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체 가서 댓글 다는'구글 vs 가두리 고집하는 네이버
포털 댓글 서비스의 여론 조작 우려 속에 사업자들이 제도 정비에 나서고 있지만 단편적인 댓글 시스템 개선을 넘어 뉴스 서비스 유통 방식 자체를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사실 포털 사이트를 중심으로 한 뉴스 소비 방식은 우리나라만의 특색이다. 미국 구글이나 중국 바이두 등 해외 주요 검색 사업자들은 뉴스 페이지에 언론사 기사 제목과 요약문을 노출할 뿐, 해당 기사를 이용자가 클릭하면 언론사 페이지로 연결해준다. 이를 ‘아웃링크’(outlink) 방식이라고 부른다. 반면 국내 포털은 기사 제목을 클릭하면 각 포털의 뉴스 사이트에서 기사 전체 텍스트까지 보여주는 ‘인링크’(inlink) 방식으로 서비스하고 있다.
이 같은 차이에 대해 국내 포털들은 이용자들에게 일관된 사용 경험을 주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미디어별로 뉴스 콘텐츠 서비스 로딩 속도와 배너광고, 악성코드 설치 위협 등이 상존해 있어, 아웃링크로 연결할 경우 서비스 이용자들의 막대한 불편을 초래한다는 것.
그러나 전문가들은 광고 수익과 직결되는 페이지뷰(PV)와 체류시간을 늘리기 위한 장치에 불과하다고 꼬집는다. 매체별 뉴스 사이트들이 무더기 광고 등으로 이용자 불편을 초래할 경우, 재방문을 기피할 수 밖에 없다. 때문에 초기엔 혼란이 있을 수 있겠지만 중장기적으로 매체별 뉴스 사이트 경쟁력 향상과 언론계와의 상생 생태계에는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구글이나 바이두처럼 아웃링크 방식으로 운영한다면 사이버 여론 조작 방지 효과도 클 것으로 기대된다. 지금은 포털 사이트에 이용자들이 집중되기 때문에 이 공간을 통해 전체 여론 조작이 가능하지만, 여러 매체 뉴스 사이트로 댓글 서비스가 분산된다면 이같은 부작용을 해결할 수 있다는 것.
특히 매체별로 다른 성향의 댓글들이 달리기 때문에 지금과 같은 의도적 여론조작은 사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기형적으로 자리 잡은 뉴스 생산과 소비문화를 개선하려면 아웃링크 등을 통해 뉴스 생산자가 직접 책임지는 구조가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최근 힘을 얻고 있다. 포털은 본연의 ‘매개자’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손영준 국민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국내 포털들이 엄격한 기준 아래 공적 책임 등에 대해서 규제를 적용하든 아니면 구글 등 해외 인터넷 기업들처럼 편집 권한을 내려놔야 할 것”이라며 “현재처럼 포털과 언론의 역할이 어정쩡한 상황에서의 개선책은 미봉책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했다.
* 어제 새벽에 한번 올렸던 글이지만 재업 합니다.
* 저는 국내 포털 사업자들이 ‘인링크’(inlink) 방식으로 뉴스 서비스를 고수함으로써 언론들의 기사 품질이 현저히 떨어지는데에 크게 일조하고, 속칭 우라까이( 취재없이 타 언론사 기사를 복붙하는 방식의 보도 )가 횡행하는 원인 제공을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 포털의 독점을 규제하고 다른 국가들 처럼 ‘아웃링크’(outlink) 방식으로 뉴스 등의 콘텐츠 서비스를 하도록 강제하면, 각 언론사별 콘텐츠와 서비스의 품질에 차이가 커지고 소비자들이 언론을 취사 선택하여 구독하는 사용자 환경이 조성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 물론 아웃링크 방식이라고 완벽한 것은 아니겠지만, 적어도 현재 네이버 등 국내 포털 사업자들의 독과점으로 빚어지는 커다란 문제들에 비교할 바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 온라인 환경은 공공재라고 봐야 합니다.
그렇다고 네이버를 국가에 귀속시키는 것은 자본주의에 적합하지 않고, 기업의 독과점으로 인해 발생되는 사회적 폐해는 막아야하기에 네이버의 지나친 독점을 규제해야 합니다.
* 그래서 우선 이번 매크로 사건을 계기로 네이버를 압수수색하고 특검을 통해 운영방식의 잘잘못을 따지고, 공정거래에 위배되는 부분도 시정하게 해야합니다.
* 공감하신다면 네이버 특검 청원 동참과 홍보를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