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11. 12. EBS 교육대토론 - 게임중독법>
지나치게 감정에 호소하던 여자 패널 이야기는 애초에 무슨 말인지 이해를 못하겠고,
의견 주신 학부모님과 스님은 법률 만능주의에 빠져서 법이 제정되면 모든 것이 해결될 거라 믿고 있는 것 같네요.
법이 가정에 들어갈 때는,
인간의 자유와 권리가 박살날 때입니다.
즉, 가족이 자기 가족에 의해 폭력, 강간, 살인 등의 대상이 될 때가 대표적이지요.
그런데 이 법은 역으로 자유를 반납하는 법을 아이들에게 가르칩니다.
"심사숙고하여 선택한 것에 책임을 진다"라는 자유의 기본원칙을 가르치기 전에,
내가 우리집에서 무엇을 하든, 그것이 사회적으로 악영향을 주지 않는다면 마음대로 할 수 있다는 사생활의 자유를 부정하고,
국가에 의해 관리 대상으로 자라나는 것을 선호하게 합니다.
이렇게도 국가가 자기 자식을 관리하고 규제해주기를 바라는데,
<1984>의 오세아니아가 우리나라에 임하기까지 얼마 남지 않은 것 같습니다.
이제 각 집마다 빅브라더의 용안을 볼 수 있는 텔레스크린만 설치하면 되겠네요!
반대론자에게 "게임 중독을 부정하냐"고 묻기 전에,
이들은
자신들이 지지하는 법이 얼마나 더 큰 문제를 야기하는지부터 돌아봐야 될 텐데요.
중독법의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되었던,
<매출의 일정 부분>을 때어가겠다는 부분도 그다지 지적이 안되었고,
무엇보다 "중독"의 기준에 대해서도 합의는커녕 언급이 되려다가 사회자의 제지 등등으로 토론이 되지 못했네요.
특히 프로그램 진행에도 엄청난 문제가 있었는데,
저는 개인적으로 사회자가 어느 정도 노골적인 편향성을 보여줬다고 생각합니다.
게임중독법 반대측 패널의 말은 수시로 자르거나 짧게 해달라고 요구하는 반면,
찬성측 패널의 발언은 그것이 감정에 호소하고 있더라도 지켜보기만 합니다.
게다가 그러한 발언을 논리적인 것처럼 포장해서 정리를 해주기까지 하더군요.
시청자 의견에서
신원을 명확하게 확인하기 어려운 사람이 "게임 중독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을 도와주는 스님"을 자청하며 나서는데
그 내용이 자신의 "경험"과 "감정"에 치우쳐져 있었습니다.
감정에 호소함은 둘째치더라도, 확인되지 않은 사람의 "경험"을 발언으로 용인하는 건 상당한 문제가 있지 않습니까?
찬성측의 중학생이라는 아이도 사실은 어른이거나 대학 교수일 수도 있죠.
하지만 그렇다고 하더라도 이 학생의 발언은 경험에 나온 발언이 아니라, 논리적이고 자신이 찾아본 -확인이 가능한-자료에 기반해 있었습니다.
이런 부분도 제대로 지적하지 않고 그냥 넘어가고 마지막에 학생에게 장래희망을 물어본 것은,
아무리 좋게 생각해도 학생의 발언 수준을 폄하하려는 시도로 보여집니다.
"학생이면 학생 답게 공부나 해."
이렇게 말하려는 게 사회자의 의도가 아니었나요?
사회자의 마음을 제가 알 수는 없으니까, 확언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저는 이런 느낌을 받았고,
이번 토론이 편향되어 있었다는 느낌을 지우기 어려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