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부동산 가격이 어떻게하여 형성된 것인지,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인지, 2008년부터 최근 부동산 정책까지 설명함
1시간 부터 ...그러니까 근 15년 간의 부동산 역사 강의같은 것입니다.
영끌을 하게 된데는, 영끌한 세대들은 집값이 떨어지는 것을 경험해보지 못한 탓도 있다고....
2008년 (리먼사태가 생긴해)부터
2008년:1기 신도시등 부동산 가격 상승한 곳이 버블세븐인데, 이곳이 30~50프로 하락함
이때 청약률 '0' 단지가 속출, 미분양 기록적으로 증가, 종합건설업체 117개, 전문 건설 업체 248개도산 (전체 건설사 수에 비하면 많은 것은 아님) 각종 규체책 완화에 시장은 무반응
당시, 서울 강남권 집값 하락률 -10% 이상이었고, 하반기에 강북권도 하락세 전환함
투기지역, 투기과열지구 6년만에 해제(강남3구 제외)
총부채 상환비율(DTI)과 주택담보대출비율(LTV)제한 풀고 주택거래 신고제 해제
하지만, 시장은 냉각 상태 그대로 반응 싸늘
아파트 가격 최고점 대비 30%~50%하락
분당과 용인등 반토막 아파트 속출
2009년 상황, 전세계가 돈을 퍼붓고 금리가 낮아지기 시작함
양도세 감면, 미분양 활성화 대책이 나옴
국민 주택 기금을 돌려막기 식으로 운용
2010 주택 가격이 전고점의 80~90프로까지 다시 올라감.
이때 PIGS 사태가 터짐. -다시 금리가 오르면서 우리나라 주택 가격이 폭락을 함
2012부산 저축은행 사태가 터짐. 이는 2005년부터의 대출금이 시장이 죽어 상환이 불가하여 생긴 현상임
2013년 박근혜 정부가 출범하고, 부동산 가격이 살아날 기미가 보이지 않자, 주택 공급 물량을 감축함.
그리고 전세대출 한도를 (전세금 안심대출) 3억까지 확대함-이는 집소유주가 전셋값을 올리는 동기로 작용함.-집값도 같이 오름
이에, 박근혜 정부는 전세대출 한도를 5억까지 확대함.-집값이 또 오름.(이걸 최이 노믹스라고 한다)
2015년 7월22, 가계 부채가 1100조가 되자, 정부는 '가계부채 종합 관리 방안' 발표함.( 이 모든게 전세대출확대하여 생긴 상황)
정부가 임대 사업자 지도를 하는데, 임대사업자에 정부가 대출도 해줌-사람들이 집을 매집하기 시작함.
이에, 집값이 오르기 시작함.
이때 '갭투자'라는 것이 시작됨. 그 결과는 아시는대로....
이후 문재인 정권이 들어섬. 하지만 탄핵을 통해 정권이 들어섰기에 '인수위'가 없음.
전 정권에서 돌아가는 상황을 보고받지 못함. 그리고 실무자들은 계속 기존 정책을 유지해 감. (임대사업자 제도)
그리고 전세계적으로 저금리가 유지됨.
--------------------------------------------------------------------------
그리고 코로나로, 전세계적으로 저금리로 돈을 푼 결과 2020~21년 집값이 최고점을 기록함.
이 이야기를 듣다보니, 박근혜 정부에서부터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부동산 가격을 끌어올린 상황이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결국 이제 거품이 터질 시기가 되었다는 뜻이겠죠. 이런 내용은 텍스트화 해놔야 검색에 잡힙니다.
소득대비 주택가(PIR) 10정도 되어야 정상인데 우리나라는 18 임., 그러니 앞으로 40프로 정도 빠질 거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