옵션 |
|
황금 개띠의 해,
사라졌으면 하는 우리 시대의 편견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실천예술가 두눈입니다. 또다시 새로운 한 해가 시작되었네요. 새해에도 해야 할 일, 하고자 하는 일 모두 원하는데로 이루시길 소망합니다.
2년 전 편견에 관해 낸 소리의 주제어를 최근 두눈체로 만들다가 새해가 황금 개띠의 해인 걸 알고 견자는 ‘개’가 연상 될 수 있도록 만들어 보았습니다. 주로 부정적 의미로 쓰이던 개는 몇년 전부터 “개좋아” 처럼 긍정적인 의미로도 쓰이게 되었습니다.
작년 봄 “청담, 순수한 유혹에 불혹 되다!” 전시기간 중 리플렛을 비치해둔 식당에서 있었던 에피소드를 나누고자 합니다.
점심을 먹고자 식당에 앉아 있는데 중년 여성 한분과 젊은 여성 2분이 한테이블에 앉았습니다. 마침 누군가가 보고 놓고 간 저의 전시 리플렛을 한분이 보았고 옆자리에 앉은 분에게 리플렛을 보여주며 “이게 손톱 이래” 하니까 “더러워” 라고 했습니다. 저는 그 말을 듣고 다가가 “저기, 제가 이 작품을 만든 작가인데요. 직접보면 더럽지 않아요. 근처에 있는 스페이스옵트에서 전시하고 있으니 보러오세요”라고 하니 대화를 나눈 두 분은 아무 말 못하고 중년의 여성분은 미소를 짓고만 있었습니다. 아쉽게도 이분들은 작품을 보러 오지 않았습니다.
김제동님의 강연 동영상에서 들은 얘기도 덧붙일까 합니다. 아이들에게 사촌이 논을 사면( ) 뒤의 말을 적는 문제를 아이들에게 내었다고 합니다. 여러분은 어떤 답이 떠 오르시나요? 아이는 “가 본다”라고 적었다고 합니다. 그러면서 일단 가보고 몇평이나 샀는지 보고 나서 배가 아플지 결정 하겠다 는 의미로 풀어 주었지요. 어쩌면 아이는 속담을 몰랐기 때문에 순수한 마음으로 답을 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직접 검증해 보지 않은 통념이 덧씌운 편견, 혹은 한 단면의 경험이나 앎으로 사물이나 사람을 규정해 생긴 편견은 실체를 보지 못하게 하거나 어떠한 가능성과 창의력을 스스로 저해 하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특히 편견에 의한 차별은 사회 갈등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두눈체 편견을 완성하고 보니 현시대를 함께 살아 가고 있는 여러분에게
"2018년 사라졌으면 하는 우리 시대의 편견은 무엇인가요?" 라는 질문을 해보고 싶었습니다.
복을 짓는다는 마음으로 댓글 남겨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이 질문의 답변들은 차후 공유할 계획입니다.
그리고 항상 건강하시고 예술 안에서도 행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