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병이란 원래 인도에서 승려들이 여행을 할 때 밥그릇이나 의복과 함께 메고 다니던 필수품 18품 중 하나인 물병에서 유래하던 것으로 범어(梵語)로는쿤디카(kuṇḍikā)라 하고 이를 한문으로 음역하여 군지(軍持), 군치가(軍雉迦), 군지(軍持) 또는 수병(水甁)이라고도 하였습니다. 이처럼 승려가 가지고 다니던 필수품 중 하나로 쓰이던 정병이 이후에는 부처님 앞에 깨끗한 물을 바치는 공양구의 용도로써 폭을 넓혀가게 된 것입니다. 불(佛)·보살(菩薩)이 지니는 정병은 구제자를 나타내는 상징이자 자비심을 표현하는 지물 구실을 하였습니다. 이 정병에 넣는 물은 중생들의 고통과 목마름을 해소해 주는 감로수(甘露水)와도 서로 통하여, 감로병 또는 보병(寶甁)이라고도 일컬었습니다.
지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정병과 불·보살과의 관계는 왕자요 구제자요, 길상(吉祥)과 풍요를 부여하는 자로서의 이미지가 서로 복합되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내용을 잘 표현해 주고 있는 것이 바로 관세음보살이 들고 있는 정병입니다. 이 정병에는 감로수가 들어 있어 감로병이라고도 하는데, 관세음보살은 이 감로수로써 모든 중생들의 고통을 덜어 주고 갈증을 해소해 준다고 합니다. 정병은 관세음보살 이외에 미륵보살이나 제석천(帝釋天. 인드라)·범천(梵天. 브라흐마) 등도 들고 있습니다.
* 참고 : 네이버 지식백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