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 이 글은 PC버전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모바일로 읽을 시 여러모로 불편한 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십니까, 깨우지 않으면 오후 3시까지 잠드는 남자, Rebellion입니다.
여러분들의 성원에 힘입어 어제 새벽까지 이것저것 정보수집을 하다가 보니 새벽 5시더군요.
그대로 내리 10시간을 자버렸습니다(...) 제 인생은 슬슬 끝으로 다가가는 듯 합니다.
이번 글도, 잘 부탁드립니다.
[클릭하시면 사진들이 커집니다! 잘 안보이시는 분들은 클릭하셔서 보세요!]
Terraria
2. 아는 것이 힘!
우리는 성공적으로 집을 짓고, 탐험을 수행하고, 첫번째 날을 버텨내는데 성공했습니다. 그리고 많은 것을 얻었죠. 자잘한 광물들이나, 반짝거리는 동전, 그리고 생존에 필요한 정보같은것 말입니다. 정보란것은 여러분이 미지의 상황과 마주쳤을 때 가장 큰 힘을 발휘합니다. 마치 테라리아 세계에 뚝 떨어진 저와 여러분과 같은 경우죠.
저번 글에서 광물에 대해 간단히 설명드렸습니다. 제가 그 때 발견했던 광물은 구리였는데요. 설마 이 넓은 테라리아에 구리만 가지고 싸워나갈 수 있을리는 없으니, 필연적으로 더 강력하고 다양한 광물이 존재 할 수 밖에 없겠죠? 이번엔 땅 속을 탐험하기에 앞서, 먼저 광물의 종류를 알아보도록 합시다.
구리 광석
주석 광석
운석
흑요석
헬스톤
자, 이게 하드모드로 들어가기 전에 얻을 수 있는 광물입니다. 같은 줄에 있는 광물은 각각이 서로 대체 될 수 있는 광물입니다. 무슨 소리인지 잘 이해하지 못하시겠다구요? 크림슨과 커럽션의 경우를 봅시다. 맵을 생성할 때 크림슨 혹은 커럽션이 선택되어 생성될 수 있다고 처음에 말씀드렸죠? 광물도 마찬가지 입니다. 각 맵 생성될 때마다 구리 혹은 주석이 선택되고, 철 혹은 납이 선택되고... 이런 식으로 8가지의 선택이 일어나게 됩니다. (예외적으로, 하드모드 이후부터 얻을 수 있는 광물들은 특정 조건을 만족시킬 때 선택됩니다.)
이 중 데모나이트/크림테인을 제외한 광물들은 주로 채광을 통해 얻을 수 있고, 데모나이트/크림테인 광물은 주로 보스 사냥을 통해 얻을 수 있습니다. 이 두 광물들은 특이하게도 갑옷으로 제련할 때 부가적인 재료를 필요로 합니다. 각각 Eater of World(세상을 먹는자)/Brain of Cthulu(크툴루의 뇌)를 잡아야 얻을 수 있는 것인데요, 이 때문에 제일 처음 잡을 수 있는 보스인 Eye of Cthulu(크툴루의 눈)을 잡는 것만으로는 무기밖에 만들 수 없습니다. 하지만 이것도 아직은 먼 미래의 이야기입니다. 보스를 때려잡기 위해서는 그만한 방어구와 체력, 무기를 겸비해야겠죠.
그럼, 이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해봅시다.
<NPC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고, 빈 집이 있을 때 이주해 오게 된다. 그러니 지속적으로 빈 집을 공급해주자.>
우선 어느 정도 여유가 생겼으니 빈 집을 추가로 지어줍시다. NPC들은 각자마다 가지고 있는 고유한 조건을 만족하고 빈 집이 남아있을 경우 입주하게 되는데요, 정말 유용한 NPC들이 많으니 집은 미리미리 지어놓도록 합시다. 하드모드 이전에 입주시킬 수 있는 주요 NPC의 목록과 그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상인 : 플레이어가 돈을 50 실버 이상 보유하고 있을 경우
- 간호사 : 플레이어의 최대 체력이 120 이상이며, 상인이 입주해 있을 경우
- 고블린 수리공 : 고블린 군단을 막아내고, 지하에서 구해냈을 경우
- 숲의 요정 : 왕 슬라임, 육체의 벽을 제외한 보스들을 최소 한마리 격파했을 경우
- 폭파 전문가 : 폭발물을 인벤토리에 가지고 있을 경우
- 무기상 : 탄약이나 총기류를 인벤토리에 가지고 있을 경우
※기타 NPC의 획득 조건은 위키를 참조하시거나, 댓글로 물어봐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위의 NPC를 포함하여 총 15명의 NPC를 하드모드 이전에 입주시킬 수 있습니다.
<지하에는 광물외에도 함정과 보석이 있다. 어느쪽이던 눈을 크게 뜨고 찾아내려 노력하자.>
가끔 지하를 탐험하다보면 어디선가 화살이 날아오거나 갑자기 하늘에서 돌이 떨어져 의문사 당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게 바로 함정입니다. 함정은 주로 압력 발판위에 플레이어가 올라설 때 발동하는데, 피하기 어려울 뿐더러 맞으면 한 방에 골로가는 경우도 많으니 반드시 눈을 크게 뜨고 미리 찾아낼 수 있도록 합시다.
지하에는 함정 뿐만 아니라 보석도 있습니다. 위의 사진에서 노란색이 부분적으로 칠해져있는 돌 블럭이 그것인데요, 반드시 한 종류를 15개 캐가도록 합시다. 두 종류 이상 모으실 필요는 없습니다.
<모루를 만들었다면 이제 맞고 사는 인생은 끝이다. 맞은 만큼 패주자.>
어느정도 철 광석을 모으셨다면 이제 철 모루를 만드실 수 있을겁니다. 모루에서는 주로 무기와 방어구, 후크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 말은 드디어 처참한 성능을 자랑하는 구리 단검을 버리고 괜찮은 무기를 들 수 있다는 것과, 명치로 들어오는 강력한 데미지를 경감시킬 수 있다는 것입니다. 물론, 그만한 주괴가 필요하긴 하지만요. 퀵슬롯에 장비하는 무기와 달리 오른쪽 장비 탭에 장비하는 방어구는 같은 종류로 착용할 경우 세트 효과가 있습니다. 백금 방어구 까지는 방어력 증가 효과가 전부지만 그 이후로는 데미지 증가 옵션 등 아주 다양한 옵션이 많으니 방어구는 꼭! 세트로 착용하셔야 합니다. 아래에 하드모드 이전까지 얻을 수 있는 방어구를 보여드리겠습니다. 대괄호 안의 수치 및 효과는 세트효과가 포함된 것입니다.
구리 방어구 세트 [방어력 6]
주석 방어구 세트 [방어력 7]
철 방어구 세트 [방어력 9]
납 방어구 세트 [방어력 11]
은 방어구 세트 [방어력 13]
텅스텐 방어구 세트 [방어력 15]
금 방어구 세트 [방어력 16]
백금 방어구 세트 [방어력 20]
운석 방어구 세트 [방어력 16, 마법 피해량 +21%, 우주 총의 마나 소모량 0]
죽음의 방어구 세트 [방어력 15, 원거리 피해량 +16%, 20% 확률로 탄약을 소모하지 않음]
그림자 방어구 세트 [방어력 19, 근접 공격속도 +21%, 이동속도 +15%]
진홍 방어구 세트 [방어력 19, 공격력 +6%, 체력 재생량 크게 증가]
녹아버린 방어구 세트 [방어력 25, 근접 공격력 +17%]
한 가지 알아두실 점은 꼭 순서대로 진행해야 하는것은 아니라는 겁니다. 예를 들어 방어구를 맞추지 않은 상태에서 은 방어구를 맞추고, 그 다음 바로 그림자/진홍 방어구 세트로 옮겨 타도 무방합니다. 그래서 주로 금/백금 방어구는 거의 맞추지 않습니다. 광석 소모가 극심할 뿐더러 성능이 그만큼 뛰어나지도 않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적당히 남는 재료로 활과 장검, 곡괭이를 만드셔서 사용하시는게 좋습니다. 화살은 상인 NPC에게서 저렴한 가격에 구매하실 수 있고, 횃불과 조합하여 맞은 대상에게 화상 디버프를 걸어주고 데미지 또한 훌륭한 불화살을 제작하실 수 있습니다. 장검은 한 방향으로만 찌르는 단검과 달리 전방위로 크게 휘두르는 방식이기 때문에 적의 접근을 차단하면서 딜을 넣는데 좋습니다. 곡괭이는 당연히 상위 광물로 만든 것일수록 채광 속도가 빨라지지만 보스 사냥으로 데모나이트/크림테인 곡괭이를 만들면 하드모드 이전의 광물은 모두 커버가 가능하기 때문에 굳이 금/백금 곡괭이를 만드실 필요는 없습니다.
![K-077.png](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01/1452507815zDxhAtBNVr6SByxUsxNerA4pBV7s.png)
![K-078.png](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01/1452507820AyNajnQ3c4dVLmewJr.png)
<후크는 활동 범위를 크게 넓혀준다.>
아까 보석을 한종류 15개 만큼 캐오라고 말씀드렸죠? 그 이유가 바로 후크를 만들기 위해서 입니다. 후크는 굳이 퀵슬롯에 넣지 않아도 E키로 사용할 수 있으며, 후크를 발사하여 벽이나 천장에 붙을 시 그 곳으로 이동하여 붙어있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아이템입니다. 구버전에서는 지하에 스폰되는 스켈레톤을 잡아서 4% 확률로 드랍되는 재료 아이템을 사용해야 했지만, 보석을 이용한 후크가 추가되면서 비교적으로 편하게 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후크도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만 보석 후크도 충분히 후반까지 쓸만한 아이템이고, 후반까지 진행하면서 드랍템으로 먹게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장신구를 얻었다. 장신구는 대부분 유용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탐험 도중에 장신구를 얻었습니다. 장신구는 방어구처럼 장비 탭에 착용 할 수 있습니다. 장신구의 특이한 점은 무엇보다도 서로 조합이 가능하다는 점이겠지요. 고블린 수리공 NPC에게 얻을 수 있는 도구를 이용하여 장신구를 조합하면 2단 점프부터 상태 이상 면역까지 정말 다양하고 강력한 효과를 가지고 있는 상위 장신구를 얻을 수 있습니다. 물론 그것들도 조합의 재료로 사용해서 더욱 상위의 장신구도 제작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장신구 칸 오른쪽 위에 있는 눈 모양 버튼을 한 번 누르면 장신구를 가릴 수 있습니다. 효과는 그대로 적용되니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활을 이용한 전략. 싸움에 비겁이란 없다.>
만약 저 사진처럼 가려고 하는 곳에 감당할 수 없을 만큼의 몬스터가 있는 경우 화살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한 칸만 뚫어놓고 활로 공격하시면 됩니다. 대부분의 몬스터들은 블럭 한 칸의 틈을 통과할 수 없고, 그에 반해 화살은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효과적인 전투를 수행하실 수 있습니다.
<레일을 활용하면 매우 빠른 속도로 넓은 공간을 탐색할 수 있다.>
내려와보니 레일이 있군요. 커서를 레일 위에 올려놓으신 후 마우스 우클릭을 하시면 탄광 수레에 탑승하실 수 있습니다. 탄광 수레는 매우 빠른 속도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탄 상태로 무기와 도구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탐색과 원거리 사냥에 적합합니다.
<생명 수정은 최대 체력을 늘일 수 있다.>
레일을 타고 탐험하던 중 생명 수정을 발견했습니다. 생명 수정을 곡괭이로 파괴하면 아이템화 되는데, 이를 퀵슬롯에 등록 후 사용 시 최대 체력이 20 늘어나게 됩니다. 또한, 하늘에서 떨어지는 별똥별을 3개 모아서 조합하면 최대 마나를 20 늘일 수 있는 아이템, 마나 수정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체력과 마나를 각각 400/200 까지 늘릴 수 있습니다. 참고로 하드모드 진입 후에 다른 아이템을 추가적으로 파밍하면 최대 체력을 500까지 늘일 수 있습니다.
늘어난 체력에도 불구하고 몬스터의 공격력은 강력하기 때문에 자칫하면 맞아죽기 십상입니다. 이 때 우리는 포션을 사용하게 되는데요, 체력 포션에는 60초라는 어마어마한 쿨타임이 있습니다. 장신구를 이용해서 이를 45초로 감소시킬 수 있긴 하지만 여전히 긴 시간이죠. 마나 포션의 경우 쿨타임이 없긴 하지만 5초안에 추가적으로 사용할 시 마나 중독이라는 디버프에 걸려서 마법 공격력이 25% 감소하고, 지속적으로 5초가 지나기 전에 복용하면 최대 50%까지 디버프가 강력해집니다. 그러므로 테라리아에서는 회복량이 큰 포션을 구비하는게 중요합니다. 이번에는 주로 쓰이는 치유 포션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소형 치유 포션
소형 마나 포션
치유 포션
마나 포션
대형 치유 포션
대형 마나 포션
강력한 생명력 포션 (왜 이것만 생명력일까..)
강력한 마나 포션
위 부터 아래 순으로 각각 50/100/150/200 의 치유 효과를 가집니다. 당연히 아래로 갈 수록 얻기 힘들고, 판매 및 구입 가격도 비싸집니다. 포션은 제작이 가능하기도 하지만 보스에게서도 많이 드랍되는 편이라, 포션을 아끼는 분들은 보스를 잡을 수록 오히려 증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사실 치유포션 외에도 다른 효과를 내는 포션들도 있지만, 그러한 버프 포션의 경우는 보스를 사냥할 때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탐험과 사냥을 통해 여러분은 무기와 방어구, 포션과 지식을 얻었습니다. 감히 상대하지 못했던 몬스터들도 지혜와 도구의 힘으로 용감하게 격퇴하실 수 있게 되었죠. 하지만, 아직 어둠속에는 막대한 체력과 공격력, 방어력을 자랑하는 괴물같은 놈들이 있습니다. 네, 보스 몬스터들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이들, 보스 몬스터를 효과적으로 상대하는 법과 전투를 위한 준비물, 좀 더 보스를 상대하기 쉽게 해주는 아레나를 짓는 법을 알아보도록 합시다.