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mooooo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회원가입 : 15-02-16
방문횟수 : 167회
닉네임 변경이력
일반
베스트
베오베
댓글
135 2018-12-30 21:51:13 8
천원의 행복 [새창]
2018/12/29 13:19:59
http://www.civilreport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63388

아쉽지만 올 4월에 문을 닫았네요. 2015년에 돌아가시고 따님분이 한 3년여간 이어 하시다가 재정적 이유로 결국은 문을 닫으신 모양입니다. 2012년 처음 열었다니 총 6년동안이나 힘들게 유지되온 식당이 이렇게 되었다니 참 아쉽네요.
134 2018-12-30 14:36:35 4
오랜 친구이자 아내가 먼 길을 떠나버렸습니다. [새창]
2018/12/29 23:59:05
미저리 샤이닝은 이미 수십번은 본 것 같고.. 곡성 안봤는데 찾아보니 넷플릭스에 있네요! 오늘도 하루종일 놀다가 영화보려고 했는데 곡성이나 보러 가야겠습니다. 추천 감사합니다.

그리고 '아직'이라고 쳐야하는 걸 실수로 '벌써'라고 써버렸네요 아이쿠! 수정도 안되고 이거 원..
133 2018-12-30 14:21:58 5
오랜 친구이자 아내가 먼 길을 떠나버렸습니다. [새창]
2018/12/29 23:59:05
아아, 제 아내는 미국에서 태어난 사람입니다. 그냥 가족이 다 한국에 있고 혼자 미국으로 공부를 하러 간거라 유학이라고 칭한 겁니다.
132 2018-12-30 09:40:55 29
오랜 친구이자 아내가 먼 길을 떠나버렸습니다. [새창]
2018/12/29 23:59:05
이번에 아내 부모님이 결혼 40주년이셔서 한국에서 부모님 모시고 편안~히 여행갔다 오라고 환불 불가능한 비행기표와 호텔을 끊어줬습니다. 절대 아내를 밖에 나가게 하려고 치밀하게 짜놓은 계획이 아닙니다.
131 2018-12-30 09:38:15 18
오랜 친구이자 아내가 먼 길을 떠나버렸습니다. [새창]
2018/12/29 23:59:05
아니 이 사람들이... 와이프가 곁에 없는 이 슬픔과 외로움을 달래려고 명작을 추천해달라는 거니 낚시를 하시면 안됩니다.
129 2018-07-31 17:19:42 0
엔트로피 법칙 질문있어요! [새창]
2018/07/31 14:53:42
컵과 컵 주변의 온도가 훨씬 큰 외부 시스템(지구)에 의해 지속적으로 저온으로 유지되는 것이기 때문에 열역학 법칙을 위배하는 것이 아닙니다. 만약 주변 온도가 3도인데 얼음으로 언다면 그건 위배되는 일이겠죠.(하지만 통계역학적으로 본다면 아예 불가능한 것도 아닙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열역학 제2법칙을 위배한다고 할 순 없습니다, 제 2법칙은 시스템 전체 - 우주 - 를 바라봐야되기 때문이죠.)
128 2018-02-20 19:19:58 1
달빛으로 불피우기 [새창]
2018/02/20 11:18:21
그리고 다른 곳에 있는 별들은 거리를 생각하셔야죠. 에너지의 손실 비율은 거리의 제곱에 비례합니다. 즉 태양보다 2배 먼 곳에 있는 별에서 태양과 같은 양의 에너지를 모으려면 그 별은 태양보다 4배나 밝아야합니다. 가장 가까운 별이 얼마나 가까울까요? 구글링 해보시면 계산 금세 될겁니다.
127 2018-02-20 19:17:26 1
달빛으로 불피우기 [새창]
2018/02/20 11:18:21
일단 질문자님의 질문 취지는 현실적으로 가능하냐 였을테고 답변자들 대부분도 현실적으론 불가능하다란 말을 한거겠죠. 현실적인 크기의 렌즈와 갯수로는 달의 표면온도가 "가장 큰" 요소이고 그렇기 때문에 불가능하다고 답변을 하는 겁니다. 위 링크(https://van.physics.illinois.edu/qa/listing.php?id=18061) 도 찬찬히 읽어보신다면 저와 비슷한 말을 하는 것을 볼수 있습니다.
126 2018-02-20 19:03:19 1
달빛으로 불피우기 [새창]
2018/02/20 11:18:21
제가 위에서도 말했지만 그런 점까지 고려를 한다면 차라리 지구의 온도가 낮기 때문에(특히 밤에는 더 낮아지므로) 오히려 종이에 불이 붙을 확률이 더 낮아지겠죠. 달은 엄청나게 큰 물체이고 이곳에서 표면 재질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많은 양의 빛이 반사되는 부분은 훨씬 작습니다. 그런데 달에서 지구까지의 거리는 엄청난 거리 덕에(상대적으로) 한 점에서 퍼진 에너지 중 지구에 닿는 에너지도 극히 일부분에 불과합니다. 가뜩이나 작은 부분에서 극히 일부분만 모은건데 얼마나 될까요? 눈이나 물 같은 경우는 모두 큰 부분이(달에 비해 크다는게 아니라 전체 시스템에 비례해서 큰 부분이란 겁니다.) 일정한 재질이라 태양광을 반사하고 거리도 짧기 때문에 다시 한 점으로 모을 수 있는 에너지의 양도 상당히 큽니다.

그럼 인생귄찮다님의 질문의 핵심으로 가볼까요? 반사하는 물체의 표면온도와 반사된 빛을 모아서 만들 수 있는 온도의 상한점이 동일한가? 여기서 우리는 몇개의 질문을 해야 합니다.

1. 빛을 발하는 점(달)과 빛을 모으는 점(렌즈) 그리고 빛이 닿는 점(종이)의 거리가 어떻게 되는가? 빛을 발하는 점과 빛을 모으는 점이 멀수록 에너지는 멀리 퍼져나가기 때문에 모으기가 어려워집니다(큰 렌즈 필요). 그리고 거리가 멀어질수록 계속 에너지를 잃는데 이건 2번에서 언급하도록 하죠.

2. 빛이 오는 와중에 주변 환경이 어떻게 되는가? 태양->달->지구로 오는 동안 최적의 상태라면 빛이 오는 와중에(반사되는 시점 제외) 에너지를 잃지 않겠지만 지구 대기에서의 산란 등에 의해 에너지를 일부분 잃게 되는 점도 감안해야 합니다. 따라서 이동하는 거리가 멀수록 표면온도보다 높아질 확률은 낮아집니다.

그 외에도 여러가지 요인이 있겠지만 제가 볼땐 위 2개가 가장 중요한 점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론이 아니라 정확한 실제로 들어온다면 물리학에선 계산이 불가능해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통계역학이란게 존재하는 것이고 그렇기 때문에 "확률적으론 가능한거 아니냐?" 란 질문은 물리학에서 큰 의미가 없습니다. 그렇게 따지면 통계역학적으론 가만히 있는 종이도 불에 붙을 수 있습니다(네, 실제로 가능합니다. 모든 입자들이 갑자기 종이 쪽으로 움직이면서 엄청난 마찰열은 만들어서 불을 붙일 수도 있습니다.) 확률적으론 가능할지 모르겠으나 실제로 그게 가능하다고 말하진 않는 것 처럼 말이죠.
125 2018-02-20 18:39:23 1
달빛으로 불피우기 [새창]
2018/02/20 11:18:21
눈과 달은 아주 다른 경우입니다.

먼저 인생귀찮다님께서는 "주변 상황"을 고려치 않으시는것 같네요. 눈의 경우는 눈보다 훨씬 큰 "지구"라는 온도가 낮은 곳이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온도가 계속 내려가는 겁니다. 만약 빛이 반사되는 부분만 정확히 본다면 온도가 높겠죠. 온도라는 것 자체가 일정한 것이 아닌 통계역학에 의존한 평균화된 값이기 때문에 "눈은 차가운데 왜 거기서 반사된 빛은 강한거지?"라는 생각이 들게 되는 겁니다.

둘째로 눈의 경우는 80%에 가까운 빛을 반사시키기 때문에 달과 다릅니다. 달과 거울을 비교하는건 말이 안되겠죠. 물론 인생귀찮다님 말씀대로 달의 온도보다 "조금 더 높게" 하는건 가능할지 모르겠지만 달 자체가 반사를 잘 시키는 것이 아니고 (https://van.physics.illinois.edu/qa/listing.php?id=18061, 5번 follow up) 그런것까지 고려를 하자면 개인적이 의견으론 그것보다 차라리 지구 자체의 온도가 발화점보다 훨씬 낮은 점이 오히려 불이 안 붙는다 쪽에 더 힘을 실어주지 않을까 싶습니다.
124 2018-02-20 18:16:44 2
달빛으로 불피우기 [새창]
2018/02/20 11:18:21
https://www.thenakedscientists.com/articles/questions/can-we-use-moonlight-start-fire
https://van.physics.illinois.edu/qa/listing.php?id=18061

"종이"에 불을 붙이는 것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인생귀찮다님이 주신 링크(https://physics.stackexchange.com/questions/140927/is-it-possible-to-start-fire-using-moonlight) 에서 답변을 한 사람은 달에서 에너지를 "전부 모아서" 불을 붙이는게 가능한가 입니다. 태양광 패널에다가 태양 에너지 모아서 불을 붙이는 것과 돋보기를 사용해 불을 붙이는건 당연히 다른 일이죠(돋보기를 사용하면 열 에너지가 계속 사용되므로).

그리고 "한점"에서 퍼진 빛만 다시 "한점"으로 모을 수 있는 것도 맞습니다.(http://www.askamathematician.com/2013/01/qhow-do-lenses-that-concentrate-light-not-violate-the-second-law-of-thermodynamics-if-you-use-a-magnifying-glass-to-burn-ants-arent-you-making-a-point-hotter-than-the-ambient-temperature-without/) 따라서 달의 온도보다 높을수 없다 라는 것도 맞는 말이지요. 다만 위에서 인생귀찮다님이 말씀하신 링크는 에너지를 모아서 한번에 쓰는 것을 가정했기에 "가능하다"라고 하는 겁니다.
123 2018-02-19 23:16:47 0
수학질문하나 드려도 될까용? [새창]
2018/02/19 18:53:35
d(c_1y_1+c_2y_2)/dt=c_1*dy_1/dt+c_2*dy_2/dt 이기 때문에 y_1과 y_2가 해라면 일반해는 중첩성과 선형성을 갖고 있는 겁니다. 정확한 계산을 보고 싶으시다면..

(c_1y_1+c_2y_2)''+p(c_1y_1+c_2y_2)'+q(c_1y_1+c_2y_2)=c_1y_1''+c_2y_2''+pc_1y_1'+pc_2y_2'+qc_1y_1+qc_2y_2
=c_1(y_1''+py_1'+qy_1)+c_2(y_2''+py_2'+qy_2)=0

입니다.
122 2016-06-10 01:22:21 0
개인의 성적취향은 어떻게 결정될까요.? [새창]
2016/06/10 01:17:14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성적취향이든 성격이든 유전적 요소보다는 환경적 요소가 더 영향력이 크다고 봅니다. 그 예로 다른 가족에게 입양된 일란성쌍둥이의 성격에 관한 실험을 보면, 일란성 쌍둥이라 할지라도 문화적/환경적으로 다른 가족들에게 입양된다면 서로 성격이 다를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죠. 물론 제가 이쪽으로 공부를 해본것은 아니고 그냥 그런 기사를 읽은 적이 있어서 확실하진 않지만, 제 개인적 경험으로 봤을때도 전 환경적 요소가 더 크다고 봅니다.
121 2016-06-02 23:25:33 1
옛날 글인데 찾아보니 못 찾겟어여 [새창]
2016/06/02 23:14:53
http://www.todayhumor.co.kr/board/view.php?table=science&no=50732&s_no=10226618&kind=member&page=1&member_kind=total&mn=611669

제가 썼던 글인데.. 윗글과 동일합니다. 다만 제가 쓴글은 내기금액과 관계없는 순수한 조합이론 해설입니다.
<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
1 2 3 4 5 >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