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여곡절 끝에 출발한 더불어민주당 혁신기구인 정당발전위원회(정발위)가 자발적 권리당원 모임임 '기초위원회'를 구성하는 첫 혁신안(가안)을 내놨지만, 기초위원회에 줄 권한에 대한 최고위원들의 부정적인 기류에 재논의에 들어갔다.
일각에서는 정발위를 놓고 봉합 수순에 들어갔던 갈등이 '기초위원회' 구성으로 되살아날 수 있다는 우려의 시각도 나오고 있다.
정발위는 '정당 동아리' 같은 형식으로 취미나 관심사 등에 공통분모를 가진 당원들이 모여 전국 5천개 이상의 기초위원회를 설립하는 안을 구상하고 있다. 예를 들면 같은 직업을 가진 당원이나 영화를 좋아하는 당원끼리 모여 결속하는 형태가 되는 것이다.
정발위 관계자는 "기존 지역위원회 등에서 소외되거나 적극적으로 활동하지 않았던 당원들의 참여를 유인하기 위한 것이다"며 "당에서 일정한 틀을 마련해주고 그 안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만들어 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발위는 공통의 관심사로 묶인 기초위원회를 통해 당원들의 참여를 높이면 자연스레 당원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상향식 정당 운영을 통해 '풀뿌리 민주주의'가 확보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원문보기:
이 논쟁은 당내 권력구조가 어떻게 꾸려지느냐는 정발위 출범 논쟁의 연장선상입니다.
민주당 정발위 출범 당시 현 당헌당규는 지방선거 관리 권한을 각 시도당 위원회에 분권했는데.
관련 조항들이 시도당 위원회 내부의 견제와 균형은 들어있지 않았다고. 최재성 정발위원장이 문제 삼으면서 논쟁이 시작되었습니다.
시도당 위원회-지역위원회에 대한 당원들의 참여가 부족한건 04 오세훈 선거법이 원내정당을 정당 발전의 목표로 삼으면서 시작된 현상이고.
이제. 이 방향이 틀렸다는 총론은 다들 인정한 상태에서의 진통인 셈입니다.
새로 가입한 민주당원이 아직 지역위원회에 참여하기는 껄끄러운 편이고. 반대로 지역위원회는 아무리 사람들이 와달라고 해도 당원들이 참여하지 않습니다. 반대로 당원들은 참여해서 얻는 이득이나 만족감이 없는데 부른다고 시간들여서 가냐는 반박을 해요.
그러다보니 서로 편한대로 지역위원회가 꾸려지고. 시도당 위원회는 시도당 위원장이 장악하고 지역위원회는 지역위원장이 장악하고. 많은 당원들이 소외됩니다.
기초위원회는 이걸 바꿔보자는 제안입니다. 역시 반론이 생기고 논쟁이 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