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보고서에서는 5.18민주화운동의 왜곡 방법들이 언급되어 있습니다.(전남대 5.18연구소, 2009: 65~66)
5.18 왜곡담론은 그것의 근거와 출처가 없는 경우와 근거와 출처가 제시되는 경우로 크게 구분된다.
근거와 출처를 밝히지 않을 경우 칼럼 및 논설문 등 개인의 독자적인 의견이나 경험을 피력하는 것이 주를 이룬다. 문제는 서술 속에서 근거와 출처를 밝히고 있는 것들이다. 이 경우 주요한 근거와 출처는 정부기록에서 1980년 당시의 신문, 당시의 사진과 동영상, 이후 서적류와 5.18항쟁 참여자의 증언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이들 자료들은 지난 30년 동안 신군부의 학살과 '광주민주화운동'의 정당성을 밝혀내는 과정에서 정리된 내용들이 대부분이다. '광주항쟁'의 정당성을 밝혀내기 위해 발굴*정리된 자료가, 항쟁을 폄하하는 자료로 전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들은 이들 자료를 전용하면서도 자료의 생산처, 원천자료의 역사적 맥락 등은 밝히지 않고, 자의적 입론에 따라 배치, 재가공하여 자신들의 타당성을 축적하려 하고 있다.
특히, 사진과 영상물의 경우 '이미지'와 '왜곡된 사실'을 연관 지어 서술하면서, 이미지가 만들어지는 과정에 대한 이해와 맥락을 무시하여 자의적으로 배치, 궁극적으로 묘사하고자 하는 '광주사태'의 스토리를 구성하는 증거로 전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응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주목해야 할 것은 이러한 근거 및 출처와 관련된 자료들이 5.18 왜곡담론의 신뢰성과 영향력에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따라서 전남대 5.18연구소의 증언DB와 단편적 사진 등은 앞으로 갈등을 불러일으킬 소지가 있다. 왜냐하면 이들 자료는 현재 생존하는 5.18 피해자, 참여자, 목격자들의 직접적인 구술-채록 작업에 의해 구성된 원천자료이다.따라서 생존하는 5.18 관련자들과 5.18 왜곡담론을 유포시키는 집단 사이의 사회적 갈등이 야기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간접 참여자의 증언'이 이슈화되고 있는데, 증언자들의 출신이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음과 동시에 "~했다는 이야길 전해 들었다", "~을 봤다는 이야길 들었다"는 등 '직접 관련자 및 참여자'로 오인-오해하는 방식으로 불명확한 내용을 조직적으로 구축해 나가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하더라'식의 증언을 생산하는 집단은 '자유북한군인연합'이라고 하여 그 조직적 실체를 드러내고 있어, 문제가 될 소지가 있다. 왜냐하면 이들 증언자들은 대부분 자신들을 '북에서 온' 탈북자라고 하여 증언의 신빙성을 강조하는데, 이를 확인할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자칫 탈북자에 대한 반감, 남한 구성원과 탈북자 사이의 통합을 저해하는 갈등이 생겨날 수도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