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유관순 누나의 소꿉친구.JPG
게시물ID : bestofbest_106019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음경확대고자
추천 : 385
조회수 : 51230회
댓글수 : 0개
베오베 등록시간 : 2013/04/15 12:31:44
원본글 작성시간 : 2013/04/14 09:23:34




▲ 남동순할머니 

“광복? 생각도 못했지. 14일 밤에도 난 작전 중이었어. 일본 주재소에 잡혀간 동지를 꺼내오는 일이었지. 이튿날 우리나라가 광복됐다는 뉴스가 나와 뒤로 벌렁 자빠졌어. 가회동 집에서 맨발로 뛰쳐나가 종로까지 달려가면서 목이 터져라 만세를 불렀어. 내 나라, 아니 내 동무 관순이의 나라가 사무치게 자랑스러워서….” 
올해 103세의 ‘여전사’ 남동순(南同順) 할머니의 음성은 쩌렁쩌렁했다. 분꽃 흐드러진 화단을 사정없이 내리치는 여름 소나기에도 아랑곳없었다. 신익희(申翼熙) 선생이 3·1운동 직후 결성한 독립운동단체 ‘7인의 결사대’의 홍일점으로, 중국, 연해주, 몽골을 바람처럼 누볐던 여성 독립군. 유달리 목소리가 큰 까닭은 귀가 일찌감치 어두워진 탓도 있었다. 




“3·1 만세운동 때 서대문 형무소에 끌려가 일본놈들한테 매섭게 맞아 그렇지. 같이 운동한 사람들 이름을 대라고 콧구멍에 고춧가루물을 들이부어도 절대 안 댔어. 그 죽일 놈들이 내가 이름을 대도 때리고 안 대도 때릴 게 뻔하거든. 나 하나 죽으면 그만이다, 하고 이를 악물었지.”




그는 3·1만세운동으로 순국한 유관순(柳寬順, 1902~1920) 열사의 소꿉친구이자 이화학당 동창이다.

‘두(二)순이’로 불릴 만큼 절친했던 두 사람은 서대문 형무소에 갇혀서도 서로를 격려했다. 
그의 기억에 유 열사는 “새암(샘) 많고 찰지고 영특하기 그지 없는 소녀”였다. “열아홉이면 얼마나 

이쁠 때야. 그런데 사지가 찢어지도록 고문을 당하고 죽었으니. 내가 살아남은 건 관순이가 못다한 

일 하라고 하늘이 내리신 명이야. 그래서 교복을 입은 채로 7인의 결사대로 간 거지.”




광복 이후엔 고아들을 돌보며 평생 독신으로 산 할머니는 서울 우이시장 골목에 있는 50년 된 ‘국민 

주택’에서 살고 있다. 인터뷰는 낡은 선풍기 한 대 탈탈 돌아가는 이 검박한 집에서, 그리고 서울 정동 

유관순 기념관에서 두 차례 이뤄졌다. 모교 후배인 이화여고 1학년 오샛별·이지윤양과 하지연(동의대 

신문방송학과 4년) 조선일보 인턴기자가 함께했다. 




―유관순 열사에 대한 이야기 좀 더해 주세요. 언제부터 친구였어요? 안 싸우셨어요?
“고향이 둘 다 천안이잖어. 여섯 살 적부터 소꿉친구지. 관순이는 나보다 민첩하면서도 새암이 

많았어 풀각시를 알어? 풀 뜯어 풀각시 만들 때 내가 먼저 만들면 관순이가 싫어해. 그래 비위 맞춘다고

내가 천천히 만들었지. 관순이는 또 심령이 좋고 사상이 좋았어. 은연중 일본말이 튀어나오면 ‘일본말을

잘하니 너는 친일파다’ 하면서 혼을 내. 그럼 내가 ‘동무끼린데 좀 봐주라’ 하며 호호거렸지.
 




▲ “진짜 103세 맞으세요?” “내가 너희 나이 때는 아주 억척스러웠다. 여자도 의로운 일이라면 뭐든지 앞장서야 한다.” 서울 정동 유관순 기념관 뜰에서 모교 후배인 이화여고 오샛별(오른쪽), 이지윤양과 함께 담소를 나누는 남동순 할머니. 뒤편으로 태극기를 들고 만세를 부르는 유관순 열사의 조각상이 보인다. 



광복후 좌우 갈라진게 恨






―부모님은 어떤 분이셨어요? 선친 남승윤 어른께서도 독립운동을 하셨다던데….
“아버지께선 4개 국어를 하는 외교관이었지. 외국 나가본 경험이 많으시니 ‘여자도 배워야 한다’며

3남매를 다 학교에 보내셨어. 대신 할아버지한테 구박을 엄청 받았어. 유학자이시니 관순이랑 내가 

땅따먹기라도 할라치면 계집애들이 다리를 번쩍번쩍 든다고 회초리를 대셨어. 남자 앞에서 이 쏙 

내놓고 웃지마라, 돈을 돌 보듯 하라 하는 식으로 무서운 교육을 받고 자라서 지금 이 나이에도 

남자들 앞에서는 꼭 할 말 외에는 안 해.” 




―유 열사와는 이화학당도 함께 다니셨지요? 공부는 누가 더 잘했어요? 


“관순이가 잘했지. 난 고등과에서 영어를 전공했어. 일본말은 할 줄 아니 영어를 더 배워 선생님 되려고.

그런데 난리(3·1운동)가 난 거야.”




―3·1운동 당시의 정황을 자세히 듣고 싶어요. 누구 제안으로 만세운동에 참여하셨어요?
“일제를 향한 분노에 누가 먼저랄 게 어디 있어. 들불처럼 번져나가니 학교에 휴교령이 내리고 학생들은

거리로 몰려간 거지. 나는 관순이하고 남산으로 올라갔다가 장충단을 거쳐 종로로 갔어. 그런데 어떤 

남자가 그래. 둘이 붙어다니지 말고 하나는 고향으로 내려가 만세를 부르라고.”




―그럼 유 열사 혼자서만 천안으로 내려가신 거네요.


“천안뿐인가. 청주, 진천 등지의 학교와 교회로 다니면서 사람들을 모았지. 4월 1일 천안 아우내(?川) 

장터가 그야말로 인산인해를 이뤘어. 그러니 약이 오른 일본 헌병들이 관순이는 공주 감옥으로 처넣고

병천 관순이 집은 불 질러 태워버렸어. 관순이가 처음부터 열사로 대접받았던 건 아냐. 한동안 병천에서

는 유가(柳家) 놈들 때문에 우리가 못 산다고 동네 사람들 원망이 심했어. 일본놈들이 다 똑같은 종자

라며 못살게 구니까. 지금은 세계의 유관순이 되었으니 원이 없지.”




―7인 결사대엔 어떻게 들어가게 되셨어요?


“3·1운동 이후에 신익희 선생이 ‘7인 결사대’란 걸 조직했는데 여성 대원이 필요하다는 거야. 우리나라 

다 빼앗고 죽이는 일본 놈들에게 항거하는 사업이라고 해서 두말없이 따라갔지. 가보니 다 남자들이야.

상관 안 했어. 나라 구하는 데 남녀가 따로 있나. 그 길로 연해주, 몽골, 중국을 안방처럼 누비기 시작

했지. 자금 전달부터 독립군들 옷 꿰매는 일, 무장투쟁까지 안해본 일 없어.”




―안 무서우셨어요? 총은 쏘셨고요?


“무서운 게 어디 있어. 총이 없어 칼을 썼지. 일본놈들 주재소, 경찰서 습격해 그냥 때려부수고. 

배고픈 건 말도 못해. 가랑잎은 사발이고 싸릿가지는 젓가락인데, 먹을 게 있어야지. 운 좋으면 배추를

뜯어 소금에 고춧가루 넣어 죽을 끓여. 모자라면 대장이랑 나는 굶었어. 대신 솔 이파리를 씹어먹거나 

불린 날콩을 주머니에 넣고 다니며 먹었지.”




―죽을 고비도 많으셨겠어요.


“내가 보기보다 영리해. 한번은 독립자금을 전달하려고 나 혼자 압록강을 건너야 했지. 신발 바닥을

뜯어 거기에 미농지로 싼 돈을 넣어 가는 거야. 나루터에 일본놈들이 지키고 있다가 어딜 가냐고 물어.

‘강 너머 시집간 울 언니 만나러 간다’고 했더니 몇 번 농을 걸다가 보내줘. 건너자마자 돈을 건네주고 

바로 강을 건너왔더니 그놈들 눈초리가 이상해. 그래서 ‘가보니 만주로 이사 가고 없더라’며 얼른 

내뺐지.” 




―광복 후에는 박순천, 임영신 등 이끌던 ‘독립촉성애국부인회’에서 활동하셨지요? 함께 독립운동을 

했던 여운형 선생은 좌익의 총수가 되었는데 할머니는 왜 우익을 택하셨어요?


“계열로 보면 나도 사회주의 될 사람이지. 그런데 광복 직후 내게 은혜를 입은 한 형사가 날더러 평양

으로 가면 절대 안 된다는거야. 그래야 여사님이 살 수 있다면서. 그땐 좌우 나뉘는 게 그렇게 허무했어.

목숨 걸고 되찾은 조국이 둘로 다시 쪼개졌으니 그게 평생 한이 돼.”




―그래서 전쟁고아들 돌보는 일에 헌신하기 시작하셨군요. 


“서울역, 남대문 시장에 전라도 경상도에서 올라온 아이들이 버글버글했어. 못 먹고 못 입어 그렇지 

눈이며 코가 똑똑하게 잘생겼는데, 내가 얘들을 초등학교라도 보내서 제대로 살게 해야겠다 싶더라고. 

그래서 낙원동에 ‘한미고아원’을 만들었지. 한번은 미군들이 전쟁통에 총 맞은 아이들을 헬리콥터로 

실어다가 남산에 수북이 데려다놓았는데 아무도 거들떠보질 않아. 그래 화가 나서 ‘한국 사람은 피도 

눈물도 없느냐’는 팻말을 써붙여 놓았지. 난 지금도 자기 자식만 애지중지하는 사람들 이해가 안 가.”




―그렇게 할머니 손을 거쳐간 자식들이 1000여명에 이른다면서요.


“대학은 4명밖에 못 갔지만, 대령도 나오고 선생도 나왔지. 딸들 시집 갈 때는 내가 친어머니인 줄 알고

사돈들이 ‘이리 이쁘게 잘 길러줘 고맙다’ 했어. 남편 없고 자식 없다고 사람들은 날 불쌍하게 볼는지 

모르지만 난 이만하면 잘 살았다고 생각해.”





▲ 1975년 창설한 예비군들이 봉사활동을 하는 모습. 서있는 사람 왼쪽에서 두번째가 대장인 남동순 할머니. 

전쟁고아 돌보며 홀로 생활 




―1975년엔 여자 예비군을 창설하셨지요? 남녀평등시대에 남자들에게만 국방을 맡길 수 없다면서…
“임진왜란 때 여자들도 행주 치마에 돌을 주워 날랐잖아. 권율 장군의 행주치마 부대 말이야. 젊은 여성

150명을 모아 자비로 예비군복을 만들어 입혔지. 벽제 군부대에 가서 남자 군인들이랑 똑같이 총 쏘는

연습을 하고 탱크도 타고. 평상시에는 봉사활동을 나갔어. 몇 년 못 갔지만 정말 멋지게 했어.”






―1970년대 새마을 운동에도 아주 열심이셨지요?


“술 따르고 장구 두드리는 일만 빼놓고 내가 안해본 일이 있나.(웃음) 새마을운동을 두고 요즘 사람

들 말이 많지만 난 신경쓰지 않아. 내 평생신조인 ‘근검절약’이라는 구호를 진심으로 외쳤지. 

사치는 죄악이야.”




―결혼은 왜 안 하셨어요?

“양반집 과년한 처녀가 집 뛰쳐나가서 남자들과 어울려 독립운동 하는데 혼사가 들어올 리 없지. 

독립운동하면서도 고향에서 흉볼까 싶어 남상절이니, 남미령이니 하는 가명을 썼어. 손목 한번 잡아

보려는 남자들이 왜 없었겠어? 그때마다 ‘이 돼지눈깔 같은 놈아, 냉수 먹고 속차리라’고 호통을 쳤지. 

오직 조국 광복이 내 꿈이었어.”


[3·1 여성 동지회]3·1운동 여성과 후손들로 구성 


여성 독립운동사 재조명 활동 



남동순 할머니는 3·1 여성동지회 명예회장이다. 1967년 결성된 3·1여성동지회는 3·1독립만세운동에 
직접 참여했던 여성들과 그 후손 240여명으로 구성됐다. 
“할머니들 친목 모임이라고? 아니야. 후손들에게 잊혀져 가는 3·1정신의 기개와 나라사랑 정신을 
되살리려고 얼마나 열심인지들 몰라. 유관순 열사 탄생일에는 병천에 내려가 행사도 하고, 국내외 

강연도 하고.”


동지회의 주요 사업은 여성독립운동사 재조명. 유관순 이외에도 여성 독립운동가는 많다고 남 할머니는

강조한다. 청산리대첩을 통해 ‘독립군의 어머니’로 회자된 남자현(南慈賢·1872∼1933), ‘여자계’란 잡지

를 만든 김마리아(1884~1945), 애국비밀결사대 송죽회를 결성한 황에스터(1892~1971), ‘인간 상록

수’로 불리는 농촌운동가 최용신(1909~1935), 대한애국부인회를 조직한 안경신(安敬信·1887∼?), 평양

진명여학교 설립자이자 대한독립청년단 결성의 주역인 조신성(趙信聖·1873~1953) 선생 등이 꼽힌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79&aid=0000208780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