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메디게이트뉴스] 현재까지 메르스 상황 20가지 정리
게시물ID : mers_278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쌍딸기네빠덜
추천 : 5
조회수 : 1001회
댓글수 : 1개
등록시간 : 2015/06/03 16:59:12
옵션
  • 펌글

현재까지 메르스 상황 20가지 정리

의료인 전문가, 메르스 관련 긴급 기자간담회

15.06.03 15:54 | 최종 업데이트 15.06.03 16:52

3일 메르스 관련 의료 전문가들은 '메르스 관련 긴급 기자간담회'를 열어 관련 정보를 브리핑하고 짧은 토론을 했다. 이 간담회에서 오간 내용을 20가지로 정리해 보았다.
 
토론 패널
이재갑 교수(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손장욱 교수(고려대 안암병원 감염내과)
천병철 교수(고려대 의대 예방의학과)
김성한 교수(서울아산병원 감염내과)
 
 


1. 에볼라 바이러스는 (거리가 멀다라는) 지역적 한계 때문에 국내 유입 가능성 낮았고, 오히려 메르스가 가능성이 더 컸다. 최근 중동에 한국인 거주자가 늘어나면서 왕래가 잦아지고 (두바이 등의) 도시를 경유하는 자가 늘었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에볼라 바이러스보다 소홀히 여겨졌다. (이재갑 교수)
 
 
2. 이제까지 메르스에 감염된 사우디아라비아인의 통계를 보면,
 
사망자가 처음 증상발현에서 사망까지 걸린 기간의 중간값(평균값 아님)은 11.5일.
 
환자의 주요 증상인 발열, 기침, 호흡곤란은 환자의 98%, 83%, 72%에서 발현.
 
인공호흡기는 전체 환자의 80%에서 사용.
 
환자의 100%에서 흉부 엑스레이 상 이상 소견을 보였다. (이재갑 교수)
 
 
3. 메르스 진단은 혈액을 채취해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이용하고, 확진 환자 대부분은 특별한 금기증이 없다면 인터페론과 리바비린을 병합 투여한다.
 

란셋에 게재된 한 논문에 따르면 두 가지 약제의 병합요법이 생존율을 높였다고 한다. (이재갑 교수)
 

4. 초기에 긴밀접촉자(혹은 밀접접촉자)의 정의 범위를 좁게 잡아 감염 의심자를 너무 적게 추정한 것은 아쉽다. (이재갑 교수)
 

5. 아직 지역감염은 없다. (이재갑 교수)
 

6. 현재 병원의 전염에 대한 대응능력을 보완하기 위해 폐렴 환자를 역추적하면서 메르스와의 연관성을 파악하고 있다. (이재갑 교수)
 

7. 다음 주 환자 수의 추이에 따라 차후 계획이 결정될 것이다. 다음 주가 고비다. (이재갑 교수)
 
 
8. 이전에 홍콩에서 사스를 방어한 사례에선 감염 의심 환자가 병원을 방문하면 환자 가족 데이터나 과거력을 취합해 사스 Cluster(집단)를 의료기관끼리 공유했다. (손장욱 교수)
 

<출처 : cnn>

9. 현재까지 3차 감염은 모두 지역사회감염이 아닌 병원감염이었다. 중동지역의 감염도 대부분 병원내 감염이었다. 공기전염은 조건 자체가 굉장히 까다롭다. (손장욱 교수)
 

10. 의심되는 환자의 경우 환자정보와 의료기록을 의료기관끼리 공유해야 한다. 하지만 혼란을 줄 가능성 때문에 일반인에게 공개하는 것은 반대한다. (손장욱 교수)
 

11. 많은 병원이 메르스 환자 입원 사실을 쉬쉬하고 있고, 노출을 꺼리고 있다. (천병철 교수)
 

12. 메르스 환자에 단 한 번도 노출 안 된 병원을 보호해서 남은 환자(메르스가 아닌 환자)를 위한 의료 기능을 보존해야 한다. (천병철 교수)
 

13. 지역 거점 병원은 시설도 미비하고, 격리병실에 여유도 없으며 일반 환자와 동시 진료를 하고 있다.
 
따라서 메르스 환자를 가능한 한 곳으로 모아서 치료해야 한다. (천병철 교수)
 

14. 소독제 등의 간단한 물품 구비에도 병원은 1억원 정도를 추가 지출해야 한다. 병원에 이런 추가 지출에 대한 수가 보전을 해줘야 한다. (천병철 교수)
 
 

15. 축적된 사스 데이터로 코로나 바이러스 성질을 추정해 보면, 증상이 생기기 전에는 전염(Viral Shedding)하지 않는다.
 
보통 증상이 생긴 후 전염성(Viral infectivity)이 생기고 바이러스기 증가하게 된다. (김성한 교수)
 
 
16. 해외(미국, 중동)에선 메르스 환자 접촉자를 국내처럼 일괄적으로 격리하진 않았다.
 
미국이나 중동에서는 접촉자 모니터링을 통해 증상을 확인하면서 격리 여부를 결정한다. (김성한 교수)
 

17. 메르스 바이러스의 전염성이 사스 바이러스 정도로 변하지 않는다면 1000여명이나 되는 접촉자를 격리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김성한 교수)
 
 
18. 밀접 접촉이 아닌 방법으로 전염되는 경우는 다음의 세 가지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a.공기
b.청진기 등의 매개물을 통한 전염
c.문고리, 복도의 물건 등 병원 내 공용 공간의 시설물
 
b, c의 경우 공기 매개인 것처럼 착각할 수 있다. a번의 경우는 현재까지 일어난 적이 없으며 다음의 굉장히 특수한 가정하에선 고려해 볼 수 있다. 하지만 이것 역시 지역감염은 아니다. (김성한 교수)
 
ex) 의료인이 메르스 환자에 기관삽관(Intubation)을 하면서 기도 내 있던 바이러스 덩어리가 압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공기로 퍼지는 경우
 

19. 단체활동을 자제하거나, 학교 등의 공공장소를 폐쇄하는 것이 전염 차단에 이득이 된다는 근거는 현재까지 없다. (손장욱 교수)
 

<출처:http://www.texastribune.org/>

20. 사우디아라비아에서도 그렇게 공공장소를 폐쇄하고 단체활동을 자제하게 했던 적은 없다. (김성한 교수)
출처 http://www.medigatenews.com/news/3581214429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