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수저들을 위한 정당을 만들겠다”, “한일 과거사 청산 우리 손으로 해결하겠다”….
4월 총선을 두 달여 앞두고 새 정당을 만들겠다는 움직임이 잇따르고 있다. 기성 정당에 자신들의 요구를 관철하는 대신 ‘내 문제는 내가 해결한다’고 직접 나선 것이다.
아시아태평양전쟁희생자한국유족회 등 20여개 단체에 소속된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와 유족 100여명은 3일 서울 종로구 중학동 주한일본대사관 건너편에 있는 ‘평화의 소녀상’ 옆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정당’을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일제강제동원피해자·일본군위안부 인권정당’(가칭) 창당준비위원회는 회견에서 “한국 정부가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의 인권을 회복하고 보상특별법과 복지지원정책을 마련하게 하는 것이 첫번째 목표”라고 밝혔다.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유족 단체들이 직접 창당에 나선 것은 “더는 정부와 기존 정치인들을 믿을 수 없다고 여겨서”다. 실제로 여야가 추진하던 일제강제동원피해자보상법은 ‘예산이 없다’는 이유로 19대 국회에서 모두 폐기될 위기에 놓였고, 국무총리 산하에 있던 관련 조사위원회는 지난해 연말 문을 닫았다. 최용상 임시 당대표는 “국회의원을 내는 게 목표가 아니다. 유족 단체 이름으로 활동하는 데 한계를 느껴 원외정당이라 하더라도 정당의 이름으로 활동하려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다음달께 일본을 방문해 자민당 등에 공식 면담도 요청한다는 계획이다.
이들에 앞서 아르바이트생과 대학생, 청년실업자, 예술인, 비정규직 등 청년 104명은 ‘흙수저들을 위한 정당’을 만들겠다며, 지난 2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새로운 진보정당을 위한 청년추진위원회’를 발족했다. 최경은 추진위원회 집행위원은 “기존 정당에서 ‘노동개악’을 하면서 청년 문제를 해결한다고 하고, 야권도 청년들이 주체가 돼 직접 나선 경우는 없었다. 이제 청년들이 누구한테 기대하고 부탁하고 기다리는 것만이 아니라 우리가 직접 만들어야 한다는 인식과 열망이 생겼다”고 말했다. 이들은 적어도 비례대표 한 석은 내겠다는 목표로 뛰겠다고 밝혔다.
또 지난해엔 온라인 정치플랫폼을 통해 시민들이 직접 정책을 생산하는 ‘시민혁명당 추진위원회’가 등장했으며, 전국농민회총연맹 역시 최근 대의원회에서 ‘농민의 이해를 대변할 수 있는 정당’이 필요하다는 데 뜻을 모으고 창당과 관련해 기초적인 논의를 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이런 움직임에 대해, 기존 정치권에 대한 불신 속에서도 자신들이 처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식이 ‘정치’라는 시민의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증거라고 평가하고 있다. 하지만 자금·조직력 등의 문제 등 현실적으로 난관에 봉착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강원택 서울대 교수(정치학)는 “폐쇄적인 정당 구조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은 의제를 가지고 정당을 만들어서 적극적으로 정치에 참여하겠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면서도 “정당 만드는 것부터 쉽지 않고 선거운동, 후원금 등의 조건이 까다로워 현실적으로 상당한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박수지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