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환상괴담의 [공포소설 창작 이렇게 입문해보자] - 1편
게시물ID : panic_87907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환상괴담
추천 : 25
조회수 : 1707회
댓글수 : 14개
등록시간 : 2016/05/18 22:19:19
 안녕하세요? 아마추어 소설가 환상괴담입니다.
'공포소설을 써보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다'고 하시는 모 유저 분의 글을 보면서
제가 2011년부터 '공포'를 주제로 글을 써오며 나름대로 구축한 제 자신의 팁을 모두와 공유하고자 합니다.
수학의정석처럼 들어가는 멘트를 아주 길고 장황하게 써보고 싶지만..
다들 바쁘시죠! 압니다! 그러므로 직구 날리겠습니다.
 
1. 어서 와. '공포'는 처음이지?
 
공포라는 감정은 천 개의 얼굴을 가지고 있습니다.
벌레를 키우는 사람은 벌레가 귀엽다고 하지만 벌레를 무서워하는 사람에겐 공포의 대상이죠.
나에겐 공포인 것이 남에겐 공포가 아닐 수도 있습니다, 말 그대로 천 개의 얼굴을 가진 셈이죠.
 
실체가 있는 것만을 무서워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연쇄살인마, 인신매매, 전쟁, 전염병..
반대로 실체가 없는 것만을 무서워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귀신, 저주, 예언..
어떤 사람은 삐에로를 우스꽝스럽다고 여기지만 삐에로를 쳐다보지도 못 하는 사람도 있어요.
 
천 개의 얼굴은 바로 사람 한 명 한 명 저마다의 마음 속에 있습니다.
한 사람의 마음 안에서 공포는 천 개의 얼굴을 가지고 있어요.
 
그래서 말씀드리는 건데요,
모두를 공포스럽게 만들 순 없습니다.
 
여러 사람이 같이 한 음식을 먹는데 한 사람이 말해요.
" 어우, 짜! "
그러자 다른 사람은 이렇게 말합니다.
" 그래? 내 입에는 싱거운데. "
 
결국 그 음식이 짠 건가요, 아니면 싱거운 건가요,
음식은 그냥 그렇게 생겨먹었을 뿐이고 다른 것은 각자의 입맛이죠.
 
공포도 마찬가지입니다.
누군가는 무서워할 수 있는 일이 누군가에겐 그저 평범한 일상일수도 있어요.
 
그러나 공포라는 천 개의 얼굴을 동시에 마주보고 있는 감정이 하나 있습니다.
그건 '미지'에 대한 공포입니다.
내가 어떻게 할 수 없는, 익숙하지 않은, 잘 모르는,
친하지 않은 모든 것들에 대한 감정입니다.
 
연쇄살인마와 귀신의 공통점, 일상 속에서 익숙하지도 않고 만나본 적도 없지만 왠지 있을 것 같고 만약 있다면 내 편은 아닐 것 같죠?
 
공포라는 감정을 활자로 불러내기란 아주 어렵고 괴로운 일이 될 겁니다.
공포를 부르기 위해선 몰입을 시켜야 하고, 몰입을 시키기 위해선 결국 그 앞에 울려야 하고, 웃겨야 하고,
화나게 만들어야 하고, 짜증나게 만들어야 합니다.
 
어느 정도의 몰입이 없이는 사람이 천 명 죽어나가도 눈 하나 깜빡하기 힘들어요.
오늘 뉴스 보셨나요? 몇 명 죽었나요? 슬펐나요? 슬펐겠죠.
그럼 일주일 전에 뉴스에서 죽은 사람들 때문에 오늘도 슬펐나요? 물론 애도하지만 오늘은 웃으며 살지 않으셨나요?
그런데 몇 년 전에 죽은 내 가까운 사람 떠올려봐요. 그 사람에 대한 감정은 아직까지 남아있을거에요.
잊고 살았는데 아직까지 아파할 마음이 남은 모양이에요.
 
그처럼 작중에서 독자에게 마치 자기 일처럼, 아니면 아주 가까운 곳에서 일어난 일처럼 몰입하게 만들어야 할 겁니다.
 
저는 잘 하냐구요?
어려워요. 아직까지 1%도 깨우치지 못 했어요.
가끔 힘들어요. 노력이 부족해서, 재능이 모자라서, 공포라는 감정을 겨우 안 다고 생각했더니 또 다른 얼굴이 나타나서.
 
그래서 얘기드렸어요.
 
'공포라는 감정을 활자로 불러내기란 아주 어렵고 괴로운 일이 될 겁니다.'
 
'공포라는 감정은 천 개의 얼굴을 가지고 있습니다.'
 
' 모두를 공포스럽게 만들 순 없습니다. '
 
각오가 되셨다면,
쓰세요.
 
2. 클리셰와 친해지기
 
클리셰, 아시나요?
판에 박은 듯한 문구 또는 진부한 표현(요즘 시대에는 장면까지)을 클리셰라고 합니다.
여러분 마음 속에 몇 개 있는데요. 끄집어내볼까요?
 
주인공과 악당이 칼싸움을 챙챙챙, 주인공이 밀리다가 절벽 밑으로 미끄러져요.
간신히 절벽 끝을 붙잡은 채 버티고 있습니다, 근데 악당이 다가옵니다.
그냥 발로 밀어버리면 끝날텐데 벌써 이긴 것 마냥 웃더니 쓸데없는 이야기를 시작합니다.
 
' 죽게 된 소감은 어떠냐? '
 
다른 클리셰도 있죠.
싸우던 중 회심의 일격을 날렸더니 어디 갔는지 안 보여요.
 
' 어디야? ' '어디지? '
' ...위! '
 
네. 하늘에서 내려오고 있죠.
 
이건 어떤가요?
탕, 탕, 탕, 탕ㅡ. 주인공은 도망치는데 그 뒤를 총 쏘며 쫓아오는 악당!
그런데 막상 장애물이 사라지고 주인공이 허허벌판을 달려가는데, 한 발만 더 쏘면 죽을텐데,
찰칵, 찰칵, 뭐야? 네. 총알 다 썼네요.
 
공포 영화에도 클리셰 많죠?
처음에 '세상에 귀신이 어딨냐?' 하는 놈은 높은 확률로 죽어요.
여주인공을 사랑하는 남주인공은 죽어요.
여주인공은 가장 더러운 꼴이란 꼴은 다 보지만 안 죽어요.
남자를 밝히거나 여자를 밝히는 인물은 높은 확률로 죽어요.
이상한 인기척을 느끼고 가보면 없어요.
안심하면 있어요.
 
어디서 봤는지 모르겠는데 어디서 봤죠?
두 개 이상의 작품이 떠오르는 경우도 있을 겁니다.
글쟁이가 자존심이 있지, 뻔한 장면에서 뻔한 대사는 안 넣고 싶을 겁니다.
하지만 아마추어 소설가인 우리에게 클리셰는 없어서는 안 되는 친구에요.
 
갓난아기가 자전거 페달부터 밟을 수 있나요? 시작은 보행기죠.
그처럼 클리셰를 쓰는 건 자칫 엉뚱한 쪽으로 나아가기 쉬운 아마추어 작품의 무게감을
잡아주는 역할을 해줍니다.
 
갑자기 집에 손님이 오는데 내 솜씨로 끓인 국이 맛없을 것 같다면
조미료를 좀 쳐야겠죠.
 
클리셰, 쓰세요.. 이럴 때는 과감히 써야 합니다.
진부해진 장면인데도 다른 감독들이, 다른 작가들이 우려먹고 또 우려먹는데는
그 클리셰가 보장하는 무언가가 있기 때문입니다.
 
뻔한 막장 드라마 속에는 일상의 권태를 벗어나고 싶어하는 시청자층의 욕구가 깊게 반영된 클리셰가
팍팍 뿌려져있어요. 재벌2세와 서민녀, 날 이렇게 대한 건 네가 처음이야 등등..
 
젊은이를 타겟으로 하는 드라마도 마찬가지.
그 놈의 주인공들은 재주도 좋아서 늘 옥탑방에 빨래 걸어놓고 맥주 한 캔 하며 의자에 앉아 서울의 밤하늘 별을 세고 있죠.
 
말이 길어지니까 정리하자면,
 
뻔한 장면이 뻔하다고 괴로워하지 말고 그냥 잘 살려서 써먹으세요,
라면 먹고 싶은데 물 끓었으면 면 넣어야죠, 당연한 순서라는 것도 있습니다.
그 틀을 깨고 계란부터 넣고 싶다면 결과는 두 개죠. 새로워지거나, 이도 저도 아니게 되거나.
 
친구들끼리 놀러간 집에 의문의 전화가 걸려오더니 즐거웠던 파티는 연쇄살인극으로 변한다!
이 한 줄로 설명되는 영화나 게임이 많습니다, 하지만 당신의 손에서 다시 재구성된다면
그 자체로 또 하나의 이야기가 충분히 될 수 있어요.
 
어줍잖은 반전이 들어있다고 신선한 소설이 아니에요,
뼈대를 잘 갖추고 살만 잘 붙여도 새로운 이야기가 될 수 있습니다.
한 방의 임팩트에 너무 연연하지 마시고 다소 밋밋하더라도 기-승-전-결로 끝나는 한 편의 이야기를
많이 써보시면 점차 그 틀 안에서 순발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되실 겁니다.
 
3. 문장 부호는 하나만 써라. (독자의 상상을 제한하지 마라!)
 
작가가 먼저 신나있는 글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민호가 상자를 열었더니 금은보화가 쏟아졌다.
" 우와아!!!!!!! "
 
뭔가 굉장히 기뻐서 소리 지른다는 느낌은 옵니다.
잘못 된 거 아니에요, 느낌표가 많이 들어가서 상당히 격앙된 감정이 잘 전달됩니다.
근데 잘 전달됬다는 게 뭐에요, 작가의 마음 속에 있는 장면입니다.
 
상상은 독자의 몫입니다.
 
금은보화가 쏟아졌다.
" 우와아! "
 
이정도로만 써두면 독자의 마음 속에서 그 소리는 아주 크게 들리기도 하고
어쩌면 행운에 비해 무덤덤해보이기도 할 겁니다. 독자가 상상하는대로 들리는 거죠.
작가가 그 감정을 딱 정해놓는 건 상상의 맛을 뺏는거죠.
 
게다가 작가도 굉장히 피곤해져요.
금은보화가 10이었는데 다음 번에 100을 주웠어요.
그럼 민호가 뭐라고 해야하나요?
 
" 우와아!!!!!!!!!!!!!!!!!!!! "
 
이러면 더 기쁜 건가요?
 
" 우와아!!!!!!!!!!!!!!!!!!!!!!!!!!!!!!!!!!!!!!!!!! "
 
어? 로또 됬나본데..?
쩝.
 
작가도 작품을 보고 듣는 다는 느낌으로 써내려가는 건 좋지만,
꼭 자신이 쓴 작품을 자신의 해석, 자신의 감정대로 100% 전달하기 위한 작위적인 표현은
작가 스스로도 힘들어지는거죠.
독자는 마치 퀴즈를 맞추듯 작가의 의도를 따라가기 급급해지구요.
 
상상은 독자에게 맡기세요.
 
문장부호는 하나 이상 쓰는 걸 피하세요.
 
" 야! "
 
이 말이 나즈막히 부르는 소리인지,
화가 나서 고함 치는 소리인지,
신나서 환호하는 소리인지,
그 문장의 전후에 있는 문장, 대화, 사건 속에서 상황만 만들어주세요.
그럼 독자의 마음 속에서 독자가 생각하는 아주 맛깔난 소리로 들릴 겁니다.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