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후 신문언론의 권력은 막강했습니다.
정보의 전달이라는 강력한 권력을 지닌 그들은 여론을 주도하며, 제3의 권력이라 통칭될 정도로 막강한 권력을 자랑했습니다.
특히 독재권력과 야합하며, 권력이 원하는 방향석으로 총구를 겨누며 기사를 쏟아냈죠.
대표적인게 조선, 중앙, 동아 를 들수 있습니다. 이들은 권력에 기생하며, 권력에 불리한 기사들은 통제하고,
권력이 의도하는 형태의 기사를 써내려가며, 대중의 여론을 주도하는 막강한 힘을 자랑했습니다.
모든 언론에는 데스크로 통칭되는 이들이 있습니다. 보도국장, 편집국장 등의 직책을 가지고 있는 그들은
기사선택권 및 편집권을 바탕으로 기사의 논조, 방향성을 통제합니다.
이러한 이들에 저항하던 기자들이 나와서 설립된것이 한겨레 입니다.
보수와는 다른 색깔, 진보적인 성향을 기치로 내걸며 설립한 신문사들은 조중동의 여론호도에 대한 대항마 역활을 수행했습니다.
하나부터 열까지 조중동에 비해 아쉬운점이 적지 않지만 진보적인 언론사라는 이름아래 많은 진보적 지지층이
한겨레를 지지했습니다.
확실하게 조중동과는 다른 논조로 지금껏 기사를 써왔으며,
세상에 대한 다르게 바라보는 시각을 제공해온것도 사실입니다.
기존의 언론이 가장 강력했던 이유는 정보의 습득경로가 한정되어 있었고, 그러한 습득경로를 바탕으로 높은 정보력을
자신의 구미맞게 제공하거나 호도하거나 하며 여론을 주도했다는 점을 들수 있습니다.
이른바 게이트키핑이죠.
아무리 좋은 기사라도 데스크의 논조와 맞지 않으면 지면에 실리지 않는 부작용이 속출했습니다.
한겨레는 근본적으로 이러한 부작용에 대항마로 나온 언론입니다.
그런데 시대가 변했습니다.
정보의 바다라는 인터넷은 누구나 쉽고 빠르게 접근할수 있으며, 때로는 억울하고, 때로는 답답하고, 때로는 안타까운 진실
정보들이
무한정으로 흘러다닙니다.
기존의 언론의 데스크가 게이트 키핑을 주관했다면
이제는 받아들이는 주체. 시민이 자체적으로 게이트 키핑을 수행할수 있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지금은 과거와 달리 웬만한 정보는 다 인터넷에 공개되어 있습니다.
당장 국회에 가면 매주 발의되는 법에 대한 내용과, 발의자까지 꼼꼼하게 공개되어 있습니다.
법원에 가면 공판 결과가 공개되어 있습니다.
취사선택의 몫이 데스크가 아니라 개개인에게 돌아가 있다는 점입니다.
특히 인터넷 이용자의 경우 인터넷의 가짜정보에 많이 단련된 상황이며, 지적수준은
월등히 높아진 상황입니다.
이런상황에서 기자의 역활은 과거와 달리 축소될수 밖에 없습니다.
한겨레는 이러한 점을 인정하기 싫어하는 것 같습니다.
거기서 근본적인 문제가 발생합니다.
우매한 대중을 깨우치는 언론인 자신들에게
대항하는 시민들을 이해하지 못하는 겁니다.
시대는 2010년을 넘어 2020년을 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한겨레는 아직도 1990년대에 머물러 있습니다.
아마도 한겨레는 아직도 이해하지 못할겁니다.
시민들의 의식이 성장해서 분명한 의식을 가지고 있으며,
자신의 신념으로 가지고 정보를 찾아 습득하고 받아들이며,
또한 자신의 판단을 관철시키는
행위를 단순히 극성문빠로 치부한다면.
자연스럽게 도태되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