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 게시판 |
베스트 |
|
유머 |
|
이야기 |
|
이슈 |
|
생활 |
|
취미 |
|
학술 |
|
방송연예 |
|
방송프로그램 |
|
디지털 |
|
스포츠 |
|
야구팀 |
|
게임1 |
|
게임2 |
|
기타 |
|
운영 |
|
임시게시판 |
|
8일 참여연대와 새정치민주연합 은수미 의원실이 우리리서치와 함께 한 여론 조사 결과에 따르면, ‘메르스 확산 사태와 관련하여 누구의 책임이 가장 크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 이어 ‘지방자치단체장’(11.8%), ‘최경환 경제부총리’(2.2%) 순이었으며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12.3%였다. 박 대통령과 문 장관, 최 부총리 등 정부 인사에 책임이 있다는 응답이 75.9%d 달했다.
또 이번 메르스 사태와 관련해 정부의 대응능력을 불신한다는 응답은 70%에 이르렀다. 메르스의 방역과 정보공개 등 우리 정부의 대응에 대한 신뢰 정도를 묻는 질문에 ‘매우 신뢰하기 어렵다’는 답이 47.7%, ‘다소 신뢰하지 않는 편’이라는 답은 22.3%였다. 반면 ‘매우 신뢰한다’(7.7%), ‘다소 신뢰하는 편’(22.3%)이라는 응답은 30%였다.
‘메르스 발생 병원 및 지역의 전면 공개 여부’를 묻는 질문에는 ‘전면공개’ 응답이 88.0%로 절대 다수층을 이뤘다. ‘더 큰 혼란을 줄 수 있으므로 공개하지 말아야 한다’는 응답은 불과 8.3%,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3.7%였다. 이 조사는 지난 7일 정부가 메르스 발생병원을 공개한 당일 진행된 만큼 ‘전면 공개’에 대한 의견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 여론조사결과는 한국갤럽과 리얼미터의 박 대통령 지지율 하락의 근본요인이 메르스 사태에 대한 미흡한 대응에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로 해석된다. 이러한 경향은 국회법 개정안에 대한 여론조사에서 드러난다. 메르스 사태가 여론의 관심을 받기 전 여론조사에서는 청와대나 박 대통령의 ‘위헌’ 주장에 힘이 실리는 추세였으나 이번 조사결과는 달랐다.
국회법 개정안에 대해 ‘여야합의에 의해 개정된 법률이므로 즉시 공표해야 한다’는 응답이 48.3%로 ‘위헌소지가 있으므로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해야 한다’는 응답 29.4%보다 높았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22.3%였다.
이번 조사는 지난 7일 하루 동안 우리리서치가 전국 19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RDD 유무선(유선 500명 무선500명) 자동전화조사(ARS) 방법으로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95%로 신뢰수준에서 최대허용오차는 ±3.1%p다.
출처 | http://m.polinews.co.kr/m/m_article.html?no=238043 |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