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전은 이것으로 끝나지 않았다. 윤 대변인은 "분명히 국가 정체성과 정통성을 지켜야 하는 세력과 애국가를 부를 필요도 없고, 국기에 대한 경례와 국민 의례를 할 필요 없다는 이정희 후보 같은 세력과 대결이 아니냐"라고 주장하자 박 앵커는 "너무 확대해석하고 재생산하면 안되죠. 우리 대한민국 48%가 (문 후보를)찍었는데 그분들이…대한민국을 그렇게 해석하면 안되죠"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윤 대변인은 "노무현 정권 시절 국가 안보 차원에서 위태롭게 하는 세력을 노무현 세력으로 본다. 비서실장이 문재인 후보"였다면서 "사람 말을 뒤집지 말고 말꼬리 잡지 마라"고 말했다. 박 앵커는 당황스러운 표정을 짓고 '허허' 웃어넘긴다.
윤 대변인에 대한 반대 여론도 극에 달하고 있다. 야당은 물론 여당 인사 사이에서도 부적격 인사라는 비난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고 시민사회도 윤 대변인의 임명 철회를 요구하고 나섰다.
민주언론시민연합은 논평을 통해 "독설을 거침없이 내뿜어 우리 선거판을 저주의 굿판으로 오염시켰다. 사실과 객관성을 추구해야 하는 저널리즘을 상대하는 수석 대변인에 이러한 막말과 망언의 당사자를 임명하는 것은 박 당선자가 스스로 천명한 '대통합 약속'을 깨는 일이며, 나아가 그 공약 여부를 떠나 기본적인 정치윤리상 있을 수도 있어서도 안 되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민언련은 박 당선인의 윤 대변인에 대한 임명 철회와 함께 "더 이상 국민들과 박근혜 당선자에게 누를 끼치지 말고 스스로 물러서는 모습을 보여주길 기대한다"고 자진사퇴를 촉구했다.
윤 대변인이 윤봉길 의사를 언급하며 인사를 수용했다는 발언에 대해서도 윤봉길 의사 기념사업회 측에서 불쾌감을 토로하며 정면 비난하는 입장을 내놨다.
윤 대변인은 지난 25일 기자회견에서 "윤봉길 의사가 제 문중의 할아버지"라며 "윤 의사가 대한민국 정부 수립시 대통령의 첫 인선을 과연 거절했을까라는 부분을 생각했는데 거절하지 못했을 것이다. 애국심 때문에 거절하지 못하고 (제안에) 응한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윤봉길 의사 기념사업회 양병용 사무처장은 미디어오늘과 통화에서 "윤 의사하고는 집안 10촌 이내도 아닌 것 같다"면서 "자기가 종친 입장에서 한번이라도 추도식이나 의거 기념일에 와서 윤봉길 의사의 뜻을 되새긴 일이 있으냐? 뻔뻔스런 일"이라고 비난했다.
양 사무처장은 윤 대변인의 발언에 대해 "건방지고 후안무치한 발언으로 위대한 애국자를 조소거리로 만들어버린 함량 부족 인사의 발언"이라며 "이런 인사가 청와대에서 일하는 것 자체가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서글픈 일이다. 박근혜 당선인도 자신을 반대했던 사람들에게 새로운 희망과 용기를 주고 위로를 해줘야 하는데 이런 엉뚱한 사람을 데리고 온 것은 오만한 행동으로 볼 수밖에 없다"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