찰이 추적 결국 암살단의 비밀거처가 발각
우에다, 이마세 경부 지휘아래 20여명의 무장경찰에게 비밀거처가 포위당하였다
김상옥 열사는 쌍권총을 들고 총격전을 벌이며 형사부장인 다무라를 사살 이마세 우메다 경부에게 치명상을 입히고 유유히 사라짐
●1923년 1월18일
남산을 거쳐 금호동에 있는 안장사에서 승복과 짚신을 빌려 변장
일본경찰의 경계망을 피해 효제동 이혜수 집에 은신 이후 거사 작전을 펼침
●1923년 1월 22일
최후의 거처가 발각되어 그날 5시반 경기도 경찰 부장 우마노가 총 지휘관이 되고 보안과장 후지모토가 부지휘관이 되어 시내 4대 경찰서에 총 비상령이 내려짐
일본 군경 천여명에게 포위당함 이에도 민가의 지붕을 뛰어다니며 일본 군경 400여명과 3시간 동안 총격전을 벌임 (이때도 쌍권총 사용)
총알이 다 떨어져 가자 남은 한발로 자결하심
시신에는 이미 11발의 총알이 박혀 있는 상태
김상옥(金相玉, 1890년 1월 5일 ~ 1923년 1월 22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다. 다른 이름은 김영진(金永振), 아호는 한지(韓志)이다.
한성부 출생이다. 집안이 가난하여 어렵게 성장했으나, 10대 중반부터 기독교에 입문하고 야학에 다니면서 국산품장려운동을 벌이고 경상북도 풍기군에서 결성된 대한광복단에 참가하는 등 사회 활동을 시작했다.
1919년 3·1 운동 직후부터 본격적으로 항일 운동에 뛰어들어, 반일 비밀 조직인 혁신단을 결성한 뒤 지하 신문 《혁신공보(革新公報)》를 발행해 배포했다. 3·1 운동 당시 만세를 외치던 여고생을 베려하는 일본군경을 저지, 폭행하고 군경의 검을 탈취하여 자신이 보관하였다. 탈취한 검은 독립기념관에 현재 전시 중이다.
다음해에는 풍기 시절부터의 동지인 한훈 ,북로군정서의 김동순과 함께 요인 암살을 위한 조직을 만들어 구체적인 암살 계획까지 세운 것이 드러나 상하이로 망명했으며, 이 곳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김구, 이시영, 신익희, 이동휘, 조소앙 등과 만나 의열단에 가입하였다.
기독교인이었던 김상옥은 1922년 5월 5일 이후 마르크스, 레닌의 사상 등 신사상에 접했으며 한살임 정강 및 선언을 통해 종교를 배경으로한 민족 혁명에서 유물론전 계급 혁명으로 사상이 변화하였다고 추정된다. 1922년 10월 권총 3정과 실탄 800발 및 폭탄 그리고 항일 문서를 휴대하고 서울에 잠입한 뒤 1923년 1월 12일 종로경찰서에 폭탄을 투척하여 일본인 경찰 및 어용신문 매일신보사의 사원 10여 명에게 부상을 입혔다. 당시 종로경찰서가 독립 운동 탄압의 본산으로 악명이 높은 곳이었기 때문이다. 투척 사건 이후 일본 경찰의 추적을 피해 피신하던 중, 사이토 총독이 회의에 참석하러 도쿄에 간다는 소식을 듣고 그를 암살할 목적으로 서울역 주위를 수일간 배회하다가 종로경찰서 무장 경찰 20여 명에게 포위되었다. 그들과 총격전을 벌여 유도사범이자 형사부장인 타무라를 사살하고 경부 20여 명에게 중상을 입혔다. 김상옥은 1월 22일 서울 종로구 효제동에서 1,000여 명의 일본 군경에게 포위당해 민가의 지붕을 뛰어다니며 일본 군경 400여명과 3시간동안 총격전을 벌이다 총알이 다 떨어지자 남은 한발로 자결하였다. 시신에는 11발의 총알이 몸에 박혀있는 상태였다
마지막 은신처는 혁신단 시절의 동지인 이혜수의 집이었는데, 효제동은 그의 생가가 있던 곳이기도 하다. 그가 수많은 일본 경찰의 포위에도 단신으로 여러 시간 동안 버티며 총격전을 벌인 이 사건을 당시 학생이던 서양화가 구본웅이 직접 목격하여, 1930년 시화집 《허둔기》에 스케치와 추모시를 함께 실었다는 일화가 있다.
종로경찰서 사건에 대해서는 김상옥이 결행했다는 설이 정설이나, 오래 준비해 온 사이토 마코토 총독 암살을 앞두고 일어난 일이며 목격자가 없다는 점에서 다른 조직의 소행이라는 이설도 있다
출 처 : http://job.etorrent.co.kr/bbs/board.php?bo_table=humor_new&wr_id=9437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