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에서 수십 년간 3·1운동 기념탑과 어깨를 나란히 하다가 계속된 문제제기로 철거된 친일파 안용백(1901년∼1977년) 동상이 몇 년 전 부산의 한 학교에도 새로 건립된 것으로 드러났다.
28일 경남 중·고등학교에 따르면 지난 2009년 4월 30일 개교기념일을 맞아 학교 동문의 기증으로 안용백 흉상이 교정에 설립됐다.
학교 측은 안용백의 친일 행적에 대해 전혀 몰랐으며 경남 중·고등학교의 초대 교장을 지낼 당시 재학생이었던 재일동포 강주홍(80)씨가 은혜를 기리며 기증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강씨는 아프리카에 의료봉사를 갔다가 숨진 아들의 이름으로 ‘강정길 한일장학회를 설립, 학교에 5억원의 장학금과 안용백 흉상을 기탁했다.
강씨는 당시 “자취를 하며 어렵게 학교에 다녔는데 교장 선생님이 따뜻한 말을 하며 도와줘 일본에서도 힘들 때마다 그 격려를 떠올렸다”며 “교사의 따뜻한 말 한마디가 학생에게 희망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라”고 학교 측에 소회를 밝혔다.
안용백은 이후 문교부 고등교육국장, 전남도 교육감 등을 역임해 광주에서도 지난 1982년 2월 광주 중외공원(당시 광주어린이대공원)에 흉상이 설립됐다.
그러나 민족문제연구소 광주지부에 따르면 안용백은 조선총독부 관료로 일하며 총독부 기관지 등에 내선일체와 황국신민화 정책을 찬양하는 사설을 다수 게재하고 강연을 했으며 창씨개명에도 앞장섰다는 연유로 친일 인명사전에 등재된 인물이다.
또한 1958년 제4대 총선에 자유당 후보로 출마해 국회의원에 당선됐으나 부정개표 행위가 적발돼 당선 무효 판결을 받기도 했다.
민족문제연구소 측은 수년간 “친일파 동상을 3·1운동탑과 안중근 의사 동상 옆에 세워두면 시민들은 이 사람도 안중근 의사와 동급이라고 오해할 것”이라며 흉상 철거 또는 친일행적 안내판 설치를 주장해왔다.
공원을 관리하던 광주시립미술관은 유족이나 설립단체의 동의 없이 임의 철거는 곤란하다는 입장을 고수해왔지만 수년째 제기되는 철거논란에 지난 7월 초 동상을 철거했다.
지역 시민사회 관계자들과 역사학자들은 10여년간 적극적으로 친일 행위를 하고 부정선거까지 연루된 인물의 동상을 여느 역사적 위인들처럼 교정에 버젓이 전시하는 것은 교육적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김순흥 민족문제연구소 광주지부장은 “그동안 친일 행적은 소리없이 지우고 다른 업적들만 내세웠기 때문에 이 같은 문제가 끊이지 않는 것 같다”며 “다수의 광주 시민이 친일파 동상 잔존은 문제가 있다고 판단했듯이 학교 측이 이제라도 올바른 결정을 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서강태 경남고등학교 교장은 “동상 설립은 은사를 잊지 못하는 동문의 뜻으로 이뤄졌을 뿐 학교에선 안 초대교장의 친일 행적을 알지 못했다”며 “전국의 총동창회와 의논해 처리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30828800162
잘하는 짓거리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